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프랑스의 실패한 달력 혁명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여전히 지구의 공전 주기인 365.242196일과는 1년에 약 0.0003일(26초)의 차이가 생긴다. 26초×3300년≒23.83시간≒1일이므로, 대략 3300년마다 하루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다시 400의 배수로 원래 윤년이 돼야 하는 4000년, 8000년 등을 다시 평년으로 한다. 달력을 지구의 공전 주기 ...
- 빙하 VS 빙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2호
- 빙산이 아니라 빙하라고 하셨어요. 둘이 도대체 뭐가 다른 건가요? 김다인(인천 먼우금초 5)빙하눈이 오랫동안 쌓여 다져져 육지의 일부를 덮고 있는 얼음층을 ‘빙하’라고 해요. 추운 고산지대나 극지방의 경우 겨울철에 내린 눈의 양이 여름에 녹은 양보다 많아 눈이 계속 쌓이게 돼요. 눈이 ... ...
- [화보] 찰나의 순간, 수학을 포착하다!수학동아 l2014년 01호
- 현상이 많다.퐁당~! 물방울은 대칭을 만든다사람의 눈으로 포착할 수 없는 1만 분의 1초의 순간, 물방울은 아름다운 대칭을 만들어 낸다. 마치 시간을 멈춰 놓은 듯한 이 사진들은 물방울이 떨어진 순간을 포착한 것이다. 물방울이 충돌하면서 받은 힘은 사방으로 균일하게 퍼져서 마치 왕관 모양 같은 ... ...
- 기자가 필요 없는 세상이 온다? 미래는 알고리즘 시대수학동아 l2014년 01호
- 피하는 등 스스로 주행할 수 있다.무인자동차는 순간순간의 환경 변화에 반응하기 위해 1초에 1GB 수준의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수집하며, 알고리즘을 복합적으로 사용해 다양한 의사 결정을 내린다.특히 무인 자동차가 목표 지점으로 가기 위해서는 시작 지점에서부터 목표 지점까지 최단 경로를 ... ...
- [퍼즐 해결사] 퍼즐 해결사가 되기 위한 첫 관문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서울역 물품보관소 앞에 도착한 소마. 이번에는 원숭이 인형이 서 있다.“3시 59분 30초. 정확히 30초 남기고 도착했군. 좋아! 두 번째 미션은 213번 물품보관 사물함 비밀번호 여섯 자리를 맞히는 거야. 비밀번호에 대한 힌트는 이 안에 들어 있어.”원숭이 인형은 소마에게 봉투를 건네 주었다. 그 봉투 ... ...
- 브래지어가 유방암을 유발한다고?과학동아 l2014년 01호
-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연령보다는 성장 단계를 확인하고 구입하는 것이 좋다. 보통 초경 전, 유두 주변이 부풀기 시작하면 브래지어를 입는다. 신축성이 좋은 소재이면서 가슴을 전체적으로 감싸주는 모양이 좋은데, 성장을 방해하지 않도록 사이즈를 자주 재는 것이 중요하다. 성인도 1년에 한 ... ...
- 지구 반대편에 있는 가족의 뺨을 만지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쉽게 앞으로 나가기 때문에 우리가 ‘매끄럽다’고 인식하는데, 촉각마우스는 표면을 1초에 200~300번 진동시켜서 손가락과 표면 사이에 얇은 공기막을 만들어 마찰력을 줄입니다. 최근 디즈니사의 피츠연구소도 질감을 느낄 수 있는 터치패드를 개발했습니다. 이 터치패드는 표면과 손가락 사이의 ... ...
- [Life & Tech] 중요한 결정은 오전에 하자!과학동아 l2014년 01호
- 하버드대의 심리학자 쿠차키는 다음과 같은 실험을 했다. 모니터에 20개의 검은 점들이 1초간 보인다. 참가자가 해야 하는 일은 기준선에서 오른쪽에 점이 더 많은지 아니면 왼쪽에 점이 더 많은지를 판단하는 것이었다. 답이 오른쪽일 경우 참가자는 5센트를, 왼쪽일 경우에는 0.5센트를 각각 받을 수 ... ...
- [현장취재 ❶] 수학동아 클리닉 덕분에 수학 자신감 되찾았어요!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중학생이 되어서도 수학에 대한 흥미를 잃지 않도록 노력하겠습니다. _정예찬(서울 공연초6)학생대표로 발표한 최민기, 정예찬 학생의 소감에 이어 학부모들의 소감도 발표하는 시간이 이어졌다.1년 전 동환이는 수학공부를 하라고 하면 무척 괴로워했던 아이었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수학 시험을 ... ...
- [체험] 말안장 곡면 만들기수학동아 l2014년 01호
- 그려도 내각의 합은 항상 180°라고 배우는데, 대체 이게 어떻게 된 걸까?그 이유는 초 · 중 · 고등학교에서는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유클리드가 정립한 ‘유클리드 기하학’만을 배우기 때문이다. 유클리드 기하학은 기원전 3세기에 유클리드가 자신의 저서 을 통해 기하학을 정립한 것이다. ... ...
이전1941951961971981992002012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