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크기
범위
스케일
사이즈
치수
중소규모
중소
뉴스
"
규모
"(으)로 총 8,302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별기고] '허준이 필즈상' 못다전한 이야기
2022.12.30
3천만 원 상금의 뉴호라이즌스 상과 3억 원 상금의 호암과학상을 이미 받았으니, 상금의
규모
로 이 상의 가치를 판단하는 건 무용하다. ● 필즈상에 버금가는 가우스 상, 아바커스 메달, 천 메달, 릴리바티 상 막연하게 상식적인 정도로만 알고 있던 필즈상의 여러 측면을 알게 된 건 몇 가지 ... ...
미역·갯벌의 재발견...의외의 탄소 흡수원 부상
동아사이언스
l
2022.12.30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플랑크톤이 기후변화에 따른 전 지구적
규모
의 바다 생태계 변화에서 교란을 막는 완충 작용을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 ...
수리 전문가들의 마지막 예측 "2주 후 코로나 확진 2~8만명대"
동아사이언스
l
2022.12.29
.38에서 2.32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며 향후 2주간 신규 확진자
규모
는 감소세가 나타날 것이라 예측했다. 2년 동안 약 85회 유행예측 결과를 전한 이 보고서는 이번주를 끝으로 발간을 마무리한다. 수리연 관계자는 "보고서를 함께 진행하는 대한수학회 코로나19 TF의 활동 기간이 12월 말에 ... ...
넉달새 최다 사망 76명...코로나 확진 7만1427명
동아사이언스
l
2022.12.29
지속되는 가운데 29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7만명대 초반이다. 하루 신규 확진자
규모
는 정체된 모습을 보였지만 사망자수는 증가세를 보이며 넉 달 만에 최다치를 기록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7만1427명 늘어 누적 2893만1140명이 됐다고 밝혔다. 이날 ... ...
차세대발사체·SMR·양자 등 국가전략기술 집중 육성...민관 프로젝트 확대
동아사이언스
l
2022.12.28
민간 주도 우주산업 육성을 위한 종합지원체계도 구축했다. 과기정통부는 연간 50억원
규모
의 우주 스타트업 전용 펀드를 추진한다. 2023년 하반기까지는 우주 부품·기술 국산화 로드맵을 마련하고 위성정보를 활용한 새로운 우주서비스 창출을 위해 위성활용촉진법을 제정할 계획이다. 한국형 ... ...
文 정부 땐 ‘상갓집’ 분위기...웃음꽃 핀 ‘원자력’ 행사
동아사이언스
l
2022.12.27
포상이 줄어드는 등 분위기는 상갓집에 가까웠다. 올해 행사는 약 200명이 참석할 정도로
규모
도 크다. 그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여파로 제한된 현장인원에 온라인으로 주로 진행해오다 오랜만에 원자력계 인사들이 만나는 자리를 가졌다. 공업계 마이스터고 학생들도 ... ...
'화성 지질학자' NASA 인사이트 4년간 임무 끝내고 은퇴
동아사이언스
l
2022.12.23
특히 인사이트가 보내온 지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12월 화성에 운석이 충돌해
규모
4 지진과 150m 크기의 충돌구가 생겼다는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지진은 화성과 지각의 맨틀, 핵의 특성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정보다. 올해 9월 인사이트가 화성에 운석이 충돌하면서 발생한 4건의 지진파 ... ...
위중증·사망자 발생감소 등 2개 지표 충족 시 실내서 마스크 벗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23
말 정도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 청장은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 이후 유행
규모
가 일시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며 겨울 유행 상황에서는 마스크 착용을 포함한 개인 방역 수칙을 지속적으로 실천해주기를 당부했다. 그러면서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 이후에도 신규 변이, 불확실한 ... ...
탄소배출 줄이고 더 푸르게...크리스마스 트리의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22.12.23
전세계 크리스마트 트리 시장은 지난해 기준 56억1000만달러(약7조2228억원)에 달한다. 대
규모
시장인 만큼 지속가능성을 갖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크렉 교수는 “지속 가능성이 높은 크리스마스 트리를 찾기 위한 연구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 트리 나무 더 푸르게, 더 오래 ... ...
[기후위기와 산림] 기후위기 시대 탄소 역배출로 재조명받는 '숲'
2022.12.22
탄소 흡수원의 역할을 탄소 배출을 늦추는 기능으로만 인식한다면 흡수원 사업의
규모
가 확대되는 것이 우려스러울 수도 있다. 하지만 이는 배출 감축만 중요하게 바라보는 시각에서 생기는 오해이다. 기후변화협약은 탄소 배출 감소와 흡수가 동등한 감축 효과를 가진다고 인정하고 있으며, ... ...
이전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