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것"(으)로 총 10,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독자와 함께]퓨마 사살과 동물원 폐지 논란 9월 18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9월 18일 대전 오월드 동물원에서 ‘호롱이’라는 이름의 암컷 퓨마 한 마리가 탈출했습니다. 수색 작업을 벌였지만, 호롱이는 결국 사살됐습니다. 호롱이 사살로 여론이 들끓었고, 이는 동물원 폐지 논란으로까지 이어졌습니다. 과학동아는 이와 관련해 독자 여러분의 다양한 의견을 듣고자 10월 11 ... ...
- 물리학상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작은 입자를 집는 방법은 없을까. 빛의 힘을 측정하던 아서 애슈킨 미국 벨연구소 연구원(현재 은퇴)은 1970년 우연히 작은 입자를 빛으로 포획하는 방법을 찾아냈다. 레이저로 세포와 바이러스 포획당시 빛의 힘을 측정하기란 ‘하늘에서 별 ...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아침엔 보드라운 식빵, 점심엔 든든한 샌드위치, 저녁엔 맥주와 함께 피자 한 조각.삼시세끼를 빵으로 해결하는 ‘빵순이’들의 귀가 번쩍 뜨일 소식이 나왔다. 빵의 주원료인 밀의 게놈(유전체)이 완전히 해독됐다는 소식이다. 365일 다이어트로 고민하는 사람들에겐 ‘전분저항성’을 가진 빵을,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북극 온난화의 지표, 해빙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인류가 지금까지 석유와 석탄,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를 사용하면서 전 지구에서는 기온이 전례 없이 극심하게 상승했습니다. 화석연료를 태우면 탄소가 산소와 결합하면서 온난화를 유발하는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CO2)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현재 국내외 기후학자들은 전 세계에서 가장 온난 ... ...
- [서울대 공대|산업공학과] ‘불확실성의 시대’ 이끄는 학문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제가 산업공학에 몸담은 지 35년이 됐는데, 아직도 스스 로에게 ‘산업공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져요. 아마 평생 고민할 것 같아요. 그런데 역설적으로 이 문제는 우리의 원동력이기도 해요. 산업은 계속 바뀌고, 항상 새로운 것이 나타나니까요.” 홍유석 서울대 공대 산업공학과 학과 ... ...
- [과학뉴스] 네안데르탈인에게 물려받은 ‘바이러스 저항 유전자’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인류가 네안데르탈인으로부터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유전자를 받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데이비드 에너드 미국 애리조나대 생태학및진화생물학과 교수와 드미트리 페트로프 스탠퍼드대 생물학과 교수는 인간의 유전자에서 바이러스와 상호 작용하는 유전자 4500여 개를 찾아 네안데르탈인의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둘레도 넓이도 같은 두 삼각형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세 변의 길이가 모두 정수인 직각삼각형과 이등변삼각형이 둘레와 넓이가 모두 같을 수가 있을까요? 있다면 몇 개나 있을까요? 최근 일본 대학원생들이 삼각형의 성질에 관한 재밌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직각삼각형 하면 많은 사람이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떠올릴 겁니다. 피타고라스의 정 ... ...
- [엉뚱발랄 생각 실험실] 뉴턴의 양동이 사고 실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양동이에 물을 반쯤 담아 빙글빙글 돌려 보세요. 그럼 원심력 때문에 물이 양동이 벽면을 타고 올라가 수면이 오목해질 거예요. 1689년, 영국의 과학자 아이작 뉴턴은 도대체 무엇 때문에 양동이 속의 물이 오목하게 내려가는지 궁금했어요. 이를 알아보기 위해‘ 이 세상에 모든 물질이 없어져도, ... ...
- [Career] 2018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 미래 노벨상 인재들의 축제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국내 최대 과학경진대회인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의 본선 및 시상식이 8월 21~23일 경기 가평군 한화인재경영원에서 진행됐다. 올해로 8회째를 맞은 이 대회는 한화그룹이 주최하고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창의재단이 후원했다.작년에 이어 올해도 대회 주제는 ‘Saving the Earth(지 ... ...
- [Issue] 뇌는 커지고, 얼굴은 작아졌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머리는 하나의 신체 기관으로 불리지만, 해부학적으로는 뇌가 있는 ‘두개부’와 얼굴이라고 불리는 ‘안면부’로 나뉜다. 이 둘이 밀접한 관련이 있는 건 분명하지만, 인간 문명이 발전하며 크기 변화는 정반대를 향해 가고 있다. “한국인의 머리 크기가 광복 이후 커졌다.”유임주 고려대 ... ...
이전1951961971981992002012022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