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뉴스
"
이후
"(으)로 총 12,515건 검색되었습니다.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로봇수술 2000례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23.04.13
센터’를 구축해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라며 “수술 결과뿐만 아니라 수술
이후
환자의 삶의 질까지 고려해 맞춤형 치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
해외여행 안한 엠폭스 확진 1명 추가…누적 9명, 위기경보 ‘주의’ 격상
동아사이언스
l
2023.04.13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 발진성 질환이다. 중서부 아프리카의 풍토병이었다가 지난해 5월
이후
세계 각국으로 확산했다. 대부분 2~4주 후 자연 치유되고 치명률은 1% 미만으로 보고된다. 방역 당국은 엠폭스의 국내 지역사회 감염 사례가 잇따라 발생하자 위기경보 수준을 '관심'에서 '주의'로 높이고 ... ...
사슬처럼 이어진 구멍들...'다누리'가 찍어 보낸 달 뒷면
동아사이언스
l
2023.04.12
팰컨9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지난해 12월 달 상공 100km의 임무궤도에 안착했다.
이후
시운전 등의 과정을 거치고 지난 2월부터 본 임무에 착수했다. 이번 영상은 다누리에 탑재된 고해상도카메라(LUTI)가 촬영한 것이다. 슈뢰딩거 지역 외에도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 지역 등을 촬영했다. 한국이 ... ...
[과학게시판] 과기정통부, 5월 31일까지 국가연구개발제도 개선의견 수렴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4.12
국가연구개발제도 개선의견 수렴 접수 페이지.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 홈페이지 캡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월부터 오는 5월31일까 ... 전문가가 참여해 소재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국내 유일의 소재기술백서다. 2009년 첫 발간
이후
올해까지 열네번째 꾸준히 발행되고 있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두창'과 잉카 문명의 멸망...분분한 해석과 교훈
2023.04.11
사라지고 말았다. 16세기 문헌 플로렌티아의 서 삽화 - 에스파냐의 멕시코 정복
이후
나후아족 사람들에게 천연두가 발병한 것을 묘사하고 있다. 위키미디어 제공 ● 잉카문명 멸망의 가장 중요한 이유는. 윌리엄 맥닐은 두창의 유행에 의해 왕이 갑자기 세상을 떠난 후 내란이 일어난 것이 ... ...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18) 위성 실리는 공간 내부 초미세먼지도 잡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0
장충효 에너베스트 대표. 대전=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에너베스트는 3차 발사
이후
에도 우주 산업에 참여하겠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누리호 고도화 사업이나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 등에 참여할 계획이다. 회사 재무 구조상 현재 우주산업의 비중은 40~50% 정도를 차지한다. 장 대표는 ... ...
코로나 확진 4005명…위중증 127명·사망 8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4.10
전날과 같다. 전날 사망자는 8명, 직전일은 2명이었다. 사망자 2명은 지난해 7월 5일 2명
이후
9개월 만에 가장 적은 수준이었다. 누적 사망자는 3만4332명, 치명률은 0.11%다 ... ...
기후변화가 메이저리그 홈런수 늘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0
경기에선 기후변화에 영향을 받은 홈런의 비중이 더 늘어날 것이라 전망했다. 2010년
이후
메이저리그 경기에서 나온 홈런 중 1% 가량이 기온상승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는데 지표면 온도가 이보다 높아지는 2100년에는 시즌 당 10% 가량의 홈런이 기온 상승의 영향을 받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
국내 6번째 M두창 환자 발생...첫 지역사회 감염
동아사이언스
l
2023.04.09
왔다. 사람이 걸리는 천연두와 비슷하지만 증상이 더 약하다. 증상은 독감과 비슷하며
이후
림프샘이 붓고 얼굴을 비롯한 몸에 발진이 나타난다. 증상이 없으면 전파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중·서부 아프리카에서는 풍토병이 됐다 ... ...
베일 벗는 '손끝의 암호' 지문...'나노' 인공 지문까지 나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4.08
배아 세포(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된 상태부터 8주까지의 개체를 배아라고 말하며, 그
이후
를 태아라고 한다)가 발달하는 과정을 관찰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지문을 만드는 데 참여하는 세 가지 단백질 분자를 발견했어요. 지문의 움푹 들어간 부분을 만드는 단백질(WNT)과 융선 사이의 간격을 ... ...
이전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