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도"(으)로 총 2,344건 검색되었습니다.
- [Photo] 지구에서 체험하는 화성 라이프!과학동아 l201511
- 토양 미생물 검출실험, 태양에너지 조리실험, 영구동토층 연구, 해빙 연구, 드론 정찰 및 지도 작성 등 인류가 화성에 도착했을 때 실제 수행할 연구들을 진행하고 있다. 1 아무도 살지 않는 낯선 땅우주복을 갖춰 입은 MDRS의 과학자들이 조심스럽게 지질을 조사하고 있다. 사막 한가운데인 이곳에선 ... ...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과학동아 l201511
- 사람이 더 이상 없는지 확인하고 집으로 돌아가 잠을 청했다”고 했다. 실제로 그의 박사 지도교수였던 클로드 루퍼트는 산자르가 노벨상을 받은 직후 기자회견에서 “내가 기억하는 그는 일주일에 90시간을 연구실과 도서관에서 보낼 정도였다”고 말했다. 산자르 교수는 연구자의 자질 중 가장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SW in Science ➒ 선수 추적프로그램] 축구 경기장 뒤의 12번째 선수과학동아 l201511
- 선수들의 공 점유시간을 분석했고, 이를 바탕으로 한 명이 공을 오래 잡고 있지 않도록 지도했다. 선수들끼리 공을 빨리 주고받는 전략 덕분에 독일은 24년 만에 월드컵에서 우승할 수 있었다. 최근엔 축구뿐 아니라 테니스, 미식축구, 핸드볼, 하키, 농구 등다른 구기종목에도 추적 소프트웨어를 ... ...
- [PART 1] 화석이 알려주는 인류의 진화수학동아 l201511
- 리 로저스 버거 박사에게 전달했다.버거 박사는 턱뼈를 보자마자 새로운 인류를 발견할지도 모른다는 기대감에 부풀었다. 그리고 작은 구멍을 지나갈 수 있을 만큼 몸이 왜소한 과학자 여섯 명과 함께 디날레디의 방을 찾아 갔다.이곳에서 발견된 뼈화석은 보존 상태가 훌륭했다. 치아가 그대로 박혀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2. 콜럼버스가 신대륙에서 만난 원주민의 기원은?과학동아 l201510
- 어떻게 칠레까지 갔을까아직까지 이상한 점을 눈치채지 못했다면 지금부터는 세계 지도를 펼쳐놓고 이야기해보자. 현생인류가 처음 출발한 지점은 15만 년 전 아프리카다. 아메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인류 유적인 몬테 베르데는 남아메리카 최남단이다. 언제 어떻게 거기까지 갔을까. 클로비스가 ... ...
- [수학뉴스] 세계 나무의 반이 사라졌다수학동아 l201510
- 구획으로 나눈 뒤, 이 자료를 토대로 밀도가 높을수록 진한 색으로 표시해 나무밀도 지도를 만들었습니다. 그 결과 약 3조 400억 그루가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위성사진만 이용했을 때는 약 4000억 그루로 추정했지요. 위성사진만으로는 숲의 범위만 알 수 있고 나무 수를 알 수 없어 측정에 ... ...
- 논문에서… 내 이름이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10
- 말한다. 인문계는 다르다. 학생이 단독으로 논문을 작성하기도 하며, 이 경우 지도교수가 저자로 들어가기 힘들다.‘이공계 연구환경’은 저자권 문제가 발생하기 좋은 토양이다. 하지만 근본원인은 아니다. 황은성 서울시립대 생명과학과 교수는 “같은 이공계라도 선진국에선 갈등이 덜하다”고 ... ...
- [Knoledge]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론과학동아 l201510
- 확인할 수 있는 예측결과는 전무한 형편이다.어쩌면 통일이론은 가능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많은 현상들은 복잡해질수록 전혀 새로운 현상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모든 것을 통합하는 이론이란 애초에 부적절한 꿈일 수도 있다. 게다가 바일과 칼루차-클라인의 사례에서 보듯, 아무리 훌륭한 ... ...
- PART2. 탐사선, 위대한 여정의 시작과학동아 l201509
- 두꺼운 구름층으로 덮여 있는 금성의 표면도 촬영이 가능했다. 미국은 금성의 표면 99%를 지도로 완성시켰다.달, 인류가 유일하게 밟은 우주 땅달은 태양계 내에서 탐사선 조사가 가장 많이 이뤄진 천체다. 1959년 소련의 탐사선 루나 2호가 처음으로 달 표면 충돌에 성공해 표면의 대기를 연구하는 데 ...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09
- 1997년 요트를 타고 태평양을 건너던 찰스 무어가 우연히 발견했지요. 하지만 아직도 세계지도에서는 이 섬을 찾아볼 수 없어요. 그 이유는 이 섬이 사람들이 발견하지 못한 새로운 땅이 아닌, 어마어마하게 큰 쓰레기 더미이기 때문이지요.‘북태평양의 거대한 쓰레기 구역(Great Pacific Garbage Patch, GPGP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