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경사
비탈
경사도
사경
경향
성벽
치우침
d라이브러리
"
기울기
"(으)로 총 225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상이변의 말썽꾼 엘니뇨 현상
과학동아
l
199503
(그림 2)의 가운데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편동풍의 약화는 곧 바로 해수면의 동서간
기울기
가 해소됨을 의미한다. 그 결과 동태평양에서 용승류가 약화된다. 이를 엘니뇨 현상이라 한다.이 엘니뇨 기간 동안은 해양의 순환(표층류와 심층류의 순환)도 결과적으로 흐름이 약해진다. 이에 따라 ... ...
지진징후 5가지 현상
과학동아
l
199503
많은 지진이 일어남에 따라 어떤 지역의 b값(빈도수의 상용대수와 규모관계에서
기울기
를 말함. 즉 Log N=a+bM)을 계속해서 계산해 보았을 때 b값이 일정하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다.이상 다섯가지 매개변수와 더불어 지진발생 전, 발생 중, 발생 직후의 지각변형에 의해 암석에 나타나는 다섯 단계를 ... ...
1. 온실기체 계속증가, 당분간 상승추세
과학동아
l
199502
공전축에 대한 지축의
기울기
가 21.5˚에서 24.5˚까지 4만 1천년 주기로 변하는 것이다.
기울기
가 클수록 계절 변화는 더 심할 것이다.지구 공전궤도 변동지구의 공전궤도는 약 10만년 주기로 거의 완전한 원에서 타원으로 점차 편평화했다가 원래대로 돌아간다. 이 사이에 변하는 태양과 지구 사이의 ... ...
물리 - 영구기관, 에너지보존법칙에 어긋난다
과학동아
l
199412
놓으면 공은 그 구멍에서 아래로 떨어져서 다시 빗면의 아래쪽으로 공이 굴러가도록
기울기
를 조정해 놓는다. 그러면 다시 강력한 자력에 의해서 빗면으로 쇠공이 끌려올라 오고 다시 구멍으로 떨어져 쇠공은 같은 운동을 반복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빗면으로 쇠공을 끌어 올릴 정도의 ... ...
알기쉬운 미적분이야기
과학동아
l
199411
오랜 시간이 필요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넓이 계산은 반드시 해야되는 것이지만
기울기
는 그다지 필요성이 없었기 때문에 미분의 발달이 늦어졌던 것이다.하지만 현재 우리 주변에는 미분을 이용한 개념이 범람하고 있다. 예를 들어 경제기획원의 중대한 관심사인 물가 그래프와 물가상승률 ... ...
화학- 물질반응속도, 온도따라 다르다
과학동아
l
199408
그린 것이다. 결과로부터 반응을 올바로 추측한 것은?〈해설〉그래프에서 B가 A에 비해
기울기
가 가파르다. 이는 B의 반응이 빠르게 진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응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경우는 농도가 진하거나 표면적이 넓거나 온도가 높거나 촉매를 사용했을 때다. 위의 반응에서 염산이 과량 ... ...
(1) 지구온난화, 사람 못살게 된다
과학동아
l
199407
지축의
기울기
가 작을 때는 계절 변화가 상대적으로 작을 것이다.(그림3)의 b는 지축
기울기
가 21.5°일때 비해 24.5°일 때 대기 상층에 들어오는 태양 에너지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이 경우 여름 반구는 24.5°일 때 더 많은 태양 에너지가 들어오며 겨울 반구에서는 감소함을 보여준다. 특히 겨울 ... ...
태양에 검은 반점 남기는 수성의 일면통과
과학동아
l
199311
고리의 모습을 지닌 신비스러운 행성이다. 그런데 이 고리면의 우리 시선방향에 대한
기울기
가 점점 작아져서 95년에는 고리가 보이지 않게돼 마치 토성의 고리가 사라진 것처럼 된다. 즉 토성이 더이상 화려하고 아름다운 행성이 아닌 것이 되는 것이다. 지금부터라도 토성고리 면을 자세히 ... ...
태양계의 보석 행성 여행
과학동아
l
199310
있다.토성의 고리는 그 면이 황도면과의 사이에 경사를 갖고 있기 때문에 보이는 고리의
기울기
에도 매년 변화가 생긴다. 토성의 공전주기는 약 30년 걸리기 때문에 15년에 한번 고리는 최대로 넓어진 것처럼 보이고, 반대로 15년에 한번 고리는 가늘게 되어 완전히 옆으로 세워져 전혀 보이지 않게 ... ...
물리- 전기력과 만유인력은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310
빽빽한 곳을 전기장이 세다고 한다. 따라서 전하 입장에서 보면 전기장은 일종의 '
기울기
'라고 볼 수 있다. 여러가지 전기장 양전하와 음전하가 인접해 있을 경우에 그 부근의 전기장은 단위전하가 그 두 전하로 부터 받는 힘을 합성해야 얻어진다. 이 경우 각각의 점에서 전기장의 세기와 방향이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