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론"(으)로 총 3,84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수학동아 l201611
- 발표했다. 당시 아인슈타인은 “만일 내가 비유클리드 기하학을 몰랐다면 결코 상대성이론을 만들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인 지구와 우주는 굽어 있다. 그것을 깨닫는 데는 아주 오랜 시간이 걸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구부러진 세상Part 1. 이런 게 다 ... ...
- [Knowledge] DNA 검사는 정말 만능 열쇠일까?과학동아 l201611
- 쌍을 제외한 22쌍의 상염색체다. 상염색체는 아버지와 어머니로부터 각각 절반씩 받는다. 이론상 일란성 쌍둥이를 제외하면 동일한 상염색체를 가진 사람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침이나 혈액, 머리카락 등 본인이 생전에 남긴 DNA 시료와 시체의 DNA를 비교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상염색체 DNA는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11
- 단어에 응답자가 호감을 느끼는지 불쾌감을 느끼는지를 분석하는 데 1초면 충분합니다. 이론적으로는 10분에 600가지 문항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지요.우리는 천 명 규모의 표본집단을 만들어서 헤어밴드를 쓰고 일주일에 두 번씩, 모니터에 나타나는 단어를 한 시간 동안 쳐다보게 합니다. 그 대가로 ... ...
- INTRO. 빅뱅의 문을 열다수학동아 l201610
- 아인슈타인, 프리드만, 허블, 가모프. 우주의 신비를 풀어내기 위해 노력한 과학자들이다. 이들의 노력 덕에 인류는 우주를 조금이라도 이해하게 됐다. 하지만 우주 탄생의 순간이 어땠는지는 추측만 할 뿐이다. 지금까지 그곳으로 가는 문은 굳게닫혀있었다. 최근에야 이 문을 열 열쇠가 생겼다. 그 ... ...
- PART 1. 초기우주의 문을 보다수학동아 l201610
- 과거 모습을 우리에게 알려준 것처럼, 초기우주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지 않을까? 빅뱅 이론에 따르면 그런 빛이 있다. 이 빛의 이름은 ‘우주배경복사’. 이를 관측하기 위해 역사적인 인공위성 ‘코비’가 1989년에 우주로 올라가 성공적으로 임무를 완수했다.초기우주의 문이라고도 할수 있는 ... ...
- [Career] "머리카락보다 작은 소재의 활약을 기대하세요!"과학동아 l201610
- 가지각색 화합물 모형과 알 수 없는 수학식이 가득한 화이트보드, 그리고 어려운 공학이론이 적힌 원서가 책장에 가득한 풍경이 떠오른다. 하지만 김병수 UNIST 자연과학부교수의 방은 달랐다. 수많은 사람의 응원과 환호가 들리는 듯한 황금빛 MVP 트로피와 형형색색 축구화가 눈에 띄었다. 그리고 ... ...
- PART 1. 수학자는 공동연구를 좋아해~수학동아 l201610
- 이들이 사실은 비슷한 현상에 대한 이론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는 관련 있는 이론을 통합하자고 제안했고, 이것이 ‘랭글랜즈 프로그램’이다. 즉 수학의 서로 다른 분야를 가로지르면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현상과 그 연관성을 연구해 수학을 통합하자는 것이다. 도움 : 엄상일(KAIST ... ...
- PART 3. 수학으로 중력파를 찾다수학동아 l201610
- 직접 참여하고 있는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오정근 박사는 “수학자들은 새로운 수학 이론을 탐구하고 싶어 하기 때문에 과학적 목표 달성을 위한 라이고의 연구와는 관심사가 다를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중력파 검출은 적은 정보로부터 초기우주의 비밀을 알아내는 ‘역문제’의 하나로 높은 ... ...
- [소프트웨어] 경기 안산해양중학교 합치고 나누는 SW수학동아 l201610
- 튼튼한지 체험할 수 있다. 삼각형을 기본 단위로 구조물을 만들어야 튼튼하다는 이론이 실제로도 옳은지 직접 볼 수 있는 것이다.국무총리상 수상의 기쁨도다양한 SW동아리도 내세울 만하다. 안산해양중학교에는 앞서 소개한 로봇봉사동아리 외에 앱인벤터동아리, 임베디드SW 동아리, 스멋프가 있다.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10
- 이용하는 동결전자현미경(Cryo-EM, 시료를 급속히 얼린 뒤 관찰하는 전자현미경)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 그는 LMB의 차기 노벨상 후보로 꼽힌다.“당시 스타이츠 교수는 박사후연구원으로 LMB에 왔어요. 저는 박사과정 학생이었고요. 우린 둘 다 소화효소 중 하나인 키모트립신을 연구하고 있었지만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