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안
위문
달래기
회유
안위
안심
유화
d라이브러리
"
위로
"(으)로 총 2,037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에틱스, 마침내 수면
위로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생명윤리는 이제 더 이상 '강건너' 불이 아니다. 생명의 존엄과 맞물려 있는 이 난해한 숙제를 어떻게 풀어야할지…최근 대리임신모에 의한 임신방식이 국내 최초로 학계에 보고되자 이같은 방식에 의한 임신을 두고 우리 사회는 한차례 뜨거운 찬반논쟁에 휘말리고 있다.더군다나 이번의 대리모에 ... ...
비누방울 만들기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위에서 만들어진 비누막도 한 쪽에서 살살 불어보면 비누풍선이 만들어집니다. 아래
위로
출렁거리는 비누막은 단지 그 과정을 보여줄 뿐입니다.③한솔이 : 그 약한 비누막이 출렁거리며 탄성을 가진다니 믿어지질 않는군요. 그러나 그 이유는 학교에서 배웠듯이 탄소와 수소의 긴 사슬 모양의 ... ...
동양최초로 지전설(地轉説) 주장한 홍대용(洪大容)의 독창적 우주관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그가 과학연구에 있어서 자연관찰을 중요시했다는 과학정신을 보여준다.또 지구가
위로
나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계속 허공 속에 존재할 수 있는 이유는 지구 스스로에 그러한 힘이 있기 때문이며 하늘과는 관계없다고 한다. 그 논거로 "이 땅과 해와 달과 별이 상하가 없는 것은 또한 우리의 몸에 ... ...
월츠의 명수 홍학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이 때문에 머리는 거꾸로 놓이게 된다. 위쪽 부리가 밑으로 가고 아래쪽 부리는
위로
올라가는 참으로 기묘하고 거북스러운 모습을 연출하는 것.홍학들은 봄철 번식기가 되면 개흙을 부리로 물어다가 높이 30∼40cm의 탑모양의 둥우리를 만들고 1개씩 알을 낳는다. 새끼가 자라 스스로 독립할 때가 ... ...
입자물리학과 우주의 이해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입자물리학은 가장 기초적인 것이다. 사다리의 맨 아래에 입자물리학이 있고 그
위로
핵물리학, 화학, 생물학, 지질학 등이 있으며 맨 꼭대기에는 천문학(우주학)이 있다. 그러나 입자물리학과 천문학, 즉 가장 작은 것을 취급하는 학문과 가장 거대한 것을 취급하는 학문은 비슷한 점이 많이 있다. ... ...
40여마리밖에 없는 토종개 삽사리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않는다. 치아는 강건하며 견치가 큰 것이 특징이다.긴털로 인해 꼬리는 부채모양이며
위로
들린다. 선꼬리 말린꼬리가 있으며 회전 및 정지운동 조절에 적당한 크기이다..삽사리 체질의 강인함은 탁월하다. 개의 치명적인 질환인 견온열과 전염성 간염에 대한 저항성의 정도를 조사한 연구결과에 ... ...
안경과 콘텍트렌즈의 선택ㆍ취급요령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똑바르게 되도록 한다. 셋째 벗을 때에는 반드시 두손으로 좌우 걸이부의 중간을 잡고
위로
올리고 앞으로 끌어당긴다. 넷째 한손으로 끼고 벗는 일은 절대로 하지 않는다.다섯째 안경을 놓아 둘 때 렌즈의 볼록면을 밑으로 향하게 하면 볼록한 부분에 흠집이 난다. 여섯째 안경을 놓아 둘 때는 ... ...
발굴·복원되는 찬란했던 문화유산 멕시코의 고대유적과 현대문명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로' 주의 '코바' 지방 마야유적도 그런 것 중의 하나다.여기에는 울창한 수해(樹海)
위로
모습을 드러낸 높이가 40m를 넘는 피라미드와 신전이 있으며 유적 전체를 발굴하는데만 1백년 이상이 걸릴 것이라 한다. 이런 것을 미루어 볼 때 이 지역 유적의 규모가 얼마나 거대한가를 짐작할 수 있을 것 ... ...
왜 어지러운가?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이 흐름을 감지, 뇌에 전달하기에 어지러움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또 엘리베이터 안에서
위로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 처음에 어찔한 경우가 있다. 역시 전정속의 이석의 위치가 변하므로 그렇게 느끼게 되는 것이다.눈을 통한 시각도 몸의 전형을 유지하는데 한몫을 톡톡히 하고 있다. 정상적인 ... ...
PART5 월경과 임신의 생리학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이송된다.한편 자궁강으로 들어온 정자는 긴꼬리를 흔들면서 헤엄쳐 자궁내부의
위로
올라간다. 난관의 운동에 저항하면서 난관의 팽대부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 팽대부가 정자와 난자가 랑데뷰하는 장소다. 이를테면 여기에서 수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정자는 자궁내부에서 2~3일간 살 수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