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변
환경
둘레
근처
외주
원주
가장자리
d라이브러리
"
주위
"(으)로 총 3,171건 검색되었습니다.
④ 미시세계에서 우주까지 설명하는 만물박사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일반적으로 가장 낮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이 분자가 안정한 구조를 유지하는 이유는
주위
에서 얻는 열에너지 등이 다음 에너지값으로 도약하기에는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게놈 등 거대 분자가 안정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는 것도 결국은 양자론 덕분인 것이다. 만약 X선과 같은 강한 ... ...
호킹이 연구하는 최신 막 우주론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막에 들러붙어 살고 있다는 것이다.이 4차원 막은 엄청난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서 그
주위
의 시공간이 강하게 휘어 있을 뿐 아니라 우리의 우주도 여기에 아주 작게 말려 있어 볼 수 없는 반면 막 우주론은 우주 바깥이 말려있지 않더라도 관측할 수는 없다고 설명한다 ... ...
향기속에 살다간 후각의 천재들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해도 내 코는 지나간 여름과 무르익는 들판의 달콤한 기억을 일깨우는 향기로 가득 찬다."
주위
의 걱정스런 시선을 받으며 복숭아 나무 사이를 뛰어다니는 어린 헬렌의 모습이 손에 잡힐 듯하다 ... ...
가을에 만나는 황도 별자리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있다. 황도 12궁의 10번째 별자리인 염소자리는 3등성 2개와 4등성 10여개로 이루어지는데,
주위
에 별이 드물기 때문에 가을 남서쪽하늘에서 의외로 잘 보인다. 송나라 시인 소동파가 1082년 음력 7월 16일 밤에 지은 적벽부 속에는 다음과 같은 유명한 시구가 나온다. “少焉, 月出於東山之上, ... ...
만약 전자의 스핀이 0으로 된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같은 상태에 있으려고 하는 경향이 강한 보존이 되므로 원자들이 여러개 있으면 원자들
주위
에 전자들이 있으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수소 같은 경우에는 원자가 두 개 모여 수소 분자를 이루고 스핀이 반대인 전자들이 쌍을 이루어 안정된 분자를 이룬다. 만일 전자의 스핀이 0이면 수소원자를 ... ...
허블 우주망원경 혜성핵 붕괴현상 포착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긴 꼬리를 만들어낸다.물론 리니어 혜성처럼 핵이 완전히 부서지지는 않고 밝은 핵
주위
로 승화된 가스가 코마를 형성한다.일부 천문학자들은 리니어 혜성에서 현재 보이는 조각들을 태고부터 혜성핵을 이룬 기본단위로 생각한다.이들은 혜성체라 불리는데,이론적으로 지름이 10여m의 크기를 가진다 ... ...
극지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변화한다. 그런데 여름이 되면 이것이 원상태로 회복돼 지구의 자전축은 극점
주위
를 1년 걸려서 이동한다.또하나 중요한 극점이 지자기극점이다. 지구는 거대한 하나의 막대자석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 막대자석의 자력선을 따라 나침반이 위치하므로 우리가 남북을 알 수 있다. 엄밀하게 말하면 ... ...
Ⅰ. 지평선의 보름달이 커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한다는 것이다. 즉, 몇일 간격으로 찍은 달 사진으로 비교해서는 안된다. 달은 지구
주위
를 타원운동하면서 한달 동안 지구에 접근하기도, 멀어지기도 하기 때문이다. 달이 지구에 가장 가까워졌을 때와 가장 멀어졌을 때 나타나는 겉보기크기의 차이는 최대 약 17%나 된다.보는 것을 믿지 ... ...
짧은 파장을 얻으려는 시도에서 출발한 레이저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자기 나름대로 빛을 방출한다.이 광선의 일부는 막대와 평행한 방향으로 나가면서
주위
에 있는 원자를 들뜨게 한다.이때 들뜬 원자들은 또 빛을 방출하고 막대 끝까지 옮겨가 거울 같은 면에 닿는다.이 면에서 반사된 광선은 루비원자가 모여있는 막대 속을 다시 이동한다.반대 방향으로 다른 ... ...
태양계 밖 행성 10개 무더기 발견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인식하고 있다.위의 방법들과는 달리 직접적으로 행성을 찾는 식측정법이 있다. 별
주위
를 공전하는 행성이 별을 가릴 때의 광도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행성의 존재를 알아내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 검출한 행성은 1개(HD209458)에 불과할 정도로 탐색이 어렵다. 관측자의 시선방향에서 ... ...
이전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