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천 년의 기록이 밝힌 태양의 비밀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태양의 흑
점
활동이 기후 변화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드러난 겁니다. 태양 흑
점
의 수가 늘어날 때 지구 기온이 낮아지는 거라면 언제 또 큰 추위가 올지도 알 수도 있지요 ... ...
박휘이따고훼서 곡종헸는대? 맞춤법 틀린데 해석이 되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앞에 고정된 안구운동측정기에 앉아 얼굴을 단단히 고정했다. 모니터에 떠 있는 까만
점
을 눈으로 확인하며 기계 보정을 끝낸 뒤 본격적인 측정에 들어갔다. 모니터에 뜨는 문장을 읽고 조이스틱을 이용해 OX 문제를 풀었다. 이때 다른 컴퓨터에서는 기자의 안구 움직임과 속도가 실시간으로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모든 접촉은 흔적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로카르의 교환법칙’이라고 한다. 미세증거물을 다루는 기본원칙이다. 여기서 중요한
점
은 증거물을 개별화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출처가 유일해 증거물만으로도 범인이나 범행 도구를 특정할 수 있는 개별 증거물은 의외로 많지 않다. 단면이 일치하는 조각이나 지문, 공구흔, 총기에서 ... ...
포항이 본래 불안정했다고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준 수압 변화는 2만~15만Pa 정도이니 최소 수십 배 큰 것이지요. Q앞으로 더 밝혀야 할
점
이 있나요?사실 앞으로 풀어야 할 숙제가 엄청 많아요. 이번에 발표된 연구 결과는 포항 지진이 촉발 지진이라는 증거들을 찾았다는 거예요. 앞으로 우리가 찾은 증거가 단층에 어떤 힘을 주어서 얼마나 ... ...
[수학뉴스] 한국 대표팀, IMO 3위! 참가자 6명 모두 금메달 획득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한국 대표팀이 7월 11일부터 22일까지 영국에서 진행된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서 참가자 6명 전원이 금메달을 거머쥐면서 전체 3위를 기록했습니다. 종합
점
수 226
점
... 최 교수는 “3번 문제는 2시간이나 토론한 결과 코디네이터가 제시했던
점
수보다 5
점
을 더 얻었다”고 밝혔습니다 ... ...
[교육뉴스] 수학에서 실수? 배경지식의 함정에 빠져서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요소가 집합 형태의 그룹으로 묶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개와 고양이가 나왔다는
점
때문에 자연스럽게 뺄셈 문제가 아닌 집합을 다루는 문제로 생각한 겁니다.스머프 문제와 같은 유형은 일반인 집단이 82%, 수학자 집단의 95%가 맞혔는데, 사라 문제와 같은 유형은 각각 47%, 76%만 답을 맞혔습니다. ... ...
[인터뷰] 박형주 아주대 총장 - 연결’로 문제를 해결하는 폴리매스형 인재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청소년들이 협업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나가면서 집단지성의 힘을 배워나간다는
점
에서 교육적 효과가 큰 것 같습니다. 폴리매스데이 때는 어떤 이야기를 하실 건가요?물론 폴리매스 프로젝트에 대한 이야기를 할 생각입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만난 천재 수학자들의 이야기도 들려주고, ... ...
[인포그래픽] 세계의 유인잠수정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바다에서 탄생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심해가 유용한 광물과 생물자원의 노다지라는
점
도 확인했다. 이에 따라 각국의 심해 탐사 경쟁은 시간이 지날수록 치열해졌다. 특히 유인 잠수정은 탐사의 정밀도를 크게 높일 수 있어 각국이 앞다퉈 개발해 왔다. 수심 6000m까지 내려갈 수 있다면 전 세계 ... ...
설문조사│모기박멸, 해야 할까요?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처음으로 2세대 GM 모기 시험 방사를 실시했다. 기존 생물이 사라질 수 있다는
점
도 GM 모기 방사를 반대하는 주요 논리 중 하나다. 모기는 교미한 암컷을 제외하고는 꽃의 꿀을 먹으며 동시에 수분을 돕는다. 또한 생태계에 있는 유기물을 섭취하는 동시에 다른 동물의 먹이가 되기도 한다. 모기가 ... ...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정크 단백질’을 분해하라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달라붙어서 기능을 억제하는 방식이 아니라 질병을 일으키는 단백질 자체를 제거한다는
점
에서 신개념 질병 치료법으로 최근 각광받고 있다. 이 교수팀은 고속 대량 스크리닝법을 이용해 유비퀴틴 꼬리표가 붙은 정크 단백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도록 돕는 유력한 후보 물질 2개를 찾아냈다. 이 ... ...
이전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