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정"(으)로 총 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의 과학문화에 도전하라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어디에서든 급격하게 추락하고 있다.기술적 진보로 무한대의 채널이 가능한 상황에서 특정 채널이 시청자를 큰 폭으로 점유하는 일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이다. 그런데 놀랍게도 월간 잡지는 세계 어디에서나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것은 잡지시장이 계속 넓어지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왜 ... ...
- 인공지능과학동아 l2010년 12호
- ‘미스터 왓슨’이 퀴즈게임에 출전해 선전하고 있다. 2010년 현재도 인공지능은 특정분야에선 인간을 이길 만큼 발전했다. 2020년 이후에는 인공지능의 수준이 놀라울 정도로 높아질 것이다.]계산속도 높여 사람지능 따라 잡는다인간이 인공지능 기술을 연구한 지는 벌써 50년이 지났다. 하지만 최근 ... ...
- 1991년 사이먼 르베이 박사의 동성애자 뇌구조 차이발견과학동아 l2010년 12호
- 무엇이 이런 차이를 유발할까. 동물을 대상으로 한 여러 실험 결과 태아의 발달과정의 특정시기에서 분비되는 남성호르몬의 양과 분포가 성적 취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사람의 경우 남성호르몬은 테스토스테론인데, 뇌가 발달할 때 테스토스테론이 부족하면 INAH3가 ... ...
- 맞춤의학과학동아 l2010년 12호
- 게놈 데이터를 이용해 항암제를 개발하면 유형별 맞춤 항암치료시대가 열릴 것이다. 특정한 메커니즘으로 생기는 암을 치료하는 항암제는 이미 나와 있는데 폐암 치료제인 이레사가 대표적인 예다.차의과학대 암연구소 김성진 소장은 “폐암 가운데 EGFR이란 성장인자수용체의 돌연변이가 원인인 ... ...
- Part 2. 과학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0년 12호
- 교수는 1998년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실었던 논문을 철회했다. 1998년의 논문은 특정 경혈에 침을 놓았을 때 뇌의 일부가 활성화됐다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8년 뒤 조 교수는 후속 연구 결과 경혈과 상관없는 곳에 침을 놓아도 똑같이 뇌가 활성화됐다며 원래 논문을 철회했다. 침을 찔렀을 때 ... ...
- 과거가 없는 현재, 현재가 없는 미래는 없다과학동아 l2010년 12호
- 극단적인 사상을 내세우는 공산주의자나 사회 전복을 꾀하는 혁명가조차도 과거의 특정 시스템을 좀 더 발전시키는 형태로 이론을 만드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과거를 부정하는 경우에도 ‘반면교사’로 삼는 경우가 흔하다. 대가일수록 사상적 스승이 반드시 있고, 제자의 성공이 있으면 영향을 ... ...
- 따로 또 같이! 세계의 인종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앞니의 모양, 머리카락의 두께와 곱슬거리는 정도, 지문의 유형, 입술의 모양부터 특정 질병이나 혈액형의 비율 등 그 기준만도 수십 가지나 되지. 그리고 기준에 따라 적게는 3종, 많게는 60종으로 인종이 나뉜단다. 파란 눈에 흰 피부를 가진 친구도, 곱슬머리에 검은 피부를 가진 네 짝도 그 중 한 ... ...
- Photos as Memories과학동아 l2010년 12호
- 끄집어내는 곳이다. 해마의 손상은 기억상실을 가져오지만, 이때 손상되는 기억은 특정한 종류의 기억뿐이다. 대부분의 기억상실 환자처럼 클레어의 ‘절차기억’은 잘 작동한다. 예를 들어 그녀는 운전하는 법을 기억하며 (레슨받은 경험 자체는 잊어버리겠지만) 그녀가 원한다면 피아노를 ... ...
- 탄소 중매쟁이 노벨상 거머쥐다과학동아 l2010년 11호
- 뿐 자체가 반응해 생성물에 포함되지는 않는다. 팔라듐촉매의 경우 두 분자에 있는 특정 탄소가 서로 결합하게 도와준 뒤 빠져나와 다음 반응에 참여한다. 화학반응에서 촉매를 소량만 써도 되는 이유다.그렇다면 도대체 팔라듐(Pd)은 어떤 원소이기에 이런 환상적인 작용을 할까. 1802년 영국의 ...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과학동아 l2010년 11호
- 그 추측이 맞은 것일까. 영양분인 단맛이나 감칠맛은 포도당이나 글루탐산나트륨처럼 특정한 구조만을 인식하면 되지만 쓴맛은 다양한 구조를 인식해야 한다. 몸에 독이 되는 물질이 한두 개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왜 우리는 다양한 쓴맛을 느끼지 못하고 그저 ‘쓰다’고만 느끼는 걸까 ... ...
이전1921931941951961971981992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