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스페셜
"
교수
"(으)로 총 5,54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미 우주 이어 양자기술도 동맹 강화
동아사이언스
l
2021.06.03
미국과 협력하고 있다. 3일 열린 양자정보연구지원센터 간담회에서 김재완 고등과학원
교수
는 “국내 양자 연구 역량은 초기 단계로 선도국과의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미국은 김정상 IonQ 설립자 등 한인 과학자가 활발히 활동 중인 만큼 양국 협력의 지렛대로 적극 활용할 필요가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코로나 시대'의 보통과학자 그리고 과학지식인
2021.06.03
코로나19 사태에서 언론의 가짜뉴스와 싸우며 현장의 치열함을 전하고 있는 이재갑
교수
등이 바로 그들이다. 한국사회는 코로나19라는 위기를 통해 과학기술계와 의학계에서 평범하게 살고 있던 과학지식인들을 소환했다. 코로나19 자체는 비극이지만 이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우리가 얻게된 ... ...
[과학게시판] 2021 페임랩코리아 본선대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03
코리아: 기후변화시대 한국의 국제협력 비전’을 주제로 발표했다. 안성훈 서울대
교수
는 ‘기후변화시대의 지속가능한 그린&스마트 ODA 방안’을 발표했다 ... ...
1년전만 해도 "근거부족"하다던 과학자들, 중국 우한연구소 기원설 왜 다시 주목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6.02
주장도 조심스럽게 지켜봐야할 상황으로 보고 있다. 정용석 경희대 생물학과
교수
는 "바이러스가 인위적으로 만들어졌다는 증거는 전 세계 그 어떤 과학자도 찾지 못했다"며 "'중국 기원설'은 과학적이라기보다는 미국과 중국 간의 정치상황과 같은 사람 문제에 가까워 보인다"고 말했다. ... ...
[랩큐멘터리] 반도체 재료의 대표주자 실리콘 나노기술로 한계 극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2
하는 기술 개발까지 다양한 모험과 도전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오늘도 연구실마다
교수
와 연구원, 학생들이 머리를 맞대고 열정을 펼치고 있습니다. 연구자 한 명 한 명은 모두 하나하나의 학문입니다. 동아사이언스는 210개에 이르는 연구실을 보유한 포스텍과 함께 누구나 쉽게 연구를 이해할 ... ...
코로나19 내년엔 종식될까…인류가 백신에 관해 모르는 세 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21.06.02
접종을 하지 않아도 될 수 있다는 낙관적인 전망도 내놨다. 존 무어 코넬의대 면역학과
교수
는 “인간의 면역 반응은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나고, 면역 체계가 약해지는 시기를 정확히 계산하기가 어렵다”며 “이론적으로는 코로나19 감염 이력이 있고 백신 접종까지 마친 사람에게서 면역력이 가장 ... ...
“한국 배터리 산업은 ‘불안한 1등’ 자리”
동아사이언스
l
2021.06.01
개발과 확보에 주력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최장욱 서울대 화학생명공학부
교수
는 “그간 대부분 기술은 리버스 엔지니어링(이미 만들어진 시스템을 역으로 추적해 설계 기법을 얻는 방식)으로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었다”며 “지능형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은 리버스 엔지니어링으로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로나 시대에 꿈자리가 사나워진 이유
2021.06.01
꿈 덕분에 시냅스 가소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말이다. 논문 말미에서 호엘
교수
는 꿈의 과적합뇌가설이 기존 가설들과 대립하는 게 아니라 해석에 새로운 차원을 더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어찌 보면 꿈에 대한 일반적인 해몽인 셈이다. 그리고 소설이나 영화, 예술 같은 허구의 세계가 ‘꿈의 ... ...
[과학게시판] 우정사업본부, 멸종위기 바다거북 기념 우표 발행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01
마이에스터 독일 레겐스부르크대
교수
가 기조 강연자로 나서고, 챙기 이 중국 베이징대
교수
등 국내외 연사 5명이 발표자로 참여한다. 다음 심포지엄은 7월 14일 RNA 치료제를 주제로 열리며, 마지막 심포지엄은 8월 11일 마이크로 RNA를 주제로 진행된다. 자세한 내용은 심포지아 홈페이지(https://narrykim ... ...
1997~2016년 한국에서 17만명 기후변화로 숨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1
중동 국가들의 데이터가 다른 대륙 국가보다 부족한 부분이 있다고 밝혔다. 가스파리니
교수
는 “그럼에도 모든 대륙에서 인간들은 이미 인간활동의 끔찍한 결과를 경험하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며 “기후변화의 보건 위협에 대한 가장 큰 연구인 이번 연구가 주는 메시지가 분명한 만큼 지금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