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반
평범
범용
보편
보통개념
개념
예사
뉴스
"
보통
"(으)로 총 3,235건 검색되었습니다.
호주에서 발견된, 파란 눈의 아귀
팝뉴스
l
2017.08.11
코핀피시(coffinfish). 직역하면 ‘관 물고기’가 된다. 아귀의 일종이다. 특이한 점은
보통
아귀와는 달리 매혹적인(?)인 외모를 가졌다는 사실이다. 몸통은 분홍색에 가깝다. 눈은 파랗다. 입 모양은 심술이 난 표정을 만들어낸다. 마치 작은 인형이나 만화 주인공처럼 귀여운 모습이다. ※ ... ...
경량화-성능 안정화 성공… ‘한국형발사체’ 우주 향한 꿈 순항 중
동아사이언스
l
2017.08.11
들어가기 때문에 내년 10월 시험발사체 발사 일정에는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보통
모델 조립에는 7개월이 소요된다.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조립동에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진이 한국형발사체(KSLV-Ⅱ) 시험발사체의 검증모델(QM)을 조립 중이다. 검증모델은 실제 발사될 비행모델(FM ... ...
[퀴즈] 참치는 시속 몇km까지 헤엄을 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10
참치라고 하면 회나 통조림을 떠올리기 마련입니다. 그런데 이 참치의 수영 실력이
보통
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나요? 공식 명칭이 ‘다랑어’인 참치는 매우 빠르게 헤엄치는 물고기 중 하나입니다. 림프계에 위치한 특별한 공간 덕분에 빠르게 헤엄칠 수 있는 것인데요. 참치의 유영 속도는 ... ...
[카드뉴스] 인간이 생존할 수 있는 한계는 어디까지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05
음식을 먹지 않고 생존할 수 있는 시간은 체지방 양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어른이라면
보통
체중이 50% 정도 감소할 때까지 몇 주~몇 달간 살 수 있습니다. 사람은 혈당이 부족하면 간이나 근육에 저장해 둔 글리코겐을 꺼내 혈당을 높입니다. 그것도 부족하면 간은 체지방을 분해해서 포도당을 ... ...
[때와 곳 16] 야영지: 일상에서 가장 먼 곳
2017.08.05
여름휴가는 자의든 타의든 한여름에 잡히기 마련이니
보통
은 중복(中伏) 즈음에 몰린다. 양력으로는 7월 말부터 8월 초까지가 그때다. 일반 휴가와는 다르니 더위를 피한다는 뜻인 피서(避暑) 휴가라는 말이 더 적절할 테다. 그 즈음은 해마다 인천공항 이용자의 기록을 갈아치우는 때이기도 하다.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⑬ 독심술이 없는 사람은?
2017.08.05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정신의학에 밝지 않아 생긴 말실수입니다. 물론 자폐 환자들은
보통
같이 어울려 식사하기를 즐기지 않습니다. 하지만 혼자 밥을 먹는다고 해서 자폐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저도 혼밥을 좋아합니다. 몇 시간이나 외래를 보며 다른 이의 마음을 듣다 보면, 식사 시간만은 ... ...
만화 같은 딱따구리의 힘 ‘화제’
팝뉴스
l
2017.08.04
번만 더 쪼았어도 전신주는 주저앉았을 것이다. 시민이 다급히 신고 전화를 했다고 한다.
보통
딱따구리와 비교해 월등히 강한 힘을 가진 개체였을 것이다. 한편 위 사진은 해외 SNS에서도 인기가 높은데 만화 영화에서 볼 상황이어서 재미있다는 반응도 적지 않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 ...
도쿄대 와타나베 요시노리 교수 논문 조작 파문…아시아 3국은 논문 조작 중?
2017.08.03
보여주는 대목이다. 제보 사건의 발단은 지난해 8월이었다. 14일과 29일 이틀에 걸쳐, '
보통
연구자'라는 이름의 익명의 제보자로부터 도쿄대 소속 6명의 교수 논문 22편을 분석한 100여 매의 문서가 대학 당국과 언론사 등에 배포됐다. 대학은 곧바로 조사에 착수했다. 당시에는 의혹 대상을 발표하지 ... ...
페이스북 AI가 만들어낸 알 수 없는 언어…두려워해야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02
자신들이 한 가지 실수를 했음을 깨달았습니다.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쓰는 말 (이 경우엔
보통
영어)을 쓰면 보상을 더 주는 설정을 빼 먹었던 겁니다. 인공지능은 대화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자연스러운 대화 대신 자기들만 알아들을 수 있는 식으로 대화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인공지능을 ... ...
지구상 최초의 꽃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02
향하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 잎차례 : 줄기에 대한 잎의 배열 방식으로,
보통
은 1개의 마디에 1장의 잎이 붙는다. 대부분의 식물에서 잎이 나오는 점을 연결하면 나선형 모양을 형성한다. 외적 조건에 의해 쉽게 변하지 않고 종 특이성을 보이는 식물의 고유한 성질이다. 이 모델에 ... ...
이전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