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지
분파
분맥
너울가지
너울
곁가지
어린 가지
d라이브러리
"
가지
"(으)로 총 9,776건 검색되었습니다.
[Origin] 모든 선택을 설명하는 이상한 수식
과학동아
l
201705
없었다. 그러나 동봉한 답신에서 프라이스는 자신이 혈연 선택 이론에서 찾아낸 “몇
가지
작은 흠결”을 해결할 방도를 해밀턴과 함께 논의하고 싶다고 썼다. “저는 진심으로 바라건대 - 그동안 제게 친절히 응대해주셨을 뿐만 아니라, 해밀턴 박사님의 연구를 존경하는 저로서는 어쨌든 누구나 ... ...
Part 2. 인간은 왜 늙는가
과학동아
l
201705
유해산소가 세포를 만나면 노화현상이 초래된다는 가설이다. 유해산소는 자유라디칼을
가지
고 있어 반응성이 아주 큰 활성산소를 말한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7000번 이상이 인용됐을 정도로 학계에서 큰 관심을 모았다.이에 따라 유해산소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제거하는 생체효소계에 대한 연구도 ... ...
최신 연구로 떠나는 미스터리 세계여행
과학동아
l
201705
있었습니다. 로렌츠 박사는 e메일 인터뷰에서 “우리가 발견한 것은 돌을 움직이는 한
가지
사례”라며 “다른 방식으로 움직이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일본 바닷속 미스터리 서클의 정체는?아프리카, 미국까지 가 봤으니 집으로 오는 길엔 이웃나라 일본을 들러 볼까요. 일본 ... ...
Part 3. 지하 도시 만드는 두
가지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5
1. 도시 역사와 함께 흐른다Part 2. 지하 도시 도시 아래에 산다Part 3. 지하 도시 만드는 두
가지
비밀!Part 4. 해상도시 바다 위에 도시가 둥둥Part 5. 우주 도시 특명 또 하나의 지구Part 6. 미래를 꿈꾸는 우주 도시 ... ...
Part 1. 헛걸음을 하지 않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5
벌이 꽃잎에 남긴 기름 냄새까지 알 수 있답니다. 이 냄새를 확인하면 직접 꿀샘까지
가지
않아도 이미 누군가 다녀 갔다는 것을 알게 되는 거지요. 전략2 특별한 신호를 만들어라!벌은 효율적으로 꽃을 찾기 위해 특별한 신호를 만들었어요. 바로 8자를 그리며 엉덩이를 흔드는 ‘8자 춤’이지요 ... ...
수학이 빚은 조각 보석
수학동아
l
201705
내부로 들어온 빛이 보석의 면에 수직인 선과 이루는 각도가 일정 값보다 크면 밖으로 나
가지
못하고 다시 내부로 튕겨 들어오는데, 이 각도의 크기를 ‘임계각’이라고 합니다. 보석을 조각할 때 임계각에 맞춰 조각하면 빛이 보석 안에 머무르기 때문에 더욱 반짝반짝 빛나게 됩니다.보석 깎는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바꿀까, 안 바꿀까 그것이 문제로다!
수학동아
l
201705
사라는 노란 상자를 열어 보였는데, 왜 하필 노란 상자를 골랐을까? 그 이유는 다음 네
가지
로 추측할 수 있다.➊부터 ➍는 사라가 왜 하필 노란 상자를 골랐는지에 대한 추측 결과다. 어느 것도 동시에 일어날 수 없다. 공통점은 딱 하나뿐이다. 바로 어떤 이유에서든 사라가 노란 상자를 골랐고, ... ...
Part 3. 수학으로 만든 보드게임
수학동아
l
201705
하나 더 늘려 7
가지
로 정하면 카드를 7장까지 만들 수 있다. 하지만 그림의 종류를 8
가지
로 늘리면 카드의 수가 3장으로 오히려 줄어든다. 따라서 최대 카드 수는 7장이다.이 7장의 카드를 점으로 두고, 같은 그림이 그려진 카드를 선으로 연결하면 차수가 2인 사영 평면이 나타난다. 사영 평면의 성질을 ... ...
괴짜 수학자의 실험 일지
수학동아
l
201705
지표는 그대로다.모양을 조금 바꾸더라도 변하지 않는 값이 있으면 이 값을 보고 여러
가지
도형과 공간이 서로 같은지 다른지를 비교할 수 있다. 오일러 지표가 복잡한 공간의 성질을 알려주는 셈이다. 최수영 아주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위상수학은 공간의 특징을 써서 난해한 수학 문제를 ... ...
[과학뉴스] 뇌처럼 작동하는 전자회로 나왔다
과학동아
l
201705
‘에이씨에스 나노’ 3월 28일자에 공개했다.현재 전자기기에 쓰이는 회로는 0과 1 두
가지
신호로 작동하는 디지털 방식인 데 비해 우리 뇌의 신경세포는 연속적인 값을 이용하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작동한다. 알파고처럼 뇌를 모방하는 인공지능 기술은 주로 소프트웨어를 만들어서 디지털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