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반영
반사
그림자
영향
성찰
고찰
숙고
d라이브러리
"
투영
"(으)로 총 258건 검색되었습니다.
정월대보름 올해 가장 큰 달 뜬다
과학동아
l
200102
주위를 도는 공전궤도의 기울기가 비슷하기 때문에 하늘에서 비슷한 길, 즉 황도(하늘에
투영
된 지구공전궤도)상에 나타난다. 목성도 예외가 아닌데, 해마다 황도상의 12 별자리 중 하나 정도씩 옮겨간다. 왜냐하면 목성이 태양 주위를 한바퀴 도는데 약 11년이 걸리기 때문이다.그리고 지구에서 보는 ... ...
쥐불놀이에 숨어있는 눈의 속임수
과학동아
l
200102
이용한 대표적인 예다. 변화하는 각 장면의 영상을 1/16초마다 영사막에 단속적으로
투영
해서 움직이는 영상을 보는 것 같은 효과를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잔상효과는 회전식 전광판이나 자동차 바퀴, 선풍기 날개, 그리고 쥐불놀이의 불꽃 원에서 살펴볼수 있다 ... ...
2. 지구 위협하는 블랙리스트 300
과학동아
l
200101
뒤진다소행성대는 하늘에서 태양이 일년 동안 지나는 길인 황도대(이것은 하늘에
투영
된 지구공전궤도와 같다)와 거의 일치한다. 이 때문에 천문학자들은 과거 ‘건판시대’에 그랬던 것처럼 황도대를 집중적으로 촬영하고 있다.하지만 NEA 가운데는 지구궤도와 큰 각도를 이루면서 움직이는 것이 ... ...
2001년을 여는 장엄한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101
때 파장이 짧은 푸른빛은 대부분 산란되고 파장이 긴 붉은빛만 통과해 지구그림자에
투영
되기 때문이다. 바로 붉은빛이 포함된 그림자가 달표면에 떨어져서 개기월식중인 달이 붉게 보이는 것이다.겨울 새벽이라 추워서 이불 속에서 나오지 못할 사람들은 6개월 뒤인 7월 5일 밤에 부분월식을 ... ...
한낮에 흑점 관측하는 요령
과학동아
l
200101
때도 30초에 한번 정도는 쌍안경을 돌려놓아 과열되지 않도록 식혀준다.하얀 도화지에
투영
된 흑점을 자세히 관찰해보면 꽤 커다란 하나의 흑점은 크게 두부분으로 나눠진다. 즉 가운데부분과 가장자리부분의 진하기가 틀리다. 가운데부분이 더 까맣게 보이는데 이 부분을 ‘암부’라 하고, 이보다 ... ...
고인돌 유적에서 발견된 별자리판
과학동아
l
200012
올려다봤을 때 북두칠성의 모습을 뒤집어놓은 것과 같다. 이렇게 하늘에서 땅으로
투영
하는 방법으로 그려진 별자리 그림은 고구려나 고려고분에서 종종 관찰된다. 반면 고구려시대의 진파리 4호분(평양시 무진리 소재)의 천장 별그림에서 보이는 북두칠성은 하늘을 올려다봤을 때의 모습이다. 두 ... ...
좀생이별이 들러리 선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012
까만 점을 살펴본다. 이것은 위성이 목성 앞을 지나갈 때 위성의 그림자가 목성 표면에
투영
되는 현상이다. 둘째, 4대위성이 늘 4개가 보이는 것이 아니라 2-3개 밖에 안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1-2개의 위성이 목성 본체 뒤로 들어가 숨어버리기 때문이다. 마치 목성과 숨바꼭질을 하는 듯하다. ... ...
Ⅰ. 지평선의 보름달이 커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09
것이다.필자 역시 국립중앙과학관의 천체
투영
관에서 이와 유사한 실험을 해보았다. 천체
투영
관에서는 별들뿐만 아니라 달도 돔 벽면에 비춰볼 수 있다. 그래서 중천에 뜬 달과 동쪽에서 방금 뜬 달의 겉보기크기를 비교해볼 수 있었다. 그 결과 방금 뜬 달, 즉 지평선 가까운 달이 약간 더 커보인다는 ... ...
7월 16일 밤 10시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007
산란되는 반면, 파장이 긴 적색광은 대기권을 통과해서 달에 비친 지구의 그림자 부분에
투영
되기 때문이다. 바로 붉은 빛이 포함된 그림자가 달 표면에 떨어져서 개기 월식의 달을 붉게 만드는 것이다.개기식 중의 달의 밝기는 지구 상층 대기에 있는 먼지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고 한다. 지난 1991년 ... ...
1. 비눗방울 표면에 붙어있는 은하
과학동아
l
200005
있는 물질의 분포를 직접적으로 보여준다. 그러나 이 모습은 3차원 우주가 2차원 하늘에
투영
된 것이므로 우주의 3차원 구조를 잘 알 수 없다. 우주의 3차원 구조를 알기 위해서는 각 은하까지의 거리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이렇게 많은 은하들의 거리를 모두 알 수 있을까?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