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숙성
나이를 먹음
노쇠
노약
성숙
가령
d라이브러리
"
노화
"(으)로 총 43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암기에서 해방시켜주는 인공해마
과학동아
l
200804
메커니즘이 활성화됐다. 바탈리아 박사는 “쥐 실험 결과가 사람에게도 적용된다면
노화
나 노인성 치매로 인한 기억력 저하를 TMS로 예방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정재승 교수는 “미래에 일반인들이 뇌를 ‘업그레이드’할 때 수술이 필요 없는 TMS기술을 이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예측했다 ... ...
세포 반란 잠재울 단백질 구조학
과학동아
l
200804
발견했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유전자의 복제를 돕는 단백질의 정체가 드러나며 세포의
노화
를 막을 수 있는 길이 열릴 거란 기대를 해볼 수 있다. 상처 입은 유전자 보호하는 ‘주치의’상처를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새살이 곱게 돋아나지도 않고 보기 싫은 흉터를 남긴다. 마찬가지로 유전자가 ... ...
질병 진단의 신예 적혈구
과학동아
l
200803
적혈구의 유연성이 떨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가장 쉽게 떠올릴 수 있는 이유는
노화
다. 송재우 교수는 “적혈구가 오래되면 세포막이 조금씩 떨어져 나가 전체적으로 표면적이 줄어든다”며 “상대적으로 적혈구가 팽팽해지면 ‘바람 빠진 타이어’였을 때보다는 변형될 여지가 ... ...
명작으로 다시 보는 쥐 요건 몰랐'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3
쥐다.쥐꼬리 상식세상에서 가장 나이 많은 실험쥐는 누구였을까? 미국 미시간의과대학교
노화
연구센터에 살았던 쥐‘요다’가 바로 주인공! 보통의 쥐는 2년 정도 살지만 요다는 4년이나 살았다. 사람 나이로 치면 무려 136살이라고 한다.그래 봤자 쥐가 얼마나 하겠냐고? 놀라지 마시라! 1994년 미국 ... ...
떡 속의 쫄깃쫄깃한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3
원래의 딱딱한 상태로 돌아가게 되는데, 이를‘
노화
’됐다고 하지요. 떡이 딱딱해지는
노화
현상은 냉장실의 온도인 0~5℃일 때 가장 빠르게 일어나요. 따라서 떡이 쉴까 봐 걱정된다고 떡을 냉장실에 넣는 것은 떡을 가장 빨리 맛없게 만드는 거예요.맛있는 떡에 쫄깃쫄깃한 과학을 더하니 떡 맛이 ... ...
우주인과의 인터뷰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2
이소연 씨는 이번 방문 기간에‘지구 대기 관측’,‘우주환경에서 초파리의 중력 및
노화
유전자 연구’등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수행할 실험을 미리 연습합니다. 1월 12일에는 한국을 떠나 미국 존슨우주센터에서 1주일간 국제우주정거장 모듈의 구조와 통신 방법에 대해 교육받을 예정이에요. ... ...
다시 보면 고마운 '키다리 아저씨' 혐기성 미생물
과학동아
l
200801
산소화합물을 해독하는 메커니즘이 있어 죽지 않는다. 단지 주름살이 늘거나 피부가
노화
하는 수준에서 멈춘다. 카탈라아제가 과산화수소를 물과 산소로 분해하고, 수퍼옥사이드분해효소(SOD, superoxide dismutase)가 과산화물 두 분자를 과산화수소와 산소로 바꾸기 때문이다. 환경과 사람 살리는 ... ...
특집01 전자회로 설계하듯 생명체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0801
‘발현조절’이라고 한다. 이들 유전자는 수없이 다양한 조합을 이루며 면역이나
노화
같은 ‘생체조절 메커니즘’을 만들어낸다.다양한 생체조절 메커니즘의 비밀이 하나씩 밝혀지면서 생명과학자들은 유전자발현 현상을 전자공학에 빗대어 이해하기 시작했다. 즉 특정 기능을 담당하는 유전자를 ... ...
과학자들의 친구 쥐
과학동아
l
200801
%가 실험쥐다. 쥐를 통해 약품이 인체에 안전한지 검사하는 것은 물론 화장품의 독성이나
노화
정도, 각종 질환을 테스트할 수 있다. 쥐는 만능 실험꾼인 셈.2003년 2월 ‘네이처 드러그 디스커버리’는 “2003년 세계적으로 팔리는 100대 약은 전부 실험쥐에 전임상 과정을 거친 뒤 시판됐다”고 보도한 ... ...
초미세 생체현상 속에 답이 있다
과학동아
l
200801
전 연구단은 당뇨병을 진단할 수 있는 세포검사기를 개발했다. 당뇨병 환자는 적혈구가
노화
하며 모세혈관의 혈액순환에 장애가 생기고 합병증을 겪는다. 그래서 학계는 당뇨병 환자의 혈당수치뿐만 아니라 적혈구의 ‘건강’도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사람처럼 시간이 갈수록 늙는 적혈구는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