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적
표적
대상
과녁
대상물
제목
문제
d라이브러리
"
목표
"(으)로 총 3,757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지대 남아공월드컵에서 승리하는 비법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기대하며 어떤 팀이 우승할지 예상하기가 특히 어렵다고 말한다. 완벽한 구형에 가까워
목표
지점까지 정확히 도달한다는 평을 받는 자블라니와 대부분의 국가 대표팀을 긴장하게 만드는 고지대만의 특성 덕분이다. 어느 대표팀이 이번 월드컵의 ‘특별한 환경’에 가장 훌륭하게 적응하는지 비교해 ... ...
PART Ⅱ 수학으로 월드컵을 예측한다 : 누가누가 이길까?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큰 곳과 작은 곳의 차이가 1%에 불과하다. 공이 둥글수록 날아가는 동안 균형을 유지해
목표
지점으로 정확히 날아간다.축구공은 앞으로도 더욱 둥글어질 것이다. 점점 구에 가까워지는 축구공이 얼마나 더 예측 불가능하고 박진감 넘치는 경기를 만들지 지켜보자.이번 월드컵에서 우리나라 선수들은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m 단위인 라디오파를 사용했는데, 라디오파는 직진하지 못하고 큰 반경으로 확산돼버려
목표
물을 감지하는 데 적합하지 못했다. 레이더의 감도를 높이려면 주파수가 높고 파장이 짧은 전자기파를 이용할 수 있어야 했다. 미 국방부는 2차 세계 대전이 끝난 뒤에도 파장이 cm 단위의 단파로 작동하는 ... ...
과학으로 파헤친 스타크래프트2 베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디파일러가 하던 일과 유사하다.타락귀 역시 스타크2에 새롭게 추가된 유닛이다.
목표
물을 파괴하는 대신 일정 시간 동안 상대방 진영의 건물 생산을 중지시키거나, 공격 능력을 가진 건물의 기능을 마비시킨다. 현실에서는 기생충이 이와 비슷한 행동을 한다. 산양이나 소, 돼지, 토끼 등에 기생해서 ... ...
방정식으로 풀어보는 GPS의 위치 계산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싣고 계속 움직이기도 했다. 이런 경우 전쟁이 일어나면 자신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아야
목표
지점에 미사일을 보낼 수 있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기법이 GPS 기술이다.먼저 지상 2만km 정도의 중간 궤도에 인공위성을 24개 정도 쏘아 올린다. 위성중계에 쓰이며 고도 약 3만 6000km를 ... ...
학습계획서 작성하기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대학에서도 자기소개서에 쓸 것을 요구하고 있다. 지원 학교에 대해 평소 관심을 갖고
목표
학교를 설정한 당위성을 스스로 생각하도록 한다. 학습과 진로에 대한 부분은 학습계획서의 핵심이라고도 할 수 있다. 자신의 꿈과 연계된 지금까지의 학습과정과 지원 학교에 입학한 뒤 미래의 학습계획이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안정적인 송전시스템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담당 연구자들의 주장이다. 이들의
목표
는 전력 1GW(기가와트, 1GW=109W)를 레이저빔으로 옮기는 것. 이 정도면 중형 원자력발전소 한 기가 생산하는 전력량과 맞먹는다. 반면 전력 생산비용은 1kWh당 8엔(약 100원)으로 현재 일본에서 드는 전력 ... ...
나로호 6월 9일 2차 발사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처음부터 다시 개발해야 하는 상황에서 또 한 차례 더 발사할 경우 2020년이라는 발사
목표
시점을 시간상 맞추기 힘든 실정이다. 교과부는 나로호가 실패할 경우 최대 3번까지 동일 발사체를 쏠 수 있도록 러시아 측과 합의했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러시아 측은 1단 로켓의 결함이 발견되지 않는 ... ...
1400년 전 신라의 밤하늘을 찾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각도를 측정하는 것이었다.이번 관측에서 기준으로 삼은 혼시각은 오후 8시 2분이었고,
목표
천체는 쌍둥이자리 카스토르(전통 별자리에서는 북하 2번별)였다. 아쉽게도 구름이 걷히지 않아 이 별을 관측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컴퓨터상에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위치를 확인했다. 이를 통해 201 ... ...
나만의 발명 어떻게 지킬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창의적인 사람이 땀 흘려 개발한 아이디어와 기술을 세상에 공개하는 것을 최우선
목표
로 하고 있다. 누군가 공개한 기술이나 시행착오를, 누구나 찾아볼 수 있게 해서 더 나은 기술을 개발하도록 하고, 비슷한 시행착오를 반복하지 않도록 돕기 위해서다.만일 태양전지를 연구하는 기술자가 자신의 ... ...
이전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