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인공지능의 미래를 가늠하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마련하는 게 시급합니다. 인공지능이 어떤 분야에 응용되더라도 항상 최종 결정은
인간
이 내리게끔요.”※ 인공지능을 다룬 과학동아의 최근 기사에서 더 자세한 내용을 읽어보세요.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2014년 10월호)터미네이터는 없다 : 인공지능 유토피아 vs. 디스토피아 (2015년 ... ...
[Tech & Fun] 내 몸을 이루는 미생물에 관심을 가져보세요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과학자가 무엇을 어떻게 생각해 냈는지 보여주기 위해서다. 연구 결과 뒤에 숨은 한
인간
의 사고방식을 추리하는 일로부터 독자들이 더 큰 영감을 받을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많은 이들이 비슷한 생각을 가진 걸까. 위대한 아이디어가 나온 과정을 상세히 묘사한, 강의록 형식의 책 두 권이 ... ...
[특별 인터뷰] 부지사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최고!지구사랑탐사대를 하면서 수원청개구리라는 이름을 처음 들었어요.
인간
때문에 멸종위기에 처한 수원 청개구리의 번식을 위해 이화여대 장이권 교수님과 팀원들이 연구하시는 모습이 정말 멋있게 보였어요.그런데 저희 탐사 지역에서는 수원청개구리를 많이 볼 수 없어서 너무 아쉬었어요 ... ...
인공지능,
인간
을 뛰어넘은 비밀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두려움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가장 값진 것은 이세돌 9단이 세 경기만에
인간
지성의 위대함을 보여준 것과 불리한 상황을 자처해 다시 도전하는 도전 정신이 아닐까.알파고는 바둑 두는 법을 어떻게 배웠을까? 사람이 학교에서 공부하는 것처럼 정해진 교육과정에 따라 공부했을까? ... ...
[과학뉴스] 로보어드바이저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결과는 4:1로 알파고의 승리였습니다. 경기를 지켜본 많은 이들이 생각보다 빨리 찾아온
인간
의 패배에 씁쓸해했지만, 인공지능을 연구해 온 학계와 산업계에서는 새로운 인공지능 르네상스를 반기는 추세입니다.그 중 하나가 금융권입니다. 인공지능이 자산을 관리하고 투자 자문을 해주는 ... ...
[과학뉴스] 인공지능 쇼크? 제대로 보자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일부 인공지능은 이미
인간
보다 뛰어난 직관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인공지능이 언젠가
인간
의 일자리까지 빼앗아가지 않을까 두려운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럴수록 제대로 봐야 한다. 2016년 다시 찾아온 인공지능 르네상스, 우리의 과제는 인공지능과 공존하는 법을 찾는 것이다 ... ...
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작은 정보를 가지고도 상대의 전략을 정확히 찾아내곤 한다. 알파크래프트와 대결할
인간
대표로 가장 많은 추천을 받은 이영호(스타크래프트 공식전 통산 승률 1위)가 이런 눈치와 심리전의 달인이다. 모든 것이 공개된 바둑에서는 알파고가 사람보다 뛰어난 직관을 보여줬지만, 보다 정밀한 추론이 ... ...
[Knowledge] 협력과 배신, 그 아슬아슬한 줄다리기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그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배신보다는 협력을 하는 것이 유리하도록 발전해 왔습니다.
인간
은 그 사이에서 덜 아프면서도 더 많은 이득을 취할 수 있는 배신의 기술을 끊임없이 연마하고 있습니다.협력과 배신, 이 아슬아슬한 줄다리기는 아마 인류가 살아있는 한 계속될 것입니다. 여러분은 어떤 ... ...
[지식] 최도훈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할지 고민하다가 ‘수학을 하더라도 뭔가 도움이 되는 걸 해야겠다’고 생각했었어요.
인간
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도록 하는 생태학에 관심이 있어서 생태학과 밀접한 통계학을 공부해봤는데 재미가 없더라고요. 하지만 수학의 유용성은 굉장히 중요해요. 바둑 두는 인공지능에도 수학이 있는 ... ...
[지식] 최고의 방정식을 소개합니다!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선택은 ‘미적분’이었다. 박 소장은 ‘미분 개념이 도입되면서
인간
이 동적 세계도 다룰 수 있게 됐다’며 미적분을 ‘움직이는 세계로 뛰어들 수 있는 무기’라고 표현했다. 이 17개 외에 다른 의견도 나왔다. 이동헌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는 ‘F = ma(힘은 질량과 가속도의 곱)’을 뽑았는데, 복잡한 ... ...
이전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