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3,859건 검색되었습니다.
‘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07
‘뉴사이언티스트’의 기자이자 과학저술가인 프레드 피어스는 저서 ‘강의 죽음’에서
100
년에 한 번 일어나는 규모의 홍수가 50년 사이에 세 번이나 일어난 다뉴브 강의 사례를 들기도 했다. 물 길들이기와 물 놓아 주기문제는 지금의 4대강 살리기 사업에 이런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 ...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 꿀벌 초유기체
과학동아
l
201007
0m 안에 있을 때는 공중에서 원을 그리고(원형춤) 10∼
100
m 안에 있을 때는 초승달을 그리며
100
m 밖에 있을 때는 숫자 8을 그리는 춤을 주로 춘다는 사실도 알아냈다.벌은 집 안이 더러울 때 나선형을 그리거나 불규칙적으로 이리저리 뛰면서 배를 좌우로 힘껏 흔든다. 꿀과 꽃가루가 가득해 기분이 좋을 ... ...
합성세포, 인공생명체 시대 열었나
과학동아
l
201007
박테리아 세포는 아무 게놈이나 받아들이지 않았고 게놈에 조금만 오류가 있어도(염기
100
만 개 중에서 단 하나만 틀려도) 살아남지 못했다.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 마틴 푸쎈에거 교수는 “만일 합성세포가 자연생태계에 노출된다면 이들은 생태계에 적응된 적수들을 만나게 될 것”이라며 “이 ... ...
2020년 글로벌프론티어연구, 인간과 기술의 경계가 무너진다
과학동아
l
201007
장기 대형 국책연구 사업이며 올해 7개 후보군 가운데 최종 선정된 연구과제 3개는 연간
100
~300억 원씩 9년간 지원 받는다.최종 후보로 올라온 과제들은 미래 먹을거리라는 측면뿐 아니라 과학적 호기심을 자극하기에도 충분하다. 후보군 가운데는 현실과 가상을 통합하기 위한 인체감응 솔루션이 ... ...
part2, 목적에 따른 글쓰기
과학동아
l
201007
하면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다.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width="
100
"> 탐구 내용을 발표할 수 있는 곳 전국과학전람회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주최하고 국립중앙과학관(www.science.go.kr)이 주관하고 있다. 매년 개최하는 전국과학경진대회로서 자연 ...
펠리노의 정체를 찾아서~ 안데스 잉카 문명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6
살며 안데스 사람들에게 털과 고기를 제공해 줬지. 내가 만들어진 것은 1400년 전에서 1
100
년 전 사이의 ‘와리시대’인데, 이렇게 행사용 물 항아리로도 만들어질 정도로 친숙한 동물이었어. …그런데 땅을 상징하는 펠리노가 무슨 동물인지 알고 싶다고? 저 아래 재규어에게 물어 봐~. ▲ 나스카의 새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06
달과 별은 물론 세상 이치에 관한 것이라면 뭐든 내게 물어봐. 이래 봬도 태백산에서
100
년이나 도를 닦은 몸이라구.”장도사의 목소리에선 허풍이 넘실넘실 흘렀다. 작달만한 키에 유난히 가늘고 긴 눈은 간사해 보이기까지 했다. 하지만 그 눈빛 속엔 번뜩이는 총명함이 함께 흘렀다.‘도대체 이 ... ...
플랫랜드 이야기
수학동아
l
201006
사회를 묘사하고, 3차원이라는 고차원의 세상이 있다는 희망을 이야기했습니다. 이 책은
100
년이 넘게 지난 지금도 ‘걸리버 여행기’에 필적하는 고전으로 널리 읽히고 있습니다.모두가 납작한 세계나는 우리의 세계를 플랫랜드라고 부릅니다. 이것은 우리가 그렇게 불렀기 때문이 아닙니다. 다만 ... ...
개인게놈 시대 미리 맛보기
과학동아
l
201006
기술도 초기에는 비슷한 길을 밟았다며 미래를 낙관하고 있다. DNA해독 비용이 더 떨어져
100
만 원 정도에 개인의 전체 게놈 데이터를 얻을 수 있고 유전자와 질병, 약물의 관계가 좀 더 명확하게 밝혀지는 수년 뒤에는 개인게놈 정보가 건강관리의 필수적인 항목이 될 수밖에 없다고 믿기 때문이다 ... ...
게놈 통째로 바꾼 인공생명체 첫 탄생
과학동아
l
201006
완벽하게 밝혀냈다. 그래야 제대로 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이코이즈의 DNA 염기는 약
100
만 쌍에 달한다. 이어 마이코이즈의 게놈과 동일하게 복제하기 위해 퍼즐처럼 DNA 조각들을 맞춰 완성했다. 인공 게놈을 만들기 위한 핵심 기술은 얼마만큼 정확한 순서대로 DNA 조각들을 잘 꿰맞추느냐에 ... ...
이전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