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위 바위 보의 생태학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자원을 쓰지 않기 때문에 세포분열 속도가 더 빠르기 때문이다. 바위와 보의 관계인
셈
이다.해독제만 만드는 대장균과 아무것도 만들지 못하는 대장균이 만나면 후자가 번성한다. 해독제를 만드는데 자원을 쓰지 않기 때문이다. 보와 가위의 관계다. 짐작하겠지만 아무것도 만들지 못하는 대장균과 ... ...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번에 관측된 빛은 39억 년 전 어느 날 일어난 사건의 결과인
셈
이다. 연구자들은 이 천체를 ‘스위프트 J1644+57’로 명명했다. 이는 천체가 위치한 방위에 대한 정보로 J는 율리우스력을 의미하고 1644는 적경(16시44분)을, +57은 적위(+57°)를 나타낸다. 이 블랙홀의 질량은 ... ...
줄기세포 만드는 스위치 찾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일반 세포는 분화능력을 얻지 못한다. 결국 FOXP1이 세포의 분화능력을 조절하는 스위치인
셈
이다.블렌코 교수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안전한 줄기세포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발표했다. 줄기세포는 손상된 조직을 효과적으로 복구하지만, 조직이 완성된 뒤에도 ... ...
외국어 뭐하러 배우지?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것과 같은 언어학적 규칙에 따라 번역한다. 사람처럼 사전과 문법책을 보고 번역하는
셈
이다. 먼저 형태소 석을 한 뒤 단어를 찾아 뜻과 품사를 결정하고 다시 배열한다. ‘너 밥 먹었니?’와 ‘밥 먹었니, 너?’처럼 단어의 순서가 바뀌어도 같은 뜻으로 이해하고 번역하기 위해서다. 단어를 번역할 ... ...
Part 2. 수학자의 별난 발명품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고약한 악취와 유독가스를 막기 위해서다. 고인 물이 일종의 방어벽 역할을 하는
셈
이다.그러면 이 방법은 누가 고안했을까? 그 주인공은 영국의 수학자 알렉산더 커밍(1733~1814)이다. 그가 발명한 트랩 덕분에 인류는 배설물 냄새로부터 해방됐고 상하수도보급과 더불어 수세식 변기가 유행하기 ... ...
펜보다 키보드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힘에 맞게 만들어져 타자를 오래 할 때 특정 손가락이 피곤하게 되는 경우를 줄인
셈
이다.키보드에는 손가락과 손목을 편하게 하는 인체공학 기술이 많이 담겨 있다. 가장 쉽게 찾을 수 있는 것이 높이 조절 장치다. 키보드 뒷면에는 키보드 윗부분을 들어 올려 기울기를 조절하는 장치가 있다. ... ...
상어에 강한 턱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소리를 듣는 고막을 만들어내는 방법으로 진화했다. 고막은 턱의 발전과 함께 이뤄진
셈
이다.]목뼈가 턱뼈로그렇다면 턱은 어떤 방식으로 진화했을까. 역사상 가장 원시적인 척추동물은 무악어류다. 무악어류는 말 그대로 턱이 없는 종류로서 흔히 ‘갑주어’라고 부른다. 고생대 캄브리아기 후기와 ... ...
애벌레가 나무를 내려오지 못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죽었다. egt가 변태를 막고 나무 위에서 내려오지 못하게 하는 결정적인 원인이었던
셈
이다.연구팀은 “동물의 이상 행동을 유발하는 가장 교묘한 방법은 호르몬 조절이며 이 호르몬 조절은 유전자로 조작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는 유전자가 숙주 동물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음을 밝힌 ... ...
[knowledge] 고대 화장품은 현대 화장품과 다르다? 같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비듬약도 사용했다. 현재와 비교해도 전혀 뒤떨어지지 않는 완벽한 화장법이었던
셈
이다. 이집트 중기 왕조의 네페르티티 여왕은 청색 아이라인에 빨간색 매니큐어와 페디큐어까지 칠하고 있는 것이 분묘 발굴 결과 확인됐다.곰과 호랑이에게 쑥과 마늘을 준 이유는?“겨울에 얼굴이 거칠고 터지는 ... ...
오라! 행복한 수학이 있는 강연장으로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수학은 알지 못하는사이 인류의 문화를 발전시켜왔다. 수학은 인류의 숨은 영웅인
셈
이다.9월 1일 숭실대에서 열린 수학대중강연에서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인 서동엽 수학대중화사업단장은 “21세기 사회 속에 수학은 소리 없는 영웅으로 자리 잡았다” 며 “수학의 가치와 본질을 바로 알 필요가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