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값"(으)로 총 3,05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핫이슈] 중학교 선생님, 자연수 세제곱 합 공식의 말이 필요 없는 증명 발견했다고?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자연수 거듭제곱의 합에 대한 공식에 대해 다루거든요. 즉, 1부터 n까지 자연수를 더한 값(①), 자연수의 제곱을 더한 값(②), 자연수의 세제곱을 더한 값(③)을 공식으로 어떻게 구하는지 알아보지요. 관계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각 공식은 서로 관련이 없어 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 보면 자연수의 ... ...
- [나도 수학쌤 문장제 문제] #10. 골라 푸는 재미가 있다! 이차방정식의 해 구하기수학동아 l2022년 11호
- 1 미지수 설정하기 문제에서 구해야 하는 값은 ‘처음 종이의 가로 길이’이므로 이 값을 미지수 x로 정합니다. STEP 2 이차방정식 세우기 처음 종이의 가로 길이가 xcm이면 세로 길이는 가로 길이보다 5cm만큼 더 짧으므로 (x - 5)cm예요. 네 귀퉁이에서 한 변의 길이가 4cm인 정사각형을 잘라냈으므로, ... ...
- [특집] 무엇이 그들을 지하로 이끌었을까? 중성미자와암흑물질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붕괴 실험 결과에 주목했다. 알파입자가 붕괴될 때에는 방출된 전자의 에너지가 일정한 값을 갖는 것과 달리, 베타 붕괴가 일어났을 때에는 전자의 에너지 스펙트럼이 연속적인 분포를 보였다. 파울리는 검출되지는 않았지만 전기적으로 중성인 새로운 입자가 함께 나왔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193 ... ...
- [특집] 경기장 온도 관리는 수학 모형을 이용한 모의실험으로!수학동아 l2022년 11호
- 2m 높이까지 층을 이루도록 통풍구의 크기와 노즐 각도를 모의실험 해 알맞은 값으로 설계했지요. 공기층의 온도가 올라가면 중간중간 설치된 흡수팬이 더운 공기를 빨아들여 온도가 유지되도록 했어요. 가니 교수님은 카타르의 높은 기온과 관중들의 온기를 관중석 좌석에 아래 마련된 ... ...
- [수학체험실] 꼭꼭 숨어라, 곱셈 보일라! 문살 무드등 만들기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위치적 기수법’ 때문이다. 각 문살끼리 만나는 점의 개수는 위치적 기수법에 따라 그 값이 정해진다. 예를 들어 23 × 12의 경우, 23의 2와 12의 1은 십의 자리 위치에 있으므로 20과 10을 의미한다. 문살 곱셈에서 문살 2개와 문살 1개가 만나면 2개의 점이 생기지만, 십의 자릿수 두 개가 만나 곱해졌기 ... ...
- [카타르 월드컵, 과학으로 즐기기] 인공지능이 예측하는 한국 16강 진출 확률은?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내놓은 승리 확률을 16강 진출 확률로 변환했다. 이를 위해 3승, 2승 1무, 2승 1패 예측값이 나올 때 16강에 진출한다고 가정했다. 물론 2승 1패를 하더라도 16강에 탈락하는 사례가 있었지만 이는 1승 2무로 16강에 승선하는 경우와 상쇄시켰다. 0.3949488599110874 과학동아가 만든 카타르 월드컵 머신러닝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몬스터 잡고 보상 받자!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상자 속에 입력 값을 넣으면, 명령이 실행된 후 출력 값이 결과물로 나오지요. 입력 값에 따라 명령이 바뀌게 하는 ‘매개변수’를 상자 속에 정해 줄 수도 있어요. 예를 들어, 이번 코드에서는 매개변수 ‘num’이 75보다 크거나 같으면 힘 효과를 주는 명령이 실행되고, 그렇지 않을 때는 다른 명령이 ... ...
- [출동! 슈퍼M] “자전거 바퀴가 작으면 속도가 느린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따라 달라져요. 기어비는 앞쪽 기어의 톱니 수를 뒤쪽 기어의 톱니 수로 나눈 값을 말해요. 페달을 밟아서 앞 기어가 한 바퀴 도는 동안 뒷 기어가 얼마나 회전하는지를 나타내요. 위쪽 그림과 같은 자전거에서 앞쪽 기어의 톱니 수는 53개이고, 뒤쪽 기어의 톱니 수는 12개예요. 이때 기어비는약 4.4 ... ...
- [특집] 브라마굽타부터 페르마까지! 펠의 방정식을 푼 이유는?수학동아 l2022년 10호
- 꼴로 나타냈어요. 그러면 에 가까운 값이 구해졌거든요. 예를 들어 x2 - 2y2 = 1을 만족하는 값이 x=577이고, y=408이면 x/y=577/408= 약1.41421568627이에요. 고대 그리스인이 발견한 황금비 1 : (1+√5)/2를 구할 때도 펠의 방정식을 이용했어요. 많은 수학자가 펠의 방정식에 도전한 이유에 대 ...
- [특집] 드디어 풀리다! 음의 펠의 방정식의 비밀!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레이덴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d가 제곱수가 아닌 양의 정수일 때 정수해를 갖는 d 값의 빈도가 약 58%라고 추측했는데요. 이게 바로 스티븐하겐 추측이고, 이번에 이 추측이 맞다는 것이 증명된 거예요. 예를 들어 d가 1에서 100일 때 58개의 d는 정수해를 가지고, 나머지 42개는 정수해를 가지지 않는다는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