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현재"(으)로 총 11,770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아슬아슬 전선 위의 미션 블랙아웃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그래서 요즘처럼 전기사용량이 급격하게 늘어나는 한여름에는 사용량을 예측하고, 현재 만들어지고 있는 전기가 부족하지 않도록 발전소를 더 많이 작동시켜요. 이렇게 예측된 사용량보다 여유 있게 전기를 만드는것을 ‘예비전력’이라고 해요.하지만 예비전력으로 블랙아웃을 대비하기에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전세계를 거미줄처럼 연결한다?! 해저 케이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바다를 사이에 두고 떨어진 두 지역은 바다에 설치된 해저 케이블을 이용해 통신하지요.현재 420개, 110만km 이상의 해저 케이블이 전세계를 거미줄처럼 연결하고 있어요. 바다를 건너는 인터넷 데이터의 약 99%가 해저 케이블로 전송된다고 알려져 있지요. 나머지 1%는 인공위성이 담당하고 있어요. ... ...
- [특별 JOB 인터뷰 2] 잎새에 숨겨진 표정을 찾는 사람, 식물세밀화가 이소영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식물을 좋아하는 마음’이에요. 끈기 있게 식물을 들여다볼 수 있어야 하거든요.” 현재 우리나라에서 활동하는 식물세밀화가는 손가락으로 꼽을 정도로 적다고 해요. 작가님은 “학술 분야뿐만 아니라, 화장품, TV 예능프로그램 등 식물 그림을 원하는 곳은 생각보다 많다”고 얘기해 주셨어요 ... ...
- Part 4. 다이아몬드, 인공적으로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인공 다이아몬드를 공업용이 아닌 보석으로 대량 생산하는 것은 처음이에요. 현재 다이아몬드 1캐럿의 가격은 최대 800만 원 정도인데, 인공 다이아몬드로 만든 보석은 10분의 1 가격인 85만 원 정도라고 해요. 그렇다면 보석으로 사용될 다이아몬드는 어떻게 만들까요? 우선 작은 다이아몬드 결정을 ... ...
- Part 1. 한반도, 정말 아열대가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1년 중 8개월을 넘는 기후’를 아열대라고 불렀어요. 이 기준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선 현재 제주도와 한반도 남쪽 일부 지역만 아열대 기후에 속한답니다. 하지만 앞으로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지역은 점차 늘어날 거예요. 실제로 지난 50년간 한반도의 연평균 기온과 수온은 모두 1℃ 정도 ... ...
- [과학뉴스] 1억 2500만 년 전 비듬의 주인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오래된 비듬은 미크로랍토르의 화석에서 나왔지요. 연구진은 이 비듬을 통해 공룡이 현재의 파충류처럼 피부를 한꺼번에 벗는 탈피를 하는 대신 깃털 사이로 피부 조각을 흘려보내는 방식을 택했음을 알 수 있었어요.나아가 연구진은 화석 비듬을 현대 조류의 비듬과 비교했어요. 그 결과 현대 ... ...
- Part 5. 2017년 한반도 열대과일 재배 현황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2017년 428.6ha로 늘었답니다. 2020년에는 재배 면적이 1000ha를 넘을 것으로 예상하지요. 현재 우리나라에서 재배할 수 있는 열대과일에는 망고, 패션 후르츠, 구아바, 용과, 파파야, 바나나 등이 있답니다. ●헥타르(ha):면적을 나타내는 단위(1ha=10000m2).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던 과일들의 경우, 재배 지역이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학교 밖 체험 다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이야기 해 드릴게요. 자율주행 자동차는 단계별로 할 수 있는 일이 달라요. 총 5단계 중 현재 개발된 건 4단계라고 해요. 지난 평창동계올림픽에서는 서울에서부터 평창까지 4단계 자율주행 자동차로 운전을 하여 무사고로 도착했지요.먼저, 자율주행 자동차 레벨 0은 자율주행기술이 없는 자동차를 ... ...
- [해외취재] 아리안5에서 엑소마스까지…. 유럽 우주 개발 현장 탐방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더 정확한 위치 정보를 사용할 수 있지요. 이 전체과정은 2초가 채 걸리지 않는답니다. 현재 우리나라도 2020년부터 사용을 목표로 한국형 위성기반 보강항법시스템인 ‘KASS’를 개발하고 있어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SBAS 기술팀 이은성 책임연구원은 “KASS를 이용하면 기존의 GPS 오차의 10분의 1 ... ...
- Part 3. 한반도에 상륙한 무서운 녀석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가장 큰 규모지요. 이렇게 대규모로 움직이는 탓에, 피해도 크고 퇴치도 어렵답니다. 현재 환경부 및 여러 연구팀은 벌집 추적 기술, 페로몬 유인액, 덫 등을 사용해 등 검은말벌이 퍼지는 것을 막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지요. 기후변화의 불청객, 진드기한반도의 기온이 올라가면서 진드기의 ... ...
이전1931941951961971981992002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