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날"(으)로 총 6,527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화성에 WI-FI만 터졌더라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친구와 카톡으로 문자를 주고받을 때, 데이터가 절대 스마트폰에서 스마트폰으로 바로 날아가지 않는다. 통신망 내 연결지점을 의미하는 ‘노드’를 무수히 지난다. 노드는 정보를 인식한 뒤 처리하거나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중간전달자들이 있어야 정보가 손실되지 않고 무사히 끝점까지 ... ...
- [Hot Issue] 조선시대에도 5차 방정식을 풀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중 하나였다”고 말했다.더군다나 문인은 호조를 이끄는 호조판서가 될 수도 있다. 오늘날의 기획재정부 장관과 비슷한 위치다. 김 교수는 “지금은 과학을 잘 몰라도 과학관련부서의 장관을 맡을 수 있지만, 조선시대엔 그렇지 않았다”며 “호조를 이끌기 위해선 아래 관원들보다 산학을 잘해야 ... ...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현장에서 드라마에 나올 음식을 요리하기도 하고, 요리에 대한 자문을 하시느라 바쁜 나날을 보내고 계시대요. 양지훈 셰프가 전하는 맛있는 요리의 비밀은 뭘까요?“전 재료 본연의 맛을 살려야 맛있는 요리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저는 2006년부터 분자요리를 다양하게 해 봤어요. 그런데 요리에 ...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1 수학으로 깨어난 드론의 운동신경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드론의 모양과 크기는 다양하지만, 최근에는 드론이라고 하면 프로펠러 4개가 달린 모양의 ‘쿼드콥터’를 떠올리기 쉽습니다. 드론 중에서도 쿼드콥터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1 수학으로 깨어난 드론의 운동신경[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2 똑똑한 드론의 임무 수행기 ... ...
- 백투더퓨처 2015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이비코와 IFW 드레스덴 공동연구팀은 ‘렉서스 호버보드’를 개발해, 사람이 타고 날아다니는 모습을 유튜브에 공개했다. 아직까지는 30cm 정도 공중에서 15분가량 나는 수준이다. 하지만 U자형 길에서 묘기를 부리거나 물 위에서도 달릴 수 있다 (영화 속 호버보드는 물에서는 멈춘다). 영상에서는 잘 ... ...
- HFT, 인간을 주식시장에서 쫓아내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다른 딜러를 찾아서 원래 시세대로 팔아 앉은 자리에서 500만원을 벌 수 있다. 시라오도 그날 하루 동안 컴퓨터 앞에서 87만9000달러를 벌었다. 플래시 크래시의 여파로 스푸핑은 미국에서는 2010년, 유럽에서는 2012년 전면 금지됐다.하지만 아직도 스푸핑을 이용한 주가조작이 공공연하게 횡행하고 ... ...
- [Hot Issue] 스무 살 맞은 한국 토종 로봇축구대회, FIRA컵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엎드려 통과하자 모두가 환호하며 박수를 보냈다. 인간과 휴머노이드가 팀 이룰 날 꿈꿔FIRA컵의 미래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김 교수는 “시점을 언급하기는 이르지만, FIRA컵이 휴머노이드 기반의 인공지능 로봇축구대회로 가야 하는 것만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기존 중앙제어식 로봇 축구에 대한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나무를 뜻하는 ‘나무 목’과, 물건이 높이 올라감을 뜻하는 ‘표’로 이루어졌다. 옛날 중국에서 종이 대신 나무에 표시하던 것에서 유래했다.‘시각’에서도 기준이 되는 것이 있다. 만약 기준이 없다면, 서울과 독도에서 태양이 뜨는 시각이 다른 것처럼 지방에 따라 시각이 다를 수 있다. 우리가 ... ...
- [Knowledge] 예수는 어떤 와인을 마셨을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눈에 띄는 것은 당도였다. 170년 전 샴페인에는 설탕이 리터당 150g이 들어있었다. 오늘날의 샴페인의 리터당 설탕 농도는 6~8g 정도다. 이처럼 높은 당도는 당시 사람들의 입맛을 적극 반영한 것이다. 마담 뽕사르당이 러시아 상트페테istockphoto르부르크의 고객과 나눈 편지에는 “러시아 사람들은 식탁 ... ...
- 유명 학자 연구도 비판하는 정신 필요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동해광희고 교사는 “상대적으로 교육 기회가 적은 강원도 아이들에게 과학자를 직접 만날 계기를 마련해주고 다른 학교 친구들의 수준도 보게 하기 위해 매년 데려오고 있다”며 “강연 후 질문 시간이 10여분으로 짧아 아쉬운데, 시간을 늘리면 더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 ...
이전1931941951961971981992002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