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인조
가공
가상
시뮬레이션
모조
사이버
d라이브러리
"
인공
"(으)로 총 4,791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산(酸), ‘풍요의 시대’ 연 식품계의 일등 공신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요구르트, 빵 등 식품 상당수가 발효 과정의 결과물이다. 식품공학자들은 이런 식품을
인공
적으로 대량 생산하는 방법을 연구했다. 가장 쉬운 방법은 미생물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전통적인 식품 가공 방법과 크게 다르지 않아 공장에서 쓰기엔 시간이 많이 든다. 식품공학자들은 ... ...
초정밀 GPS로 드론 상용화 길 텄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미국 텍사스오스틴대 토드 햄프리 교수팀이 정밀도를 기존의 100배로 높인 새로운
인공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그리드(GRID)’를 개발했다고 5월 5일 보도했다.기존에 드론이나 휴대전화에 적용되는 GPS는 정확도가 m 단위로, 정밀한 위치 분석이 불가능했다. 고성능 안테나를 사용하면 정확도를 ... ...
연꽃과 도마뱀 키우는 기계공학자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불렀다.털끝까지 따라 해야생체모방공학은 자연이 가진 신기한 기능을
인공
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거미를 흉내 내서 슈퍼히어로가 된 스파이더맨도 어떻게 보면 생체모방공학의 결과물이다. 스파이더맨이 생명공학의 결과라면 정 교수는 기계공학을 기반으로 자연을 모방한다.이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인공
환경’을 말한다. 넓은 의미로 보면 기존 영화나 컴퓨터 게임도 가상현실에 들어간다. 하지만 과학자들과 IT기업이 지난 50년간 만들려고 시도해온 기술은 차원이 다르다. 사용자의 오감을 자극해 세상에 없는 시공간을 마치 현실처럼 느끼도록 하는 ‘진짜’ ... ...
인공
빛에 늘어나는 허리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첫 번째 그룹에는 하루에 12시간씩, 두 번째 그룹엔 16시간씩, 세 번째 그룹엔 24시간 내내
인공
빛을 쪼였다. 5주 뒤 세 그룹의 쥐가 먹은 양을 비교해보니 가장 적게 먹은 그룹은 하루 종일 빛을 쬔 쥐들이었다. 그러나 체중은 오히려 이 그룹이 가장 많이 증가했다. 연구팀은 체중이 증가한 원인이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단백질은 덩치가 꽤 커서 연구자가 자신이 원하는 서열을 자르려면 수천 개의 새로운
인공
유전자로 적절한 단백질을 만들어야 했다. 반면에 크리스퍼는 단백질 보다 훨씬 작은 RNA가 그 역할을 한다. DNA 100개만 바꾸면 전혀 다른 서열 특이성을 가 지는 유전자 가위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모든 ... ...
우리 몸 속에는 ‘녹색갈증’이 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자연에 대한 공포로 가득하다. 숲 속에는 늘 호랑이나 도깨비, 마녀가 살고 있고 어린 주
인공
은 종종 숲에서 길을 잃고 부모와 헤어지고는 한다.실제로 자연은 원래 춥고 컴컴하며 포식 동물과 독초가 가득하다. 건조한 사막과 얼어붙은 대지, 무더운 밀림이 자연의 본 모습이다. 낮은 구릉에 위치한 ... ...
도심형 싱크홀,
인공
위성으로 잡는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아리랑 5호’에 탑재된 영상레이더(SAR)로 도심형 싱크홀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상완 세종대 공간정보공학과 교수는 5월 14일 서울대에서 열린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심포지엄’에서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첨단 영상레이더를 탑재한 위성은 특정 주파수의 전 ... ...
[수학뉴스] 비 냄새 원인은 빗방울 속 알갱이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터지는 것과 비슷한 원리입니다.또 물기를 빨아들이는 정도와 특성이 다른 흙 16가지와
인공
흙 12가지에 빗방울을 떨어뜨려 봤습니다. 그 결과 흙에 섞여 있는 냄새 분자가 물 알갱이를 통해 공기 중으로 퍼져나간다는 사실도 밝혔습니다.비 냄새는 빗방울과 흙이 만나 생기는 자연의 어울림 ... ...
[지식] 할머니와 엄마의 수학시간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제목의 기사였다.
인공
위성은 달처럼 지구 주위를 도는 로켓이라고 쓰여 있었다.
인공
위성 발사에 성공한 건 소련이 처음이란다. 삼촌은 소련 사람들이 수학을 잘 하기 때문에 스푸트니크도 쏠 수 있는 거라고 했다. 소문대로였다. 집합이란 녀석은 정말 무시무시했다. 칠판 위엔 처음 보는 ... ...
이전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