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핫이슈 ➊] 아이스에이지 지구대충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연구하면 소행성 충돌 당시에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알 수 있어요. 올해 5월, 영국지질연구소가 이끄는 국제공동 연구팀이 유카탄 반도 아래의 칙술루브 크레이터를 조사하기 시작했어요. 이 지역은 6500만 년 전에 지름 10km의 소행성이 충돌한 곳으로, 지금은 땅 속 지층 깊숙이 크레이터가 숨겨져 ... ...
- Part 4 네번째 작전. 소행성의 움직임을 감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다양한 망원경이 소행성 뒤를 졸졸~소행성을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은, 소행성을 계속 관측해 지금 어디 있는지 알아내고 크기와 궤도를 계산하는 거예요. 그런데 소행성은 크기가 워낙 작고 이동 속도도 빨라요. 따라서 어두운 천체도 볼 수 있고, 오랜 시간 동안 하늘을 관찰할 수 있는 대형 망원경 ... ...
- Part 2 두번째 작전. 소행성이 날아온는 이유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지구를 향해 소행성대에서 탈출~!약 46억 년 전 태양계가 만들어질 당시, 태양 주변에는 크고 넓은 먼지 원반만 존재했어요. 이 원반에 있던 여러 물질이 서로의 중력에 이끌려 뭉치면서 태양계의 여러 천체를 만들었답니다. 이때 크게 뭉친 것들은 둥그런 행성이 되었지만, 충분한 크기로 뭉치지 못 ... ...
- Part 5 다섯 번째 작전. 충돌하기 전에 소행성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부수지 말고 다른 궤도에 양보하세요!지구로 돌진하는 소행성은 우주에서 파괴하는 방법이 가장 좋아 보여요. 하지만 이 방법은 또 다른 위험을 불러와요. 소행성의 파편이 지구 궤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아무도 알 수 없거든요.그래서 과학자들은 소행성을 그대로 두거나 일부만 망가뜨린 채, 날 ... ...
- 바닷속은 문어와 오징어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물을 뒤로 밀어내어 앞으로 나가기도 해요.이탈리아 성안나대학교 바이오로봇공학 연구소의 세실리아 라스키 교수는 이런 문어와 똑같이 움직이는 로봇을 개발했어요. 이 로봇은 문어처럼 팔로 휘감아 물건을 잡고, 여덟 개의 팔을 이용해 바닥을 걸어 다닐 수도 있어요. 또한 관으로 빨아들인 물을 ... ...
- [과학뉴스] 고무로 만든 인공근육?!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없고 외부의 충격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답니다.그런데 최근 미국 하버드대학교 위스연구소의 조지 화이트사이드 박사팀이 고무재료로 인공근육을 만들어 발표했어요. 연구팀이 만든 인공근육은 전체가 고무로 만들어져 있으며, 기다랗고 네모난 튜브 모양을 하고 있어요. 여기에 공기호스가 ... ...
- 벌레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더운 여름에 왜 이렇게 오들오들 떨고 있냐고? 올여름, 무시무시한 것들이 습격할 거라는 경고를 받았거든. 드라큘라나 귀신, 좀비 같은 녀석들이냐고? 아니야! 이런 녀석들보다 몇 배는 더 무서운 녀석들이지. 그건 바로…, 벌레야! 작은 벌레가 도대체 뭐가 무섭냐고? 진짜 무서운 게 뭔지 지금부터 ... ...
- [Editor’s note] 수학과 함께 연말을 보내요~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보낼 수 있도록 해요.크리스마스를 즐겁게 보내기 위해서 수학동아는 국가수리과학연구소와 함께 재미있는 이벤트를 마련했답니다. 바로 ‘메리 크리스MATH 파티’! 장차 우리나라 수학계를 이끌어나갈 젊은 수학자와 함께 수학 이야기를 나누고, 퍼즐 대결도 펼치는 자리예요. 편안한 자리에서 ... ...
- [과학뉴스] 세포와 함께 하는 메리크리스마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스캐너 박사와 함께 세포를 연구하는 컴퓨터 모델링 방법을 연구할 예정이다. 스크립스연구소의 세 연구 그룹은 미국국립보건원(NIH)으로부터 총 660만 달러(77억6820만 원)를 지원받는다.공동연구팀은 예시로 마이코플라즈마를 모델링한 사진을 공개했다(사진 ③). 세균에 속하는 ... ...
- [Knowledge] 우주에는 정말 중심이 없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관측된다면 빅뱅 우주론을 간접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우주배경복사는 1964년 미국 벨 연구소의 연구자들에 의해 우연히 관측된다. 이들은 위성과의 교신을 위해 전파를 관측하던 중 사방에서 알 수 없는 노이즈가 ‘균일하게’ 발견되는 것을 관측했다. 미국 프리스턴대의 로버트 디케 교수는 이 ... ...
이전1951961971981992002012022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