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뉴스
"
신경
"(으)로 총 5,175건 검색되었습니다.
'킁킁킁' 냄새로 코로나19 감염자 찾아내는 '인공 코'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4
개코의 형태적인 모습만 모방하는데 그쳤다면 최근에는 인공지능(AI)이 도입되고
신경
세포까지 모방하게 되면서 많은 개발품들이 상용화 단계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 ...
[의학바이오게시판] 글로벌 임상시험 전문가 심포지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04
전문의로 구성된 맞춤형 치료센터다. 두개저 종양은 두개골을 통과하는 뇌의 다양한
신경
과 혈관으로 인해 환자의 중증도가 높고 치료도 매우 어렵다. ■셀트리온은 4일 바이오의약품 업체 이셀과 관련 자재 국산화 협약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셀은 셀트리온에 정제 공정에 사용되는 일회용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코로나 시대'의 보통과학자 그리고 과학지식인
2021.06.03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초파리 수컷의 교미시간이 환경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신경
회로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모두가 무시하는 이 기초연구가 인간의 시간인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다닌다. 과학자가 되는 새로운 방식의 플랫폼, 타운랩을 준비 중이다. 최근 초파리 ... ...
뇌
신경
세포망 모방한 인공섬유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6.03
책임연구원은 “개발된 인공섬유소자는 실제 뇌
신경
망과 유사한 대규모의 저전력 인공
신경
망을 실현할 수 있는 원천기술”이라며 “유연한 특성을 바탕으로 AI 반도체소자와 웨어러블, 로봇공학 분야 활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 ...
약물 전달한 뒤 사르르 녹는 얼음 미세침
과학동아
l
2021.06.03
고통 없이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미세침은 주사를 대체할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통각
신경
에 채 닿지 않는 피부 아래 1mm 이내의 깊이로 미세한 침을 찔러 약물을 투여하는 방식이다. 다만 지금까지 개발된 미세침은 피부에 붙인 뒤 약물 주입이 끝나면 다시 떼어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 ...
[과기원은 지금] GIST, 한국문화기술연구소 ‘물은 기억한다’ 부산현대미술관 전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03
분자 수준에서의 메커니즘을 처음으로 밝혔다. 또 이 현상이 과도하게 일어날 때
신경
세포의 흥분성 증가로 발작과 같은 뇌 질환이 일어날 수 있음을 입증해 국제 학술지 ‘엠보저널’에 발표했다 ... ...
"미세먼지 노출, 후각에도 영향"
연합뉴스
l
2021.06.02
가능성이 1.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미세먼지 노출이 후각 기능을 관장하는
신경
을 손상하는 것인지 아니면 코점막에 염증을 일으켜 후각 기능 손상이 오는지는 알 수 없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또 초미세먼지 노출과 관련된 후각 기능 손상이 영구적인 것인지도 분명하지 않다고 연구팀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로나 시대에 꿈자리가 사나워진 이유
2021.06.01
대해 고민하다 최근 뜨는 인공지능 분야에서 그 답을 찾았다. 다층구조 형태의
신경
망을 기반으로 하는 머신러닝(기계학습) 분야인 딥뉴런네트워크(deep neural network. 이하 DNN)다. DNN은 사람의 뇌처럼 다량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높은 수준의 추상화(일반화) 모델을 구축하는 기법이다. 그런데 DNN을 ... ...
"우리 손으로 만든 우주발사체, 우리 발사대에서 세우는 꿈 이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1
쏟아 부을 예정이다." -누리호를 1단부터 3단까지 조립해 공개한 것은 처음인데 특별히
신경
쓴 점이 있나 " 발사대를 구축하면서 실제 발사체와 동일한 모형을 갖고 여러 차례 이송 연습을 했다. 누리호는 나로호에 비해 20여미터 길이가 길다. 또 무게가 무겁다보니 이송과정이 만만치 않았다. ... ...
[인간 행동의 진화] '남 잡이가 제 잡이'
2021.05.30
모르는 일이다. 아직은 잘 모르겠다. ※필자소개 박한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신경
인류학자.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진화인류학 및 진화의학을 강의하며, 정신장애의 진화적 원인을 연구하고 있다. 동아사이언스에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인류와 질병'을 연재했다. 번역서로 《행복의 ... ...
이전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