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표"(으)로 총 7,19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수학으로 만든 전쟁 시뮬레이션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전쟁을 벌여 훈련하는 ‘국방 M&S’라고 한다. M&S는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의 약자다.대표적인 국방 M&S는 ‘워 게임’이다. 아군과 적군의 전투력을 각각 수치로 바꿔 게임처럼 전쟁을 해보는 시뮬레이션이다. 워 게임에는 꽤 정확하고 정밀한 정보가 들어간다. 시뮬레이션이지만 실제 전쟁 상황과 ... ...
- [Photo] 마법의 돌 ‘녹지 않는 얼음’ 석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석영으로 만든다. 반도체를 만드는 소재에는 몇 가지가 있지만 석영에 들어 있는 규소가 대표적인 재료다. 규소는 자연 상태로는 잘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규소가 가장 많이 포함돼 있는 석영에서 규소를 분리해낸다. 분리된 규소를 불순물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수준으로 정제한 뒤 단결정으로 ... ...
- [300호 기념 특별 이벤트] 인기 캐릭터를 잡아라! 어과동 GO!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어린이과학동아 300호 이벤트 페이지 - http://dev-kids.dongascience.com/event300*EVENT3 3월 15일 오후 3시 판매 OPEN - 과학동아몰 www.scimall.co.kr ...
- 실리콘밸리&스탠퍼드대 프리미엄 미래 인재 캠프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이하 UC 버클리)도 가까이 있지요.실리콘밸리의 대표 IT기업에서 근무하는 전문가 네트워크인 ‘51 파운데이션’과 대한민국 최초로 4차 산업혁명 테크 아카데미를 설립한 ‘플로우교육’은 최근 구글, 페이스북, 픽사 등에서 일하는 한국인에게 직접 강의를 듣고 ... ...
- [Future] 누나 드론 차 뽑았다, 널 데리러 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비교적 쉽게 사서 운전할 수 있는 개인용비행기(PAV, Personal Air Vehicle)를 개발하려 했다. 대표적인 형태가 자동차와 비행기를 융합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PAV를 나는 자동차라고도 부른다. 하지만 나는 자동차를 만들려는 시도는 그동안 모두 실패했다.잇따른 실패로 ‘현재 기술로는 어렵다’는 인식이 ... ...
- [Interview] “확신과 추진력이 큰 발견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단백질을 감지하는 수용체를 저마다 가지고 있다. 초파리의 ‘톨유사수용체(TLR)’가 대표적이다. 브루스 보이틀러 미국 텍사스대 교수(사우스웨스턴의학센터 숙주방어유전학센터장)는 인류와 가까운 포유류의 수용체를 찾았다. 쥐 실험을 통해 포유류에서 병원균을 인식하는 ‘지질다당류(LPS ... ...
- [Origin]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정수인 입자다. 반정수의 스핀을 갖는 입자는 페르미온이라고 부른다).이런 현상의 대표적인 예가 초유체다. 보통의 물질로 이뤄진 기체를 냉각시키면 얼어붙어 고체가 되지만, 양성자 2개와 중성자 2개로 이뤄진 핵을 갖는 헬륨(헬륨-4) 기체는 극저온까지 냉각시켜도 액체 상태로 머문다. 그러다가 ... ...
- [Career] 학습과 진로탐색 두 마리 토끼 잡는다, 미래인재캠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책임연구원이 이끄는 ‘박자세(박문호의 자연과학세상)’가 대표적이다. 2007년 일반인들의 과학 학습 모임으로 시작한 박자세는 2009년부터 해외 학습탐사를 연간 2회씩 진행하고 있다. 지금까지 몽골과 서호주, 백두산 등 지구와 한반도 역사의 비밀을 간직한 곳을 탐험해 ... ...
- 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이끌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개인 제과점이 성장한 제빵회사가 여럿 탄생했다. 이 가운데 지금도 국내 제빵업계를 대표하는 한 기업은 최근 ‘한국의 토종 천연 제빵효모’를 찾는 데 성공했다. 한국적인 맛을 내는 빵이 탄생하는 데 한걸음 다가간 셈이다.한국의 토종 제빵효모 ‘SPC-SNU 70-1’2005년, SPC 그룹에서는 한국 토종 ... ...
- [과학뉴스] 장내미생물 나이는 4억 살 이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대표적인 장내미생물 중 하 나 인 장내구균(Enterococcus )의 나이가 무려 4억 살이 넘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 마이클 길모어 교수팀은 장내구균의 분자시계를 분석했다. 분자시계는 진화 과정에서 단백질의 아미노산 배열에 생기는 변화를 통해 생물의 연대를 추정하는 ... ...
이전1941951961971981992002012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