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차이나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쭝국
중국문학
문학
중화
스페셜
"
중국
"(으)로 총 2,25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2018.10.02
‘이 녀석을 데리고 가서 키우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면서 주위를 두리번거렸다. 옛날
중국
의 상류층에서 긴팔원숭이를 애완동물로 키웠다는 게 이해가 됐다. 그런데 긴팔원숭이의 주거환경이 너무 열악했다. 동물원에는 유인원관이 있지만 소형 유인원인 긴팔원숭이는 입주권이 없었다. 대신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울트라디언 리듬을 알면 삶이 편해진다
2018.09.26
보인다는 사실을 밝힌 것이다. 반면 시교차상핵(SCN)은 이런 리듬을 발생시키지 못했다.
중국
푸단대와 일본 홋카이도대 공동 연구자들은 생쥐의 시상하부에서 SCN과 SPZ, PVN이 포함된 절편 시료를 얻어 배양하면서 칼슘 리듬을 분석했다. 세포 내 칼슘 농도는 뉴런의 활동성을 반영하는 지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BMAA가 고농도로 존재한다는 식재료로 밝혀진 게 상어지느러미, 즉 샥스핀이다.
중국
의 3대 진미라는 샥스핀이야 고급 요리에나 들어가는 것이라 서민들은 먹을 기회도 없고 상어 학살 논란도 있고 해서 먹지 않는 사람도 많다는 게 그나마 다행이다. 미국의 유행병학자 레너드 컬랜드는 195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천식에서 암에 이르는 다양한 질병에 타란툴라 거미의 독을 이용했다.
중국
이나 우리나라는 ‘오공(蜈蚣)’이라는 약재명으로 지네를 썼는데 만성통증과 어혈(瘀血)을 풀어준다고 한다. 한약재를 파는 곳에서 말린 지네 묶음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또 피부의 독액을 포함하고 있는 말린 두꺼비 ... ...
[표지로 읽는 과학] 미국이 슈퍼컴·양자컴 연구에 매진하는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18.07.28
못했다. 서밋은 미국에게 5년 만에 1위 자리를 선사해 준 슈퍼컴퓨터다. 직전까지 1위였던
중국
의 타이후라이트보다 약 1.5배 빠른 속도(122페타플롭)를 자랑한다. 잡지 표지에 등장한 사진답게, 소위 ‘포샵’을 많이 한 사진이다. 슈퍼컴퓨터는 거대한 기계로, 실제로 보면 복잡한 기기를 가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76억 명의 18.2%를 차지한다. 다음으로 가파른 증가세는 ‘기타 아시아’다(노란색). 즉
중국
과 인도를 뺀 아시아 나라들로 우리나라가 포함돼 있다. 반면 인구 13억 3000만 명으로 세계인구의 17.5%를 차지하는 인도의 육류소비량은 여전히 미미하다(보라색). 힌두교의 윤회론에 따른 채식주의 실천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국, 日-中 빠진 '우리만의 리그'에서 아시아 과학 허브 한자리 차지?
동아사이언스
l
2018.07.01
과학 연구 현황을 다루고 있다. 아시아의 과학 허브라는 말에서 가장 먼저 떠오르는
중국
과 일본은 제외돼 있다. 세계 과학 무대에서 ‘메이저’ 대접을 받고 있는 두 나라를 아예 뺐다는 것은, 영미권 잡지가 ‘마이너 리그’로 간주하는 나머지 국가를 아시아 국가라는 이름 아래 묶어 소개하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
2018.06.19
미 캘리포니아공대 교수조차도 “아인슈타인의 일기 중 상당한 내용이 불쾌했다. 특히
중국
관련 내용이 그랬다. 이는 위대한 인도주의자로 비쳤던 그의 이미지와 상반된다”고 비판했다고 한다. 여행 일기를 소개한 영국의 일간지 가디언은 사설에서 “아인슈타인은 공감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 ...
북한 지하 100~300m 매장 광물자원, 원격으로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15
“같은 광물자원도 어느 광상에서 채굴한 것인지에 따라 특성이 달라진다. 이 때문에
중국
무역업체를 통해 입수한 북한의 실제 광물자원 시료를 활용해 효율적이고 광물의 고부가가치화가 가능한 공정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며 “향후 남북 간 협력 물꼬가 트이면 마그네사이트 합금과 희토류 ... ...
[강석기의 과학카페]머리 큰 사람 vs 작은 사람, 뇌 구조도 다르다
2018.06.05
두개골 형태를 볼 때 네안데르탈인의 사촌인 데니소바인으로 보는 사람들이 많았다.
중국
동부 허난성에서 발굴된 약 11만 년 전 인류의 두개골. 무엇보다도 뇌용량이 1800cc에 이르러 현생인류보다 훨씬 크다. 아래 지도는 화석이 나온 링징(Lingjing site)의 위치를 보여준다. - 사이언스 제공 당시 ... ...
이전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