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d라이브러리
"
옆
"(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진화는 1백m 경주인가 넓이뛰기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확인한 부부가 그 책이 파본이 아니라는 확신에 안도하려던 차였습니다. 모든 광경을
옆
에서 지켜보던 미국인 한사람이 대충 눈치를 챘는지 자기가 한국어를 할 수 있다면서 그 부부에게 말을 건넵니다. 그리고 문제의 책을 훑어보고는, “그림들이 마치 불연속적인 것처럼 보이긴 하지만 실제 ... ...
어린 시절 꿈을 간직한 안드로메다은하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보면 세번째 별인 안드로메다 베타별(β)을 지나 북쪽으로 다시 세번째 별인 누별(ν)
옆
에 안드로메다은하가 있다. 그래서 흔히 안드로메다은하의 주소를 ‘3가3번지’라고 부르기도 한다. 베타별은 2등성으로 상당히 밝은 별이며, 누별은 4등성이다. 그러므로 그 위치를 찾기란 그리 어렵지 않다 ... ...
정보통신에 뿌리내리는 한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원시적이다. 예를 들어 ‘A’라는 글자는 발음이 [ei] [ ] [ε] [Λ] [a] [a] [ ρ ] 이어서 글자
옆
에 발음 기호를 표기한다. ‘knife’라는 단어는 [naif]라고 읽지만, [naif]라는 발음을 원래의 단어 knife로 복원하는 일이 불가능해 음성 인식에 적절하지 않다.지난 1998년 미국 LA소재 캘리포니아대(UCLA) ...
수화를 말로 바꿔주는 장갑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해부는 신분이 낮은 이발의사(理髮醫師)에게 맡기고 교수 자신은 직접 집도하지 않고,
옆
에서 갈레노스 등의 고전 강석(講釋)만 하는 실태였다 베살리우스는 36년 고향에 돌아와 인체를 해부할 귀중한 기회를 얻었고, 또 비합법적으로 입수한 유골을 연구하는 등 해부학에 숙달해졌다 37년 당시 ... ...
제2회 닮고싶고되고싶은 과학기술인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공학자입니다.” 과학자와 공학자라는 두개의 명함에 충실하기 위해 그는 침대
옆
에 항상 아이디어북을 놓아두고 좋은 생각이 떠오를 때마다 바로바로 메모를 해둔다. 그래서 제자들로부터 ‘아이디어 뱅크’라고도 불린다. 언제나 정력적이고 열정적인 연구자 상이다.또한 그는 10년차 교수로서 ... ...
강간도 적응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토론이 이뤄지는 식탁은 커다란 직사각형 모양을 하고 있으며 사회자를 중심으로 양
옆
쪽에 ‘굴드팀’(G팀)과 ‘도킨스팀’(D팀)이 마주 앉도록 돼 있다.오늘은 첫날이기는 하지만 토론의 주제나 토론자의 면면으로 미뤄봐 틀림없이 다윈의 식탁의 하이라이트가 될 것이다. 오늘의 토론 쟁점은 ... ...
송도 늦둥이 흰물떼새 첫 걸음마 포착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부리로 갯벌에서 먹이 찾는 도요넷째날 오전 탐사팀은 전북 군산시 옥구읍 옥구염전
옆
제방도로에 모여 앉아 새를 기다렸다. 하지만 마침 썰물 때라 새들이 육지에서 먼 쪽으로 이동해 있었다. 스코프로도 도요 무리가 아주 작게 보일 뿐이었다.아쉬움을 뒤로 하고 다음 장소로 향한 탐사팀이 ... ...
전갈의 심장에서 찾은 최고령 행성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먹었을까.지난 7월 10일 미항공우주국(NASA)은 전갈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인 안타레스
옆
에 있는 구상성단(구형 별무리) M4에서 최고령 행성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질량이 목성의 2.5배인 이 행성의 나이는 무려 1백30억살이다. 기존에 최고령으로 알려졌던 행성보다 90억살이나 더 먹은 것이다. 태양과 ... ...
열대 무더위에 견디도록 단련된 인체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따듯한 열기로 그 존재를 알 수 있다. 아늑하고 서늘한 침실에서는
옆
에 누워 있는 사람의 몸에서 나오는 복사열을 느낄 수 있다.전도는 주위의 사물과 몸이 닿을 때 열이 이동하는 현상이다. 둘 사이의 온도차가 크고 열전도도가 큰 물질일수록 열의 이동이 활발하다. 한겨울에 ... ...
오염물질 정화하는 자연의 콩팥 갯벌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보이기 때문이다. 이런 미세한 진흙 입자는 진흙벌을 구성하는 성분이다.갯벌은 강 하구
옆
으로 제법 떨어진 곳에서도 만들어질 수 있다. 이는 비교적 가벼운 진흙들이 바닷물에 실려와 밀물과 썰물이 반복되는 곳에 퇴적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서해안은 바닷물이 낮은 수위에서 높은 수위로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