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SF에 묻는다] 지마 블루 vs. 카운트 제로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없습니다. 자의식이 있지 않는 한 인공지능은 예술의 주체가 아니라 도구라는 관점에서 벗어나기 어렵습니다. ‘월 드로잉(Wall Drawing)’이라는 연작 작품을 만든 미국의 예술가 솔 르윗의 사례를 들어보겠습니다. 르윗은 설명과 도안을 제시했을 뿐 실제 그림은 르윗이 고용한 인부들이 그렸습니다.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영국 최초의 우주인이 된 여성, 헬렌 샤먼(Helen Sharman)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경쟁률을 뚫고 우주인이 되기까지 우주인으로 선발되는 과정도 샤먼 박사와 나는 공통점이 많다. 이번 글을 쓰기 위해 그를 인터뷰하며 처음 알게 된 것이지만, 샤먼 박사도 2011년에 나를 만나기 전부터 나와 우리나라 우주인 선발 과정에 대해 듣고 본인과 아주 많은 부분에서 비슷하다는 생각을 ... ...
- 설문조사│모기박멸, 해야 할까요?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처음으로 2세대 GM 모기 시험 방사를 실시했다. 기존 생물이 사라질 수 있다는 점도 GM 모기 방사를 반대하는 주요 논리 중 하나다. 모기는 교미한 암컷을 제외하고는 꽃의 꿀을 먹으며 동시에 수분을 돕는다. 또한 생태계에 있는 유기물을 섭취하는 동시에 다른 동물의 먹이가 되기도 한다. 모기가 ... ...
- [10대의 약] 단체 폭풍 설사 유발하는 식중독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나이를 꼭 확인해야 하며, 모든 지사제는 설사가 멈추면 반드시 복용을 중지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계속 복용할 경우 오히려 변비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설사는 거의 없는데 복통만 남아 쥐어짜듯 배가 불편하다면 스코폴라민 성분의 ‘부스코판당의정’을 복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 ...
- 천 년의 기록이 밝힌 태양의 비밀수학동아 l2019년 08호
- 태양의 흑점 활동이 기후 변화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드러난 겁니다. 태양 흑점의 수가 늘어날 때 지구 기온이 낮아지는 거라면 언제 또 큰 추위가 올지도 알 수도 있지요 ... ...
- 휴양지파 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두 점이 있을 때, 찰흙을 늘렸다 반을 접고, 또 늘렸다 반을 접는 걸 반복하면 두 점의 거리가 확연히 달라지죠? 일정한 규칙대로 행동해도 큰 차이를 만드니 혼돈계의 성질을 설명할 수 있는 거죠. 찰흙을 반으로 접을 때의 모양이 마치 말발굽처럼 보이니, 이 새로운 개념을 제 이름을 따 ‘스메일 ... ...
- [교육뉴스] 수학에서 실수? 배경지식의 함정에 빠져서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요소가 집합 형태의 그룹으로 묶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개와 고양이가 나왔다는 점 때문에 자연스럽게 뺄셈 문제가 아닌 집합을 다루는 문제로 생각한 겁니다.스머프 문제와 같은 유형은 일반인 집단이 82%, 수학자 집단의 95%가 맞혔는데, 사라 문제와 같은 유형은 각각 47%, 76%만 답을 맞혔습니다. ... ...
- [동아리탐방]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G.O.M수학동아 l2019년 08호
- 큰 영향을 줬다고 밝혔다.하 군은 “동아리 활동을 통해 수학을 나누는 활동이 즐겁다는 점을 깨달았고 수학으로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는 방법을 깊이 고민했다”며, “이런 생각을 제대로 이야기해서 꿈을 이룰 수 있던 것 같다”고 말했다.하 군은 여전히 학교에 찾아와 후배들에게 조언하며, ... ...
- 모기, 너란 놈... 며칠 듯이 잡고 싶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성공했다. 잔물땡땡이와 광릉왕모기 유충은 모두 소형 모기의 유충을 먹고 산다. 다른 점이 있다면 딱정벌레의 일종인 잔물땡땡이는 논과 같이 비교적 넓은 구역에서 활동하고, 광릉왕모기 유충은 웅덩이와 같이 좁은 구역에서 서식한다는 것이다. 김 연구원은 “왕모기의 유충이 다른 소형 모기의 ... ...
-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정크 단백질’을 분해하라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달라붙어서 기능을 억제하는 방식이 아니라 질병을 일으키는 단백질 자체를 제거한다는 점에서 신개념 질병 치료법으로 최근 각광받고 있다. 이 교수팀은 고속 대량 스크리닝법을 이용해 유비퀴틴 꼬리표가 붙은 정크 단백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도록 돕는 유력한 후보 물질 2개를 찾아냈다. 이 ... ...
이전1951961971981992002012022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