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2년제"(으)로 총 2,13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이그노벨상 실험체? 제가 한번 돼보겠습니다!과학동아 l201511
- 의심 가는 먹거리를 진행자가 직접 먹어보는 콘셉트의 TV 프로그램이 인기였던 시절이 있었다. “제가 한번 먹어보겠습니다”라는 진행자의 말을 과학자 버전으로 바꾸면 “제가 한번 실험체가 돼보겠습니다” 정도일까? 올해 이그노벨상 수상자 중에는 유난히 스스로 실험체가 된 사례가 많았다. ... ...
- [손바닥 인터뷰] “북극 카라해가 더워지면 한국에 한파 와요”과학동아 l201510
- 중위도의 겨울철 한파가 북극의 온난화 때문이라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밝혀 화제다. 계속되는 지구온난화에도 불구하고 최근 수 년간 우리나라와 북미 지역에서는 오히려 극심한 한파가 발생해 학계에 논란이 끊이지 않던 터였다. 논문의 제1저자인 국종성 포스텍 환경공학부 교수(왼쪽)와 교신 ... ...
- “세상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학문, 컴퓨터공학”과학동아 l201510
- 빅데이터, 웨어러블, 사물인터넷. 미래의 기술에는 아직 해결하지 못한 문제가 많다. 전병곤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는 게 컴퓨터공학의 역할이라고 말한다. 지금도 세상의 미해결 문제와 씨름하고 있는 전 교수를 만나 컴퓨터공학의 매력을 물었다. [마이크로소프트사 ... ...
- 논문에서… 내 이름이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10
- 생물학 · 의학분야 연구자들의 온라인 커뮤니티인 ‘생물학연구정보센터(이하 브릭)’가 지난 7월 이용자 116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논문 저자권 관련 진단’ 설문조사를 보자. 전체 답변자의 48%가 “최근 3년간 저자 순서교체나 저자 끼워넣기 등 연구 부정행위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바로 옆 ... ...
- [Photo] 전직 CFO의 눈에 비친 중국의 풍경들과학동아 l201509
- 티에리 보르니에는 프랑스에서 경영전문대학원(MBA)을 졸업하고 뉴욕에서 7년 동안 제공공기관의 최고재무관리자(CFO)로 일했다. e메일 인터뷰에서 보르니에는 “내가 정말로 사랑하는 일을 시작하면 내 삶이 어떻게 될까”라는 생각을 했다고 전했다. 사진작가가 된 그가 향한 곳은 아무 연고도 없 ...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09
- 나는 귀엽고 깜찍한 플라스틱 인형 해적왕 잭이야! 작년 5월 5일, 어린이날 선물로 태범이네 집에 가게 됐지. 태범이는 날 엄청 사랑했어. 낮에 놀 때도 밤에 잘 때도 늘 나와 함께 했지. 그런데 어느 날 다른 쓰레기에 섞여 이리저리 쓸려다니다가 결국 바다까지 떠밀려 왔어. 며칠 전까지만 해도 태 ... ...
- [Life & Tech] 대선보다 치열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열전과학동아 l201509
- 사회자(사)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 | 3D 디스플레이(3D)사 국민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2002년 즈음, 흑백이던 휴대전화 화면이 총천연색으로 바뀌던 그날을 기억하십니까. 그 이후 우리의 디스플레이는 꾸준히 발전해왔지만, 혁명이라 불릴만한 발전은 없었습니다. 그런데 드디어 디스플레이의 혁 ...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수학동아 l201509
- 선장은 예전의 모험가는 목숨을 걸고 항해를 했다며 운을 뗐다. 아무 것도 보이지 않는 바다에서는 배의 위치를 알기 어렵기 때문이다. 풍랑을 만나 방향을 잃는 일도 많았고, 같은 지역을 빙빙 돌기도 쉬웠다. 1707년, 영국의 서쪽 해안에 있는 ‘실리 제도’에서는 전함 4척이 암초와 부딪혀 1600명이 ... ...
- [Knowledge] SF가 사랑한 이름, 상대성이론과학동아 l201509
- 2015년 10월 21일. 1985년 개봉한 영화 ‘백투더퓨처’에서 타임머신 자동차의 시계에 찍힌 날짜다. 당시 상상했던 30년 뒤의 미래가 바로 올해인 2015년이다. 시간여행은 우주여행과 더불어 SF의 단골 소재다. 시간여행은 과학 법칙으로 정당화될 수 있을까. 상대성이론은 시간여행의 가능성에 대해 어떻 ... ...
- 개미학자에 도전하라! 국립생태원 개미세계탐험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09
- 개미는 자연생태계에서 가장 성공한 동물 중 하나로 손꼽혀요. 지구에 개미가 얼마나 많은지, 지구상의 모든 동물들의 무게를 합했을 때 그 중 개미가 무려 15~20%를 차지하지요. 오늘 명예기자들은 개미세계탐험전이 열리고 있는 국립생태원을 방문해 개미학자가 돼 보기로 했어요. 관우와 민재의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