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녕
평온
안정
보장
무사
안보
안심
d라이브러리
"
안전
"(으)로 총 3,896건 검색되었습니다.
도넛의 여왕 '안질리나 도나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타고 나갔을 때 심한 태풍을 만났는데, 배를 조종하는 키에 도넛을 끼워 비바람 속에서도
안전
하게 먹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 삼촌의사진을 보여 드리지요.”크로켓은 사진 한 장을 꺼내 보여 주었다. 그 때였다. 갑자기 썰렁홈즈가 소리쳤다.“우앗! 사진 속에 도넛이 다섯 개나 있다!”문제 1사진 ... ...
PART 2 각을 알면 비행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날개가 몸체 아래쪽에 있어 시야가 넓게 확보돼 방향전환이나 상승비행 중 조종사가
안전
비행을 할 수 있다. 중익기는 고익기와 저익기의 중간 형태고 흔히 전투기에 많이 사용된다. 땅에서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설계된 고익기의 특성과 기동성이 좋은 저익기의 장점을 모아 설계됐다 ... ...
에베레스트 산 등정에 나서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따라가자니! 당신 동료를 잃었을 때도 이런 식이었나?”“난 이 팀의 대장이요. 모두의
안전
을 책임지는 사람이란 말이오. 대원들을 사지로 몰 수는 없소.”스미드는 단호하게 말했지만, 눈에는 슬픔이 가득하다. 사실 도형은 작은 눈 언덕에서 미끄러져 원정대와 멀지 않은 곳에 있다.“지도를 봤을 ... ...
PART 3 힘을 알면 비행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하지만 비행기의 날개는 기체 중앙에 달린 주 날개만으로는 돌발 상황이 생겼을 때,
안전
하게 비행할 수 없어요. 주 날개만으론 완벽한 방향전환이 어려운 거죠. 그래서 오른쪽과 왼쪽, 위아래로 맘껏 비행하기 위해 비행기는 보통 수평꼬리날개와 수직꼬리날개를 하나씩 달고 있는 거죠.비행 중에 ... ...
마이클 잭슨 죽인 수면마취제 프로포폴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통증을 줄이기 위해 국소마취제인 리도카인을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우리나라 병원도
안전
지대 아니다국내 마취과에도 프로포폴을 남용한 마취과 의사가 있을까. 필자는 국내 의료진을 대상으로 프로포폴을 환각제로 쓴 적이 있는지 직접 알아봤다. 1998년부터 2008년까지 10년간 61개 병원에서 ... ...
수학동아와 함께한 특강'수학계의 빛나는 별들'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누구죠?”독일의 수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는 프랑스와 독일의 전쟁 중 자신의
안전
을 책임진 프랑스의 수학자가 여자라는 사실에 충격을 받았다.한국여성수리과학회 회장 장선영 울산대 수학과 교수는 4월 9일 이화여대 삼성교육문화관에서‘수학계의 빛나는 별들’이라는 제목의 특강을 ... ...
[Global Math] 만화 속에서 수학을 찾다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만들 때 필요한 수학 이야기를 들려준다. 길이와 각도를 어떻게 해야 가장 빠르면서도
안전
한 롤러코스터를 만들 수 있는지 설명한다. 여러 개의 공을 두 손으로 끊임없이 돌리는 ‘저글링’에 담긴 수학 강연에도 학생들은 귀를 쫑긋 세웠다.‘심슨네 가족들’에 ‘자아도취 수’ 있다리즈에서 ... ...
Intro. 화학-지구촌 구할 녹색 해결사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새로운 생명과학 지식과 특히 의약학 기술발전에 동력을 제공할 뿐 아니라 화학제품의
안전
성을 한 단계 더 높여 줄 것으로 예상된다.우리 자신을 포함해 모든 생명체는 물론 우리 주위 모든 물체 중 원소와 화합물이 아닌 것이 하나도 없음을 인지한다면 인류와 이 지구, 또 우주를 건강하게 ... ...
Intro. 방사능 공포는 과장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중심으로 살펴본다. 파트 2에서는 지금까지 밝혀진 과학적 지식으로 방사성 물질의
안전
성 논란을 점검해 본다. 당장 불안감을 느낄 필요는 없지만, 저선량 방사선 우려가 완전히 사라진 것이 아니므로 장기적인 위험성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 결론이다. 파트 3에서는 방사능 논란의 원인을 원자력 ... ...
Part 1. 방사능 논란, ‘저선량 방사선’이 문제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문제가 될 수 있으니(파트2 참조) 연구가 필요하다.하지만 이 말이 ‘원자력은
안전
하다’는 결론으로 이어지는 것은 비약이다. 우연히 사고가 1000km 떨어진 곳에서 일어났기 때문이지, 만약 국내에서 같은 규모의 사고가 났다면 당장 고선량 방사선이 문제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결국 문제는 ... ...
이전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