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노트북"(으)로 총 289건 검색되었습니다.
- 1. 첨단기술로 가는 다리 소재성형과학동아 l200208
- 자성 판재, 비정질 강판 등으로 기능성이 뛰어나고 부가가치가 높다. 마그네슘 판재는 노트북이나 휴대폰의 케이스에 쓰이고, 자성 판재는 오디오, 비디오, 전화기 등에 들어가는 변압기의 자석심에 들어간다. 또 비정질 강판은 독특한 탄성을 지녀 골프 헤드에 사용된다.섬유와 수지의 고분자 ... ...
- 디지털캠코더와 함께 나도 이제 영화감독과학동아 l200207
- 점이다.삼성의 경우 토종 제품이라는 인지도와 충실한 AS 등이 장점. 소니의 경우 소니 노트북 등과 연결성이 뛰어나고 디자인이 뛰어나다는 평을 듣고 있다. 샤프의 경우 뛰어난 CCD와 LCD, 독특한 디자인 감각을 자랑하는 JVC 등도 인기를 얻고 있다. 디지털캠코더를 살 때 먼저 살펴야 하는 요소는 ... ...
- 팔만대장경 기적의 보관 기술과학동아 l200206
- 조금 좁다. 경판의 무게는 나무의 종류와 길이에 따라 다르나 평균 3.4kg 정도로 대형 노트북 컴퓨터와 비슷하다. 따라서 전체 무게는 2백80t. 4t 트럭에 싣는다면 70대 분량이다. 오늘날에도 이렇게 많은 화물차가 한꺼번에 줄지어 달린다면 끝이 보이지 않을 것이다. 하물며 말이나 소가 끄는 달구지가 ... ...
- 10년의 제품 수명 2주만에 테스트과학동아 l200204
- 75℃는 여름철 차안의 온도다. 핸드폰을 차에 놓고 내렸을 때를 염두에 둔 것이다.노트북처럼 TFT-LCD 모니터를 장착한 제품은 고도 테스트를 받는다. 고도가 높으면 대기압이 낮아져 TFT-LCD에 방전이 일어날 수 있는데, 비행기 안에서 이들 제품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알프스산맥과 같은 ... ...
- NT - 나노 세계에서 펼쳐지는 물질혁명과학동아 l200201
- 가져다줄 미래의 모습은 어떠할까.손목에 차는 슈퍼컴퓨터우리 생활에서 많이 접하는 노트북, 휴대폰, PDA 등을 생각해보자. 현재 휴대용 컴퓨터는 1-3kg의 무게에 노트만한 크기를 가방에 넣고 다녀야 한다. 하지만 다가올 미래의 나노기술은 크기가 5백원짜리 동전 만해서, 손목시계처럼 손목에 차고 ... ...
- 분자소재연구실 기능성 분자로 돌돌 말린 디스플레이 실현과학동아 l200109
- 정보통신 소자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빛을 내는 유기분자요즘 흔히 쓰는 노트북과 이동전화의 화면은 액정화면(LCD)이다. 액정 화면에 쓰이는 분자는 자체적으로 빛을 내지 못한다. 액정 분자는 화면 안쪽의 형광램프에서 나오는 빛을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역할만 할 뿐이다. ... ...
- 네트워크와 모바일 컴퓨팅 시공간 굴레 벗고 무선통신 즐긴다과학동아 l200108
- 모바일 컴퓨팅은 말 그대로 움직이면서 컴퓨팅환경을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노트북이나 PDA를 들고 다니면서 문서를 작성하고, 저장된 텍스트를 읽을 수 있다면 모바일 컴퓨팅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단순히 움직이면서 사용할 수 있다고 해서 모바일컴퓨팅이되는것은아니다.‘ 항상 ... ...
- 2. 전기 통하는 플라스틱의 비밀 2010년 돌돌 말린 디스플레이 등장과학동아 l200108
- 고분자가 전기를 흘렸을 때 아주 밝은 빛을 낸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이 경우 기존의 노트북 모니터와 TV 브라운관을 대체할 가능성이 크다. 모니터나 브라운관을 아주 얇은 판에다 만들 수 있어 초박막형 TV를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사실 유기물질(고분자)에 전기를 흘렸을 때 빛을 내는 ... ...
- 디지털 천국 가정에서 실현과학동아 l200108
- 블루투스 응용 제품을 선보였다.네덜란드의 필립스는 휴대폰에 블루투스 모듈을 장착, 노트북과 연결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을 시연했으며, 일본의 소니는 메모리스틱의 일종인 ‘인포스틱’에 블루투스 모듈을 탑재, 슬라이드 이미지를 빔 프로젝터로 보내는 제품을 선보였다.한편 캐논은 전송 ... ...
- 전자 및 광학재료실험실 포스트 D램 반도체 시대 연다과학동아 l200107
- 전원이 나가도 저장했는지 걱정할 필요도 없다. 한번 충전하면 한달 내내 사용할 수 있는 노트북컴퓨터나 휴대폰도 꿈이 아니다.현재 미국과 일본의 유수 반도체업체들은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개발에 뛰어들어 첨예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KAIST 재료공학과 노광수 교수가 이끄는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