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저자"(으)로 총 2,1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의식 잃는 '압상스 간질' 원인 찾았다2014.08.12
- 교신저자인 신희섭 단장(왼쪽)과 이승은 연구원 -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제공 국내 연구진이 수 초에서 길게는 수십 초까지 의식을 잃을 수 있는 비경련성 발작질환인 ‘압상스 간질’을 치료할 수 있는 단초를 찾아냈다.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단장 신희섭)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
- 게임만 했는데 3차원 뇌지도 제작이 끝~과학동아 l2014.08.12
- 계획이며, 관련 논문을 네이처 등 최고 학술지에 발표할 때 게임에 참여한 네티즌도 공동 저자로 등록할 것”이라고 밝혔다. KT는 현재 영어로 제공되고 있는 이 게임을 우리말로 제작하고 필요한 정보통신 인프라와 빅데이터 서비스도 제공하기로 했다. 커넥툼 프로젝트는 인간 두뇌에 있는 100 ... ...
- 우리집 아이의 성적인 질문, 어떻게 대답해 줄까2014.08.10
- 사이언스북스 제공 ◆임신과 출산 (DK 임신과 출산 제작위원회 著, 사이언스북스 刊) 어린아이들이 성적인 질문을 하는 건 순수한 과학적 호기심 때문이다. 이 ... 구성을 손에 쥐듯 볼 수 있다. 여러 가지 과학 현상을 시적으로 잔잔하게 풀어낸 저자의 글 솜씨와 상상력도 주목할만하다. ... ...
- 1976년 에볼라 역병은 어떻게 시작되었나2014.08.04
- 에볼라에 대한 보도로 1996년 퓰리처상을 받았다. - 강석기 제공 과학저술가라는 저자 로리 가렛(Laurie Garret)이 어떤 사람인가 궁금해 검색해보니 1976년 자이르(현 콩고민주공화국)의 에볼라 발생과정을 용기있게 다룬 업적으로 1996년 퓰리처상까지 받았다. 즉 ‘The Coming Plague’의 노른자가 바로 ... ...
- 미술관 옆 물리학과학동아 l2014.08.03
- ‘에너지는 질량과 빛의 속도의 제곱을 곱한 것과 같다’는 사실을 설명하기 위해 저자는 에너지(E), 등호(=), 질량(m), 빛의 속도(c), 제곱(²)에 담긴 유래를 먼저 추적한다. 그리고 이 방정식을 둘러싼 과학자들의 놀라운 발견과 그들의 열정, 사랑, 복수로 뒤섞인 일생을 소개하고 제2차 세계대전 ... ...
- 연구논문 2개에 동시에 이름 올린 중앙대 교수과학동아 l2014.07.30
- 트랜지스터로 쓰는 것이 좋겠다고 조언했다. 정 교수는 두 연구논문 모두에 공동 저자로 이름을 올렸고, 이들 성과를 설명하는 자료가 30일 동시에 발표되면서 공교롭게도 같은 날 두 곳 모두에 이름이 보도됐다. 플라스틱 배터리에 쓰인 탄소 구조체의 화학식 - 한국연구재단 제공 ... ...
- 자신이 가장 똑똑한 사람일 필요는 없다과학동아 l2014.07.27
- 한 대표적 발명품 96가지를 한 데 모았다. 그리고 이해를 돕기 위한 그림 286장까지. 저자는 이 책에서 특히나 그림에 신경을 썼는데, 그 이유가 재미있다. 미술관에 간 사람들은 정작 그림을 보는 것보다 그림 설명을 읽는 데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한다. 독자가 꼭 알았으면 하는 내용을 그림 옆에 ... ...
- 마셜 박사가 헬리코박터균을 마신 이유과학동아 l2014.07.20
- 내야 할지, 로켓이 지구의 중력을 뿌리치고 탈출하려면 얼마나 빨리 날아야 할지. 저자는 이런 모든 X를 구하는 답에 ‘인생’을 갖다 붙인다. 진정한 사랑을 만나기 위해서는 확률을 적용하고, 춤 교습에 벡터가 나온다. 위상수학을 이용하면 베이글에 크림치즈도 더 많이 바를 수 있다. ... ...
- 존 벨, 아인슈타인과 보어가 발견하지 못했던 것을 발견한 물리학자2014.07.14
- 쪽짜리 이 논문은 오늘날 저자들 이름의 머리글자를 따 ‘EPR 논문’이라고 불린다. 저자들은 논문에서 측정을 하기 전에는 실재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양자역학의 입장의 모순을 드러내는 놀라운 사고실험의 예를 제시한다. 즉 양자역학에 따르면 상호작용을 하는 두 입자를 떨어뜨린 뒤 한 ... ...
- 멍 때리다 떠오른 생각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2014.07.13
- 꼼꼼함과 많은 여성들이 가진 특성들이 필요하다’고 적혀 있다”고 말한다. 저자는 오늘날 남성의 뇌가 분석적이고 수학적인 반면 여성의 뇌는 감성적인 성질을 띠게 생물학적으로 결정됐다는 주장을 강력히 비판하며 이는 남녀의 능력 차이는 사회적으로 만든 현상일 뿐이라고 반박한다. ... ...
이전1951961971981992002012022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