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편"(으)로 총 3,168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과학동아 l201605
- 추정할 수 있다”며 “특히 풍속과 파도의 높이, 파도 소리는 비례 관계가 명확한 편이라 파도 소리만 듣고도 계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미국 뉴저지 주 해안가에서 파도 소리를 관측해 해저 지형을 유추한 연구 결과를 2008년 발표했다(doi:10.1121/1.2963048). 수심 별로 여러 개의 ...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과학동아 l201605
- 벤터 박사의 논문(1파트 참조)이 발표된 지 일주일 뒤인 2010년 4월 1일, 사이언스에는 또 한편의 합성생물학 논문1)이 실렸다. 궁금한 마음에 논문을 찾아본 기자는 눈을 의심했다. 아주 익숙한 기호들이 가득했기 때문이다. AND, OR, NOT게이트까지, 컴퓨터 소스코드와 전자회로를 구성하는 기호였다 ... ...
- 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생물학 문 열다과학동아 l201605
- 비유했다. 서고에 어지럽게 널려 있는 책들 중 논문을 쓰는 데 필요한 책을 선별하고, 한 편의 글을 쓰기 위해 필요한 책을 순서대로 정리한 셈이다. 만약 기존 서고에 새로운 책을 추가한다면, 별로 눈에 띄지 않아 새 책의 역할을 확인하기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정리된 서고에 놓은 새 책은 쉽게 ... ...
- [Knowledge] 시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과학동아 l201605
- 근무하는 법의인류학자인 메리 메기에시 박사는 2005년, 당시로선 획기적인 논문 한 편을 발표했다. 머리와 몸통, 사지의 부패 정도를 기준으로 3~35점까지의 종합신체점수를 계산한 뒤 누적온도일과의 관계를 방정식으로 정리한 것이다. 메기에시 박사의 방법론은 후속 연구자들에게 많은 영감을 ... ...
- [Knowledge] ‘과학계의 대나무숲’ 브릭, 스무 살 맞다과학동아 l201605
- 겪는 심각한 고민들이 매일같이 올라와요. 긴 세월 그걸 보다보니 제 가슴 한편에도 응어리가 맺혔어요. 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뭐라도 하고 싶어요.Q. 어떤 역할을 하고 싶은지?브릭에서 과학자들의 부당한 처우문제, 연구부정 문제에 대한 설문조사를 종종 해요. 기사화가 되도록 노력도 하고 ... ...
- [Tech & Fun] ‘고독한 미식가’, 독될까 득될까과학동아 l201605
- 들여 먹는 대학생이 체질량지수와 체지방이 적은 경향을 보였다. 식사를 느리게 하는 편이 건강에 더 좋다는 의미다.같은 조사에서 대학생들은 혼자 밥을 먹을 때 단점으로 ‘식사를 대충하게 된다’(36.1%), ‘인스턴트 식품을 주로 먹는다’(19.1%), ‘빨리 먹게 된다’(13.3%), ‘많은 양을 먹게 된다’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과학동아 l201605
- 그림자 속에서 나무들은 존재 자체의 고통으로 줄기와 가지를 뒤트는 듯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영원한 평온 속에 잠들어 있는 듯하기도 한다.내일은 내가 맞는 마지막 날일 것이다. 문득 떠오른 생각이 이내 확신으로 바뀐다. 알 수 없는 다급함 속에 비틀거리며 일어나 냉혹하게 반짝이는 별들 ... ...
- [지식] 어벤져스 vs 어벤져스, 그들만의 대결이 시작된다!수학동아 l201605
- 편의 병력이 상대편의 절반밖에 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기려면, 우리 편의 전투력은 상대편의 2배가 아닌 4배 이상이어야 한다.란체스터 법칙이 잘 맞아떨어진 사례도 있지만, 실제 전쟁에는 변수가 많아 이 법칙으로 설명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렇다고 해서 란체스터 법칙이 아무짝에도 ...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605
- 동영상과 요가 일기를 토대로 피드백을 한다. 프로젝트 팀원들은 선생님이 없어서 불편했던 점이나, 반대로 혼자 요가를 해서 좋았던 점을 꼼꼼히 물었다. 상대의 체험을 분해하고 뜯으며 이렇게 사용자의 경험을 통해 제품 설계의 영감을 얻는 방법을 ‘사용자 중심 디자인 작업’이라고 부른다. ... ...
- [가상인터뷰] 물고기는 지느러미로 바닥을 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05
- ‘픽터스 캣피시’라고 불리는 종이에요. 평균 몸길이가 11cm 정도로, 메기 중에선 작은 편에 속한답니다. 다른 메기들과 마찬가지로 긴 수염을 자랑하지요. 이 수염은 마치 곤충의 더듬이처럼 주변의 먹이나 적을 감지하는 역할을 해요.또한 저는 주로 늦은 밤에 먹이를 찾아 나서요. 붉은지렁이,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