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라비아"(으)로 총 196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자연과학사 대계 20권나와과학동아 l198810
- 고루 참고가 되도록 정성들여 꾸민것이다.제1권 '과학의 여명'으로부터 고대과학 중세 아라비아 르네상스1.2, 그리고 계몽시대와 현대에 이르고 있으며 한국과학사도 포함돼 있다. 편저위원은 다음과 같다. 조완규, 전상운, 이상만, 박태규, 박익수, 박승재, 박성래, 민영기, 맹광호, 라일성, 김용운, ... ...
- "설계도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로킷"과학동아 l198804
- 로킷이라는 신무기에 관심을 집중 시킬 수 있게 된다.세계에서 두번째로 제작된 로킷은 아라비아의 ‘핫산 알라마’(al─Hasan al─Rammah)에 의해서 1285~1295년 사이에 쓰여진 ‘병기와 기마전투에 대한 책’에서 설명된 ‘연소하며 스스로 날아가는 달걀’(self-moving and combusting egg)이라는 이름의 ... ...
- 석유는 곧 고갈 「태양-수소」시대가 온다과학동아 l198802
- 이런 종류의 거울이 이미 세개나 만들어 졌다. 그중에서 두개가 석유의 나라인 사우디 아라비아에 설치되어 있다. 천만 마르크가 투자된 프로젝트인 "하이솔라"(Hysolar)는 사막사람들에게 백킬로와트의 포토볼타발전소를 건설해 줄 계획인데, 이 프로젝트의 노우하우(know-how)는 공동의 소산이다. ... ...
- 발명가를 끝없이 유혹한다 영구기관은 영원히 불가능?과학동아 l198801
-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인 '바스카라'에 의해 1150년 처음 제안된 영구기관에 대한 생각은 아라비아를 거쳐 13세기에는 유럽으로 전파돼 대단한 선풍을 일으키게 되었으며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영구기관의 제작은 과연 불가능한 일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과학적으로 영구기관은 불가능하다. ... ...
- 황금과 불로장생을 찾아과학동아 l198712
- 연금술을 연구하는 사람을 연금술사(鍊金術師,Alchemist)라 부른다. 이 연금술(Alchemy의 Al-은 아라비아어의 정관사)은 화학(Chemistry)과 이복형제의 관계에 있고 연금술사(Alchemist)는 화학자(Chemist)의 전신이다. 또 연금술사가 일확천금이나 불로소득을 노린다는 뜻에서 흑색술사(黑色術師)라 부르기도 한다 ... ...
- 신비의 섬 발리과학동아 l198710
- 뻗어 나가면서 마호멧사후 1천여년이 지난 15, 6세기에는 현재의 인도네시아 전역이 아라비아상인과 이슬람 설탄의 지배아래 복속되었다. 인도의 힌두교의 영향아래 있던 인도네시아 사람들은 개종 또는 도망의 선택밖에 없었다.지금의 발리섬사람들은 고유종교인 힌두교를 지키기 위해 외적의 ... ...
- 10만메가톤의 에너지 태풍의 생성과 소멸과학동아 l198709
- 멕시코만이나 서인도제도에서 발생하는 허리케인(Hurricane)이라하고 인도양의 벵갈만이나 아라비아해에서 발생하는 것은 사이클론(Cyclone)이라하며 남반구의 오스트렐리아 부근 '티모르'해에서 발생하여 오스트렐리아 북쪽 해안을 엄습하거나 '퀸즐란드'해안을 지나 '카펜테리아'만으로 가면서 마구 ... ...
- 남극의 빙산을 사막에 옮긴다!?과학동아 l198709
- 것. 이정도라면 수면 아래의 깊이는 2백m가 된다. 수송도중에 태반이 녹아 예컨대 아라비아반도에 도착했을 때는 겨우 3분의1이 남지만 그래도 1천만t 이상의 담수를 얻을 수 있다.이 물은 사실상 증류수이므로 관개에 쓸때에는 바다물을 5~10% 섞을 수도 있다.작업은 먼저 인공위성으로 적당한 크기와 ... ...
- PART 2 도대체 어떻게 벌었나?과학동아 l198709
- 길에는 다른 사람이 따를 수 있는 것과 따를 수 없는 것이 있다. 따를 수 없는 길에는 아라비아의 석유왕국의 왕과 같은 경우이다. 그렇게 되려면 태어나는 장소를 선택하는 수 밖에 없으니까. 영국왕실도 세계유수의 억만장자이지만, 이렇게 될 자격이 있는 사람은 한정되어 있다. 록펠러가에 ... ...
- 산업혁명의 숨은 주인공 산·알칼리 공업과학동아 l198707
- 말을 사용했던 것을 보면 이들도 알칼리를 만들어 사용한 것이 분명하다(A1kali의 AI 은 아라비아어의 정관사이고, Kali는 식물의 재를 의미한다). 지금은 그 모습이 거의 사라져 볼 수 없지만, 우리 선조들도 빨래를 하기 위해서 알칼리성 용액을 만들었다. 떡시루 안에 삼베 천을 깔고 그 위에 ... ...
이전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