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숫자"(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 03. [시간의 역사] 옛날에는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과학동아 l2004년 01호
- October, November, December의 어근인 septem, octo, novem, decem은 원래 라틴어에서 7, 8, 9, 10이라는 숫자를 뜻한다. 그런데 왜 이것들이 뒤로 밀려나 9-12월의 명칭이 되었을까? 그 이유는 카이사르와 그의 양아들인 옥타비아누스가 각각 7, 8월의 이름으로 들어갔기 때문이다. 카이사르의 이름인 ...
- 지자기 폭풍이 빚어낸 걸작 오로라과학동아 l2003년 12호
- 하루 동안 일어난 지구 자기장의 미세한 변화량들을 평균해 하루에 0-9 중 하나의 숫자로 표현하는 것이다. 이번 10월과 11월에 걸친 태양 폭발로 지자기지수 9를 기록했다. 이는 지구 자기장에 평균보다 수백배의 변화가 일어났음을 뜻한다. 태양 폭발시 위성은 비상체제태양 폭발은 아름다운 ... ...
- 국산 고속전철 3백km 돌파하자 박수·환호과학동아 l2003년 12호
- 그리고 너무나도 자연스럽게 속도는 3백이라는 숫자를 돌파한다. 아주 긴장된 상태에서 숫자를 응시하던 시승단은 일제히 박수와 함께 환호성을 질렀다. 이날 한국형 고속전철이 거둔 최고속도는 시속 3백2km였다.시속 3백km로 달리는 동안에 철로 바로 옆에 서있는 전신주는 도저히 그 형체를 ... ...
- 라이트 형제의 인류 최초 동력 비행기과학동아 l2003년 12호
- 피사체의 밝기와 사용하는 필름의 강도 ASA 감도는 ASA100 또는 200 등으로 표시되는데, 숫자가 2배가 되면 감도도 2배가 된다물체가 유체(流体) 내에서 운동할 때 받는 저항력과, 두 물체가 접촉하면서 움직일 때 물체의 접촉면에 작용하는 힘의 총칭 앞의 경우 항력은 흐름방향으로 작용하는데 이 ... ...
- 따돌림의 고통과학동아 l2003년 11호
- 건너와 여러 모로 개량되어 다시 유럽으로 전달되어 오늘날 우리들이 사용하는 아라비아 숫자로 진화된 것이다 1859~ 1927 스웨덴의 물리화학자 17세 때 웁살라 대학에 입학하고 학위논문의 테마로 물리학을 택했으나 지도교수와 뜻이 맞지 않아 1881년 스톡홀름으로 옮겼다 그 곳에서 전해질용액 ... ...
- 법정에 오른 커피 이야기과학동아 l2003년 11호
- 쉬라는 신호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한다.이렇게 되면 우리 몸은 그 대응책으로 수용체의 숫자를 10-20%정도 늘린다. 이런 상태에서 카페인 공급이 끊기면 아데노신 신호가 증폭돼 졸림이나 우울증, 두통 등 카페인 금단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이런 사실에 대해 피고측은 카페인 금단 증상은 다른 ... ...
- 몸속 1㎏ 미생물이 우리 몸 지킨다과학동아 l2003년 11호
- 인간의 수명이 현저히 길어지고 세계인구가 증가했지만 결과적으로 인체내 미생물의 숫자도 함께 늘었다.인간보다는 미생물의 돌연변이와 변신이 한결 빨리 이뤄진다. 사람들이 그동안 항생제를 남용한 결과 거의 모든 항생제에 죽지 않는 새로운 병원성 균인 ‘슈퍼 박테리아’가 등장하기도 ... ...
- 근대화학의 아버지과학동아 l2003년 11호
- 음을 들을 수 있는 것이 적지 않다도형 입체 음성 등을 인식해 읽어들이는 것 문자나 숫자의 인식보다 한결 어렵다 패턴인식을 위해서는 극히 다량의 정보를 순간적으로 처리해야 하기 때문 로봇의 시각장치와 음성인식 타자기에 일부 실용화가 시도되고 있다Edwin Powel Hubble(1889∼1953) 미국의 ... ...
- 2 아시아, 달을 향한 꿈을 쏘다과학동아 l2003년 11호
- 깨어져야만 한다. 인류의 공익을 실현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에다 소요 경비도 천문학적 숫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국제적인 협력은 필수적이다. 물론 아직까지 각국이 공동 우주개발이라는 합의점에 이르지 못하고 있지만 국제 협력은 피할 수 없는 대세로 자리잡을 것이다. 최근 유럽이 ... ...
- 바람난 제주 돌담 태풍을 막다과학동아 l2003년 11호
- 바람이 불 때 건축물 벽면 형태에 따라 발생되는 힘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등고선과 숫자는 각각 바람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분포형태와 가해지는 힘의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왼쪽은 바람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開口部)가 전혀 없는 건축물에서의 힘의 분포와 정도를 나타내고 있고, 오른쪽은 ... ...
이전1921931941951961971981992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