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해부용 시체 카데바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소아에게서만 볼 수 있고 나이가 들수록 백색지방세포로 대치된다. 이는 미숙했던 온도
조절
뇌중추가 발달하면서 갈색지방세포가 퇴화하기 때문이다.피하지방 근처에는 피부밑신경이라는 얇은 신경이 있다. 메스를 피부 깊숙이 찌르면 쉽게 끊어질 수 있어 해부할 때 조심해야 한다.사실 ... ...
로스웰 사건의 실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나타내는 일련의 2진숫자의 기억장치 1963년 F 자코브에 의해 제창된 염색체 복제의
조절
기구에 대한 작업가설 자율적 복제 단위를 레플리콘이라 한다 예컨대 대장균의 염색체 DNA에는 그것 자체가 하나의 레플리콘이며, 에피솜(episome) · 플라스미드 등도 각기 레플리콘이다 각 레플리콘에는 ... ...
2. 세포의 달콤살벌한 하루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칼슘과 나트륨 이온이 유입된다.만약 세포가 칼슘과 나트륨 이온의 농도를 정상 상태로
조절
하지 못하면 세포는 죽는다. 지속적인 흥분상태에 시달리다가 세포가 손상된다. 이것이 우리가 흔히 뇌졸중으로 부르는 질환이다.고 교수는 “한번 손상된 뇌세포는 되살아나지 않는다”며 “뇌졸중이나 ... ...
PART1. 향기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대뇌변연계는 뇌의 가운데에 있는 영역으로, 좋고 나쁨, 공포 등의 복잡한 감정을
조절
한다. 다른 감각들에 비해 냄새 정보는 뇌에서 곧바로 대뇌변연계에 들어가 정서를 담당하는 곳에 이르게 된다. 그 결과 빠르게 감정을 자극하고, 감정과 관련된 기억이 떠오르기 쉽다. 어떤 냄새가 좋은지 ... ...
PART1 비교체험 KAIST vs. 포스텍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9월에 있을 자동차대회를 준비해 체력을 다질 계획. 드라이버로 참가하려면 체중을
조절
해야 하기 때문에 수영과 조깅에 매진 중.●●KAIST 산업디자인학과 디지털미디어혁신센터에 창업 관련 사업계획서와 제품개발 제안서를 낼 계획. 산업자원부나 중소기업청에서 10억원 정도의 정부투자자본금을 ... ...
광선총 든'산화물 해결사'가 떴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얇게 쌓인다. 레이저 광선의 세기와 쏘는 시간을
조절
하면 쌓이는 층의 두께를
조절
할 수 있다.연구단은 강유전체를 세계에서 가장 얇게 쌓은 기록을 갖고 있다. 강유전체의 성질을 잃지 않는 한도에서 가장 얇아질 수 있는 한계는 이론적으로 2.4nm(나노미터, 1nm=10-9m)로 알려져 있었지만 누구도 이를 ... ...
동물과 대화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없다면 사람의 말을 흉내낼 순 없을 거예요. 앵무새의 뇌에는 다른 새에게는 없는 발성
조절
및 소리 학습을 담당하는 영역이 있답니다. 사회성도 강해서 사람들의 말을 따라하면서 사람과 어울리려고 하는 것이죠. 멋진 외모에 똑똑하기까지 하다니 다른 새들이 질투나겠어요앵무새들은 어떤 ... ...
가짜는 살아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뼈와 이를 만들 때 쓰인다. 고분자 재료를 이용하면 분자들의 물리, 화학적 성질을
조절
해 다양한 장기를 만들 수 있다.인체 조직을 만들 때 생체재료 삼총사가모두 출동하는 경우가 많다. 인공심장은 심장 본체는 고분자 재료로 만들고 심장 판막이나 박동기는 금속으로 만든다. 생체재료를 이용한 ... ...
날아다니는 과학상자 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넘어서면 침을 삼키거나 귀를 손가락으로 막았다 열었다 하는 동작으로도 중이의 압력을
조절
하기 힘들어진다.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 기술안전본부 최일섭 본부장은 “엘리베이터가 빠르게 움직이더라도 고막 양쪽의 기압차를 1800Pa 이하로 유지하면 불쾌감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 ...
흰 설탕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치료제에 대한 대대적인 연구가 이뤄졌다.최근 세계적으로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치매
조절
제의 판매는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으니 미국 제약회사들은 노망한 전직 대통령에게 큰절이라도 올려야 하지 않을까 싶다.우울증 환자는 판단력이 감소하는 경우가 많아 우울증 치료제를 복용하면 ... ...
이전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