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347건 검색되었습니다.
암 환자의 또다른 고통 ‘섭식장애’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8
췌장암 환자에서 INSL3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암 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INSL3)이
뇌
신경계의 식욕 조절에 관여하는 신경세포에 작용해 암 환자의 식욕을 감소시킨 것이다. INSL3 단백질이 암 환자 섭식장애를 유발하는 중요한 신호인자라는 사실을 규명했다. 유권 생명연 책임연구원은 ... ...
[사이언스N사피엔스]성당의 스팬드럴과 진화론
2021.02.18
인간을 결정한다는 결론으로 빠지지 않느냐는 비판이 줄을 이었다. 과학자들의
뇌
리 속에는 우생학 등 ‘나쁜 과학’의 기억이 남아 있다. 사회생물학이 세상의 불공평이나 차별을 유전자의 이름으로 정당화한다는 비난은 어쩌면 당연한 반작용이었는지도 모른다. 그 선봉격이었던 사람이 ... ...
"보행 패턴으로 인지기능 저하 예측 가능"
연합뉴스
l
2021.02.17
분석했다. 그 결과 보행 변이성이 인지장애와 운동조절(motor control) 모두와 연관이 있는
뇌
부위에서 발생하는 중요한 표지라는 강력한 증거가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보행 변이성이란 보행 시 걸음마다 보폭과 타이밍이 달라지는 것을 말한다. 특히 보행 변이성이 크면 알츠하이머 ... ...
[소재의 미래_마지막 이야기]"소재 혁명은 학문의 경계서 시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7
빛에서 파장이 400~700nm(나노미터·10억 분의 1m) 범위의 가시광선만 선택적으로 흡수해
뇌
가 정확한 색을 인식하도록 하지만 이미지 센서는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긴 적외선까지 흡수하기 때문에 적외선이 가시광선에 섞여 해상력이 떨어진다. 적외선 중에서도 가시광선의 파장 범위인 700nm에 가까운 ... ...
[의학바이오게시판] 아시아당뇨학회 리더십상에 윤건호 서울성모병원 교수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2.17
지원으로 인간
뇌
자원을 확보·관리해 필요로 하는 연구자들에게 공급하기 위해
뇌
연구원 내에 설치됐다. 김 신임은행장은 대한병리학회 회원과 국제신경종양학회 회원, 국제세포병리학위원회 회원 및 유럽신경병리학학회 회원 등을 맡고 있다. ■한양대병원은 9일 서울 성동구 병원 동관에서 ... ...
[과기원은 지금] KAIST, 퀀텀닷 생생히 보는 AI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2.17
T세포의 종양 유입은 적은 반면 감마델타 T세포가 많을수록 환자 예후는 좋았다.
뇌
종양 생쥐모델에 과도한 산소대사를 막는 메트로포민을 투여하자 면역세포의 종양조직 내 침투가 늘고 생존률이 높아졌다. 연구결과는 1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면역학’에 발표됐다 ... ...
[랩큐멘터리] 전신 순환하는 면역세포에서 희망을 길어올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1
몸에는 총 2000여종의 미생물 수백조 개가 살고 있다. 대부분은 장에 존재하며 장, 폐, 간,
뇌
등에서 일어나는 생명 현상에 관여한다. 연구실은 골수에 있는 CX3CR1+ 단핵구세포가 미생물 신호를 받아들여 조혈작용을 조절하는 기전을 밝혔고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블러드’ 2019년 10월호 표지 ... ...
태아 때 카페인 노출되면 아동기 행동장애 위험 커져
연합뉴스
l
2021.02.10
한계로 꼽힌다. ABCD는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자금을 받아 진행되는, 최대 규모의
뇌
발달 및 아동 건강 연구 프로그램이며, URMC를 비롯한 미국 내 21개 기관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취합한다. 논문의 제1 저자인 제커리 크리스텐슨 박사는 "의사들이 제시하는 임신 중 카페인 섭취 가이드라인은 ... ...
[과기원은 지금] GIST.
뇌
생체시계가 난자형성 일주기 리듬 만드는 원리 밝혀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2.10
난자형성 일주기 리듬을 만드는 원리를 밝혔다고 9일 밝혔다. 연구팀은 노랑초파리
뇌
에 존재하는 10만 개 신경세포 중 6쌍의 생체시계 신경이 신경단백질을 통해 인슐린 성장호르몬 분비 세포 활성을 주기적으로 억제하고 이를 통해 난자 형성을 촉진하는 ‘유약호르몬’ 분비 리듬을 생성하는 것을 ... ...
국민10명 중 4명 '코로나 우울' 겪는 시대 일상복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21.02.06
환자 26명을 대상으로 9주간 인지치료를 진행했다. 그리고 인지치료 전과 후 환자들의
뇌
를 기능적자기공명영상(fMRI)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인지치료 이전에 비해 이후에 편도체 회색질 부분 부피가 줄어들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편도체 신경세포의 반응도도 감소했다. 연구팀은 불안장애 환자의 ... ...
이전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