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7,756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타이타닉에서 크루즈까지
과학동아
l
201204
새로운 설계를 도입했다. 이제는 과학으로 거듭난 대형 여객선이 타이타닉이 잠든 바다
위
를 누비고 있다. 과학의 눈으로 초호화 거대 여객선의 과거와 현재를 함께 되짚어 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타이타닉에서 크루즈까지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Part2. ... ...
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
과학동아
l
201204
양측 모두 타이타닉 본체를 인양하는 데는 부정적이다. 당분간 타이타닉이 다시 수면
위
로 떠오르기는 어려울 듯하다. 인류 역사상 가장 유명한 침몰 사건의 주인공인 타이타닉은 아직도 비극의 장소에 그대로 머문채 자신의 뒤를 이은 거대 선박이 대양을 활보하는 모습을 조용히 지켜보고 있다 ... ...
“녹색 지구 만든 조류(藻類)의 비밀을 밝히고 싶습니다!”
과학동아
l
201204
미국 아이오와의 끝없이 펼쳐진 옥수수 밭의 황량함이 잊혀지지 않는다. 전 해에 박사학
위
를 받은 그는 박사후과정으로 아이오와대를 택했고 아내와 아이와 함께 낯선 이국땅에 발을 디딘 것. 처음엔 말도 통하지 않고 막막했지만 하루 이틀 지내다보니 적응이 됐다.그가 일하게 된 실험실의 ... ...
낙엽의 재발견
과학동아
l
201204
많았다.버섯은 보통 나무나 봉지, 병 등에서 키운다. 그 중 병에 기본 배지를 깔고 그
위
에 버섯을 키우는 병재배를 응용했다. 자연사랑반은 목화솜 부산물로 된 기본 배지 대신 낙엽을 이용하는 방법을 연구했다.거의 한 달 정도 일요일마다 한국 농수산대 장현유 교수를 찾아갔다. 김희진 학생은 ... ...
침몰 100주년, 수학으로 다시 보는 타이타닉
수학동아
l
201204
부피에 비례하기 때문에 힘의 크기가 변하고, 부심의
위
치도 변한다. 달라진 부심의
위
치는 배의 균형을 되찾는 힘을 발생시킨다. 이 때문에 배는 기울임의 정도가 심하지 않으면, 중심을 잃지 않고 계속 항해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타이타닉 호는 뱃머리부터 물이 차오르면서 무게중심과 부심이 ... ...
숫자 4는 언제나 현재진행형!
수학동아
l
201204
B2 C3 D4 에
위
치한 알파벳과 겹치지 않도록 문자를 채우면 왼쪽의 두 가지 경우가 나온다.
위
의 두 가지 경우에 대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숫자를 채워 보면, 조건을 만족하는 것은 아래 네 가지 경우 중 단 두 가지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첫 번째 가로줄이 결정되면 조건에 맞게 나머지 칸을 ... ...
수학으로 변신! 패션왕
수학동아
l
201204
입는 것이다. 만약 이런 장식이 없다면 3이 되는
위
치까지 오는 카디건을 원피스
위
에 입는다. 남자의 경우에는 티셔츠와 바지의 길이가 3:5가 되도록 입으면 된다.3:5와 5:8은 사실 황금비에 가깝다고 하여 고대 그리스시대부터 면이나 길이를 아름답게 분할하는 기준이었다. 황금분할은 짧은 부분과 ... ...
Part2. 2012 세상을 바꿀 빅데이터 5
과학동아
l
201204
변화가 생체리듬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필자의 연구팀도 69명의 한국인 트
위
터 사용자의 트윗을 분석해 우울증에 걸리기 쉬운 사람일수록 부정적인 정서, 그 중에서도 특히 화와 관련된 표현 빈도가 높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WELCOME TO 데이터유니버스Part1. ... ...
해상 풍력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04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 것도 문제다. 해상풍력이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로 인정받기
위
해서 반드시 넘어야 하는 과제다. [제주도가 계획하고 있는 복합형 해상풍력 발전 단지 조감도. 해상풍력 단지 아래 가두리 양식과 ‘아쿠아리움’을 결합한다는 계획이다. ... ...
과학도시에 성공 방정식이 있다면?
과학동아
l
201204
경쟁력 있는 과학도시의 요건으로 세 가지를 꼽고 있다. 첫 번째는 자유로운 연구 분
위
기다. 양승우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과학동아’ 1월호 기고문에서 “도시는 혈연이나 지연에 의해 만들어진 관계가 아니라 서로의 목적이 일치하는 사람들의 모임”이라며 “새로운 혁신을 만들어 낼 ... ...
이전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