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실시간으로 메시지 주고받는 메신저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하지만 상대편이 전화를 받을 수 있는 상황인지 아닌지 미리 알 수가 없다는
한계
가 있다. 또한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전화와 함께 대중적인 통신 수단이 되어가고 있는 전자우편은 문서는 물론 다양한 형태의 파일까지 보내고 받을 수 있어 음성통화에 국한된 전화의 단점을 보완해주고 있다 ... ...
세계에서 가장 작은 와인잔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그래서 이 방법을 사용하는 현 반도체 기술은 나노단계까지 반도체를 집적시키지 못하는
한계
를 드러내고 있다. 또한 표면에 새겨지는 깊이와 넓이의 비율이 같아 깊이를 요구하는 초소형 정밀기기에는 부적합하다.이런 이유로 여러가지 차세대 리소그래피 기술이 고려되고 있다. 그 중에서 최근 ... ...
의료모의시술과 화상전화 시대 앞당긴다 영상시스템연구실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마련이다.컴퓨터 게임처럼 배우는 수술영상시스템연구실의 의료영상 시스템팀은 이런
한계
를 극복할 수 있는 컴퓨터를 이용한 의료 실습 시스템인 메디컬 시뮬레이터(medical simulator)를 연구·개발중이다. 게임을 하듯 컴퓨터를 이용해서 실제와 똑같이 다양한 상황과 신체적 구조에 따른 임상실습을 ... ...
3. 왜 포스트PC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CPU나 운영체제 모두 어느 정도 발전의
한계
에 다다랐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다.이런
한계
점에 있는 인텔과 마이크로소프트뿐만 아니라 대다수의 컴퓨터 관련 업체에서는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포스트PC 시장을 무시할 수 없게 됐고, 그래서 이에 대한 논쟁이 활발해졌다는 분석이 유력하다. 휴대폰 ... ...
리프킨의 엔트로피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자연으로 돌아가자’라는 식의 반과학주의 (anti-scientism)의 또다른 극단적 편향성으로
한계
를 드러냈다.현대사회에 미친 과학기술의 영향에 주목한 사회과학자제레미 리프킨은 펜실베이니아 대학의 와튼 경영 대학원에서 경제학을, 터프츠 대학의 플레처 법과대학원에서 국제관계학을 공부한 ... ...
① 애기장대 프로젝트 완료 임박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꾸준히 증가해 왔지만 최대 생산치는 결코 변하지 않았다. 그 품종의 태생적
한계
때문이다.농생명공학은 지구상의 다양한 식물이 가진 유전자원을 활용해 농작물의 품종을 개량함으로써 식량문제를 해결할 유일한 대안으로 보인다.,또한 농생명공학은 비료나 농약의 살포가 없이도 잘 자라는 ... ...
로켓 닮은 신발 뒤축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마라톤과 같은 육상경기의 경우 신발의 무게가 기록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인간
한계
에 도전하는 42.195km의 풀코스를 뛰어야 하는 마라토너들에겐 더욱 그렇다. 마라톤신발은 잠자리 날개처럼 가벼우면서도 스펀지처럼 발바닥 충격을 잘 흡수해주는 것이 최상이다. 신발 무게가 10g이 더 무거우면 ... ...
정상인 능가하는 감동의 스포츠드라마 파랄림픽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이겨내는 스포츠드라마 시드니 파랄림픽이 있었다.과연 장애있는 선수들이 가진 능력의
한계
는 어디까지일까.올림픽이 열릴 때면 경기기록의 결과뿐만 아니라 경기 이외의 각종 화제거리가 있기 마련이다. 2000년 시드니올림픽에 앞서 지면을 장식했던 뉴스의 하나가 미국 여자육상 1천5백m 대표선수 ... ...
20세기 대우주탐험가 에드윈 허블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도구가 되기도 하지만 초신성 역시 필요할 때 그곳에 있지 않기 때문에
한계
가 있다.이런
한계
때문에 멀리 있는 천체일수록 거리를 결정하기 어려워지고 그만큼 허블상수를 결정하기도 까다로워진다.고무줄같은 우주나이허블 스스로는 허블상수를 5백30km/초/Mpc(1Mpc, 즉 3백26만광년 떨어진 은하가 ... ...
동물들의 신비한 초능력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가공하고 이용해 왔다. 이렇게 인간은 새로운 발명을 통해 인간에게 주어진 자연의
한계
를 극복하며 살아왔다. 하지만 이런 과정 속에서 많은 환경적인 오염과 문제들이 도출됐다.반면 동물들은 오래 전부터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자연 속에서 배우고 생활하며 잘 살고 있다. 이들에게는 사람들이 잘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