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알"(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이런 깜짝 놀랄 닭이 있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닭고기나 달걀은 먹어도 안전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진실 혹은 오해?! 알고 나면 깜닭!Part 1. 닭은 억울하닭?Part 2. 살아 있는 연구실, 닭Part 3. 이런 깜짝 놀랄 닭이 있나 ... ...
- [과학뉴스] 보이저 1, 2호, ‘인터스텔라’ 여행길에서 성간구름 만날 예정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나온 복사선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지구까지 오면서 어떤 물질의 영향을 받았는지 알 수 있다. 분석 결과 보이저 1호의 항로에는 1~2개의 성간구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2호의 항로에는 최소 2개 이상의 성간구름이 있을 것으로 추정됐다. 또 두 탐사선의 항로에는 이온화된 마그네슘과 철, 탄소, ... ...
- [Culture] 우주의 다른 이름은 게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그런 도서관 스캔 같은 시시한 퀘스트에 끼었을까? 마찬가지로, 알 수 없다.그 뒤로도 나는 수많은 퀘스트를 했다. 오리온자리에서 아메바 외계인들에게 장갑복 째 먹히기도 했고 여래상해 행성에서 이 년 동안 밀림 속을 혼자 헤매기도 했다. 납으로 된 늪에서 경계 임무를 ... ...
- Part 3. 전염과 면역 사이 아슬아슬한 줄타기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비약물적 중재를 어느 시기에 해야 가장 효과적으로 인플루엔자 확산을 줄일 수 있는지 알 수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플루엔자Part 1. 변종 플루 HXNXPart 2. 변신의 귀재, 인플루엔자의 똑똑한 생존전략Part 3. 전염과 면역 사이 아슬아슬한 줄타기Part 4. ‘키메라 백신’으로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제2화 여자 기숙사 잠입!수학동아 l2017년 02호
- 다시 마고를 가리켰다.‘네가 좀 풀어 주라고. 내가 이럴 시간이 없어.’다행히 마고가 알아들은 모양이었다. 마고는 역시 대단한 인공지능이었다. 사람이 낸 수수께끼도 단번에 풀었다.마고가 방문에 몸을 부딪쳐 노크를 했다. 연속으로 몇 번 두드리고 잠시 쉬었다가 또 연속으로 몇 번씩 두드리는 ... ...
- Part 1. 파르테논 신전, 대표적인 오해수학동아 l2017년 02호
- 붙는 방이 점점 커져 나선 모양을 이루는데, 이 나선이 황금비로 만든 황금나선이라고 알려져 있어요. 실제로도 그럴까요? 미국 수학자 클레멘트 팔보는 2005년 논문 ‘황금비-반대 관점’에서 앵무조개의 나선은 1.24에서 1.43 사이의 비율로 만든 직사각형에서 생긴 나선이라고 밝혔어요.실제로 ... ...
- Part 2. 살아 있는 연구실, 닭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수탉이 짝짓기해서 낳은 달걀.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진실 혹은 오해?! 알고 나면 깜닭!Part 1. 닭은 억울하닭?Part 2. 살아 있는 연구실, 닭Part 3. 이런 깜짝 놀랄 닭이 있나 ... ...
- [포커스 뉴스] 천경자 ‘미인도’ 진위 논란… 과학은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거의 비슷하게 나왔다”며 “천경자 화백이 평소에 얼마나 안정적으로 선을 그었는지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결국 “미인도는 확실히 가품”이라는 결론을 내렸다.과학도 끝내지 못한 논란그러나 지난해 12월 19일, 검찰은 LTMI가 분석한 과정을 신뢰하기 어렵다면서 미인도가 진품이 맞다는 ... ...
- [Future] 향기로운 데이터, 냄새과학동아 l2017년 02호
- 43개씩 골라 희석한 뒤, 동일한 양만큼 섞었다. 그 결과 모두 같은 냄새가 난다는 것을 알아냈다. 심지어 다양한 종류를 섞을수록, 아무 것도 없는 듯이 냄새가 거의 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사람의 코는 다양한 냄새 분자 중에 농도가 짙은 것 위주로 냄새를 맡는데, 연구팀이 만든 향에서는 모든 ... ...
- [Issue] “ 우리 우주가, 다른 우주의 그림자?”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탄생을 달리 쓸 수 있는 독창적인 이론을 소개했다. 우리가 아는 시간과 공간이, 우리가 알 수 없는 다른 실체를 지닌 우주에 의해 만들어진 ‘겉보기 우주’라는 이론이었다. 이쯤에서여러 청중의 눈동자는 동요를 넘어 낯선 시공간을 헤매듯 초점을 잃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해해야 할 대상이 우주 ... ...
이전1941951961971981992002012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