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린네르
섬유
d라이브러리
"
아마천
"(으)로 총 273건 검색되었습니다.
1. 베이식(BASIC)위주 교육 탈피해야
과학동아
l
199107
88년 제5차 교육과정 개정이후 컴퓨터는 정규교과목에 삽입되고 96년까지 전국 초중고등학교에 16비트 컴퓨터가 보급되기로 하는 등 큰 변화가 있었다.오진석-바쁘신 중에 여러 선생님들께서 참석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오늘 논의할 주제는 학교컴퓨터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이에 대한 개선방 ... ...
바람을 멈추게 한 거문고 소리
과학동아
l
199107
이달의 행성금성/초저녁 사자자리에서 -4.2등급으로 아주 밝게 빛난다. 12일 경에 사자자리의 으뜸별 레굴루스 곁을 지나고, 마지막 주에는 화성과 거의 같은 위치에 있게 된다.화성/사자자리에 위치하며 2.0등급이다. 14일에 레굴루스를 통과하고 22일에는 금성 곁을 통과한다.목성/게자리에서 사자자 ... ...
어린이 과학교육의 새길 닦는다
과학동아
l
199107
아이들과 과학교육에 대한 사랑만으로 누구도 추켜주지 않는 일을 11년째 묵묵히 해오고 있는 국민학교 교사들이 있다. 과학하는 방법을 제대로 일깨워주는 스승이 되기 위해 노력하는 이들을 만나보았다.긴 여름해가 떨어져 어스름이 깔릴 무렵인 저녁 8시, 밥짓는 냄새와 일과를 마치고 모인 식구 ... ...
하늘을 거꾸로 걷는 사나이
과학동아
l
199106
6월의 길잡이 별저녁이 되고 하늘이 어두워지면 오렌지색 아크투루스(목동자리 α별)가 머리 위에서 반짝이고 남서쪽에선 스피카(처녀자리 α별)가 밝게 빛난다. 그러나 레굴루스를 비롯한 사자자리의 별들은 서쪽 지평선에낮게 깔려 자정이 되기 전에 사라질 것이다. 북쪽 하늘을 보면 북두칠성이 ... ...
2 통신공간을 통해 맛보는 새로운 세상
과학동아
l
199106
차디찬 반도체 덩어리에 불과했던 컴퓨터가 처음으로 따뜻한 인간미를 지닌 정보전달자로 다가온다.우선 '통신공간'이란 말을 기억해주기 바란다. 이제부터 여러분은 통신공간에 들어가 이제까지 맛보지 못했던 새로운 세상을 경험할 것이다. 통신공간이란 가정 학교 직장 등 우리가 일상적으로 ... ...
석기시대 목동들
과학동아
l
199105
푸른 5월, 대지는 온갖 꽃과 싱그러운 나뭇잎으로 봄을 축복한다. 해가 지고 어둠이 내리면 하늘엔 밝고 신선한 봄 별들이 나타나 또 다른 봄의 세계를 찬송한다. 따스해진 밤공기에 실려오는 아름다운 별빛, 우리들 마음은 점차 편안함을 느끼고 우리는 숭고한 밤의 숭배자가 되어간다. 별똥이라도 ... ...
4월의 밤하늘 꼬리가 긴 두마리의 곰
과학동아
l
199104
이달의 행성금성| -4.0등급으로 저녁 무렵 보인다. 초순에는 오후 9시30분 경에, 말경에는 오후 10시 30분경에 진다. 히아데스와 플레이아데스 성단을 통과하면서 양자리에서 황소자리 쪽으로 움직인다.화성| 1.1등급으로 밝기가 약해지면서 쌍둥이자리에 위치한다.목성| -2.3등급으로 게자리의 벌 ... ...
1 애플에서 매킨토시로 좁스의 비전과 제록스의 아이디어
과학동아
l
199104
애플의 역사는 개인용컴퓨터(PC)의 역사와 같다. PC개념을 처음 만들어낸 애플은 1981년 IBM PC의 등장으로 왕좌의 자리를 빼앗겼으나, 1984년 '매킨토시'를 개발해 새로운 도약을 시작했다."대부분의 개인용 컴퓨터들은 사업기획으로 시작됐다. 그러나 애플은 꿈으로 시작했다. 그 꿈은 사업가 학생 교육 ... ...
보이지 않는 전선(戦線)에 서서 지금 유학현장에서는…
과학동아
l
199102
학부 때부터의 연구와 세미나 참여를 통해 분자생물학에서 최근의 문제가 무엇인지를 스스로 파악하고 공부할 수 있었다.내가 과학에 관심을 가진 것은 아주 어렸을 때부터다. 혼자서 방안에 조그마한 실험실을 차려놓고 물고기 개구리 등을 해부 해보기도 하고 라디오 경보기 무전기 등의 부품을 ... ...
잡아먹히지 않는 신비로운 나비
과학동아
l
199102
잡아먹히지 않는 신비로운 나비자연의 모든 것은 먹고 먹히는 것들이다. 지난 1990년 플로리다 주립대학의 생물학자인 존 글렌디닝씨와 링컨 브라우어씨는 식용성과 생존성에 관련된 매우 재미있는 사례를 발표했다.제왕나비를 생각해보자. 이 나비는 여러면에서 매우 특이하다. 첫째, 제왕나비는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