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의
요구
클레임
청구
진술
옹호론
역설
d라이브러리
"
주장
"(으)로 총 4,725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시대 해양생태 보고서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자산어보 한글판을 출판했다. 일부 논자들이 이 책을 ‘현산어보’로 읽어야 한다는
주장
을 한 바 있으나 아직 학계에서 명칭이 통일되지는 않았다. 인용은 또 하나의 창작 정약전은 흑산도 주변의 해양생물들을 직접 채집하고 관찰해 생김새와 습성 등을 밝혔다. 그는 어부들과 함께 배를 탔는데 ... ...
소수점 하나가 세상을 바꾼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기수법의 원리를 따른다."소수도 자연수처럼 10진법을 사용해야 합니다"이를 공식적으로
주장
한 사람은 프랑스 수학자 비에트다. 비에트는 1579년에 60진 소수 체계 대신에 10진 소수 체계를 도입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변호사이자 정치가면서 심심풀이로 수학도 연구해 대수학, 기하학, 삼각법 등 ... ...
걸리버 여행기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액자 500개를 설치해 문장을 수집한다면 온 세상의 학문과 과학을 총정리할 수 있다고
주장
합니다. 걸리버는 이 훌륭한 기계에 대해 찬사를 아끼지 않으며 고국으로 돌아갈 때 이 기계의 설계도를 가지고 가게 해 달라고 부탁합니다.이 언어학자의 꿈은 실현될 수 있을까요? 수학적으로 따져 봅시다. ... ...
리튬이온전기 꽂고 전기차 시대 ‘스위치 온’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전지의 원리를 사실과 상징을 섞어 묘사한 듯한 벽화가 있다. 많은 반론을 부른
주장
이었지만 전지가 현대인의 전유물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이 제기된 것이다.실제 고대인들이 전지를 썼다는 강력한 증거가 나온 적도 있다. 기원전 3세기에 지금의 이라크 일대를 지배했던 파르티아인들은 흙으로 만든 ... ...
나를 말해주는 손가락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인간 특성의 관계는 태아기때 받은 호르몬의 영향이 아니라 유전자에 의한 결과라는
주장
도 나온다. 손가락 비율과 여성 운동 능력의 관계를 연구한 스펙터 교수는 자신의 논문에서“조사 대상을 쌍둥이 여성으로 한정해 손가락 비율과운동 능력의 연관성을 살펴본 결과 70%는 유전적인요인에 의한 ... ...
War between GOOGLE vs. MS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셈이다. 이것이 MS가 설명하는 yahoo!와의 협력을 통한 구글을 이기는 방법이다. 구글은 이
주장
을 부정한다. 구글의 최고 경제전문가인 핼 베리안은 대부분의 검색엔진들은 그들이 가진 사용자 데이터의 극히 일부분만을 이용해 검색 결과를 향상시킨다고 ... ...
언어가 사고를 지배하는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명확하게 하기 전에 언어를 사용하는 것은 진정한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
했다. 예를 들어 아이들은 어른이 쓰는 ‘더 큰’이란 단어를 듣고 자기도 그 말을 따라할 수 있지만, 더 크다는 비교 개념을 습득하기 전까지는 그 개념을 전달하기 위해 그 단어를 사용할 수는 없다.독일 ... ...
건강을 살리는 소금, 천일염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진행되고 있다. 소금이 점점 더 건강해질 것으로 기대된다.필자는 소금을 많이 먹자고
주장
하는 것이 아니다.소금은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므로 안 먹을 수 없으니 이왕 먹는 것이라면 건강한 소금을 먹자는 얘기다. 끝으로 많은 사람들이 직접 음식에 넣어 먹는 소금은 좋은 소금을 쓰려고 ... ...
미국산 쇠고기 파동은 과학적 지식에 근거했을까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만날 수 있다. 더불어 쇠고기 수입과 관련된 찬반논쟁이 얼마나 불확실한 과학적
주장
에 근거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한 가지 아쉬운 점은 몇 군데 교열상의 허점과 인간 프리온 유전자 다형성에 대한 설명과 같이 일부분 잘못된 정보가 있다는 점이다. 또한 현재 많은 과학자들이 인간광우병(올해만 ... ...
사과를 가장 효율적으로 쌓는 법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평면의 크기를 무한히 크게 하면이 나온다.이제 다시 3차원 공간으로 돌아가서 케플러의
주장
처럼 과일 쌓기를 하면이 나온다. 이 숫자들을 ‘각 채우기 방식의 밀도’라고 부른다. 케플러 방식은 대포알 같은 공이 전체 공간의 74%를 채운다. 여기서 따져봐야 할 것이 하나 더 있다. 지금까지 본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