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d라이브러리
"
반응
"(으)로 총 5,190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역국으로 말라리아 예방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항원에 대항하는 항체의 모습(B). 녹조류에서 얻은 항원을 실험쥐에 넣었을 때 나타나는
반응
(A)이 (B)와 같다. 이로써 실험쥐에 항체가 생긴 것을 알 수있다. ... ...
"나는 초신성 박씨"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고온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산소보다 무거운 원소도 연료로 쓸 수 있고 다양한 핵융합
반응
을 통해 무거운 원소들을 만든다. 철까지 만든 후 무거운 별들은 초신성 폭발을 한다. 철보다 무거운 원소는 초신성 폭발에서 만들어진다.70억 지구인은 모두 같은 초신성의 후예큰 별이 초신성 폭발과 함께 ... ...
뇌신경 지도를 그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광유전학 기술을 사용하면 빛을 이용해 특정한 신경세포만 선택적으로 자극하고 이 때
반응
하는 다른 신경세포들을 추적할 수 있다.완전한 커넥톰 지도를 그리는 것은 앞으로도 불가능할지 모른다. 그러나 인간의 뇌와 뇌에 생기는 질병들에 대해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은 분명하다.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특이천체가 발견되면서 알려지기 시작했다. 별은 태양처럼 중심부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반응
을 에너지원으로 하면서 빛나는 천체이므로 전파 영역에서는 빛(전자기파)이 매우 미약하다는 것이 상식이다. 그러니 전파 영역에서 많은 빛이 발생하는 천체란 매우 신비한 존재였을 것이다.1962년 미국 ... ...
암흑광자를 사냥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감지할 수 있는 빛을 만들지 못한다는 것. 그리고 자연계의 4대 힘 중 오로지 중력과만
반응
한다는 것이다.그렇다면 물리학자들은 왜 이런 괴상한 암흑광자를 고민하게 된 걸까. 암흑광자가 우주에서 아직 발견되지 않은 ‘암흑의 힘(dark force)’의 열쇠일 수 있다고 기대하기 때문이다.더 깊게 ... ...
식물! 푸름 그 이상의 아름다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밝힌다. 암
반응
, 즉 탄소가 합성되는 과정은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빛이 필요 없는
반응
이다.광합성과 지구온난화최근 계속되는 이산화탄소로 인한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지구 전체 생태계가 크게 위협받고 있다. 특히 전체적으로 기후가 따뜻해지면서 냉대, 한대 지역에 살고 있는 식물들이 ... ...
수학으로 우사인 볼트를 더 빨리 뛰게 만들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0.146초였다. 이는 결승전에 오른 선수들 중 뒤에서 세 번째 기록이다. 배로우 교수는 그가
반응
시간을 0.05초 줄이면, 기록을 9초53으로 앞당길 수 있다고 말했다.둘째, 바람의 도움을 받는 것이다. 볼트는 9초58의 기록을 세웠을 당시 0.9m/s의 뒷바람을 맞았다. 그런데 1968년 멕시코올림픽에서 2m/s의 ... ...
나쁜 공기가 기억력 떨어뜨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같이 간단한 질문을 했답니다. 연구진은 할머니들의 대답으로 인지능력과 정신건강,
반응
속도를 측정했어요. 이 조사는 2년 마다 한 번씩 해서 모두 세 번을 했죠.그 결과 먼지 농도가 높은 지역에 사는 할머니들은 공기 좋은 곳의 두 살 많은 할머니와 같은 인지능력을 보였어요. 공기가 나쁜곳에 ... ...
Part2. 장내미생물, 민감한 면역계 길들인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등 각종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난다고 설명한다.우리나라에서도 아토피 같은 과민 면역
반응
으로 인한 질환이 급증하고 있는데 잘 살펴보면 위생상태가 나아지는 정도와 비례함을 알 수 있다. 즉 도심의 아이들은 흙을 밟아보지 못할 정도로 자연과 접할 기회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또 ...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연료인 중수소와 삼중수소에서 전자를 떼어낸 뒤 모두 양이온으로 만든다. 핵융합
반응
이 일어나려면 높은 압력으로 고밀도 상태를 만들어야하는데 같은 극끼리는 밀어내는 척력이 발생해 고밀도 상태가 되기 어렵다.하지만 1996년 미국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LLNL)의 물리학자 맥스 타박의 ... ...
이전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