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시민"(으)로 총 2,612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 위치에서의 지진 강도, 남은 시간 알려 주는 스마트폰 앱동아사이언스 l2018.03.23
- 같더라도 진원지와의 거리나 지반 특성, 건물 높이 등에 따라 진동 세기가 달라진다. 시민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는 자신이 있는 자리에서의 피해 정도”라고 말했다. 한국철도공사가 철도 안전을 위해 전국 고속철도망에 설치한 가속도지진계가 대표적이다. 지난해 9월 경주 지진 당시에도 ... ...
- [궁금한 이슈 why] 저커버그 결국 사과하기까지...페이스북 데이터 스캔들 총정리동아사이언스 l2018.03.22
- 영향을 미치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걸 더 잘 하기 위해 고객, 소비자, 독자, 시민 등의 특성을 더 정확히 파악하고 세분화하려는 노력을 누구나 하고 있고요. (집앞 카페에서도 쿠폰을 주고 여러분의 연락처와 주소, 직장이 적힌 명함을 가져가지 않나요?) 지금까지 해 왔고 잘 하기 위해 ... ...
- 日 의대 교수 된 수학자…“전염병 조기 예측 기여하고파”동아사이언스 l2018.03.15
- 위험한지 지도로 나타내고, 어느 기간에 가장 주의해야 하는지 등을 구체적으로 예측해 시민들에게 알리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1명의 환자가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 어떤 환자에게 우선적으로 백신을 투여해야 하는지 등 보건당국에 가장 효과적인 정책을 제안할 수도 있을 ... ...
- [2018년 필즈상]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라이징 스타! 허준이 박사수학동아 l2018.03.15
- 8 한국 수학계가 꼭 필즈상을 받기를 바라는 수학자가 있습니다. 미국에서 태어나 미국 시민권을 가지고 있지만, 초등학교부터 대학원 석사 과정까지 우리나라에서 교육을 받은 한국계 미국인 허준이 박사입니다. 허준이 박사 -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제공 ●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라이징 ... ...
- 목 잘린 백조 발견? 깜짝 대소동팝뉴스 l2018.03.10
- 목 부분이 부러졌던 것이다. 큰 긴장감과 걱정 그리고 분노를 품고 신고를 했던 시민이나, 현장에 파견된 사람 모두 안도의 웃음을 터뜨렸다고 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⑤]사이보그 몸 입은 인간의 고뇌… ‘로보캅’동아사이언스 l2018.03.08
- 인간을 대하는 주변 사람들의 태도나 반응도 제각각이다. 1980년대 원작에선 주변 시민들로부터 완전히 로봇 취급을 받던데 비해, 주위 동료 경찰들은 머피를 여전히 동료로 여긴다. 연구진 사이에선 그를 살아있는 사람으로 대해야 할지, 단순한 로봇으로 대해야 할지를 놓고 의견을 나누는 모습도 ... ...
- NASA, 첫 태양 대기 탐사 우주선에 시민 이름 새긴다동아사이언스 l2018.03.08
- ‘파커 태양 탐사 미션(Parker Solar Probe Mission)’의 탐사선에 들어가는 마이크로칩에 시민들의 이름을 저장할 계획이라고 7일 (현지시각) 밝혔다. 자신의 이름이 들어가길 원하는 사람들을 4월 27일까지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된다. 파커태양탐사선이 태양의 대기권을 향하고 있는 장면을 나타낸 ... ...
- 미세먼지 아토피, 도시공학으로 해결할 수 있을까?동아사이언스 l2018.03.07
- 설계 관점에서 어떤 대책이 가능할까. 도시공학 전문가와 보건 전문가가 미세먼지 등 시민 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자체 차원의 대책을 함께 연구해 국내에서 처음 도시·건축 설계 가이드라인으로 제안했다. 손창우 서울연구원 도시사회연구실 부연구위원 팀은 지난해 3월 강동구의 ... ...
- 음식 심리학자와 평양냉면을 먹으러 갔더니…동아사이언스 l2018.03.01
- 그는 채소 줄기가 둥근 접시 위에서 ‘몇 도’ 기울어져 있을 때 가장 맛있어 보이는지를 시민과학 프로젝트로 조사했다. 연구 결과, 채소가 12시 방향에서 시계방향으로 3도가량 기울어진 각도일 때 사람들이 음식을 가장 맛있게 느낀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인터뷰 중인 찰스 스펜스 교수 - 사진 ... ...
- “탈(脫)원전 해도 원전, 사용후핵연료 방재기술 연구는 계속돼야”동아사이언스 l2018.03.01
- 받는다”며 “3초~1분 남짓의 짧은 시간이지만 가스렌지를 끄거나 바닥에 엎드리는 등 시민들이 최소한의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반면 한국에서는 현행법상 기상청장 외에는 지진 등 자연재해에 대한 관측 결과 및 특보를 발표할 수 없도록 돼 있다. 이달 11일 포항지진(규모 4.6)의 ... ...
이전1941951961971981992002012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