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거대"(으)로 총 1,454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의 독일유학일기] 국경 넘나드는 유럽의 인턴십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만한 유명한 연구소로, 세계에서 가장 큰 입자가속기인 거대강입자가속기(LHC)가 있는 곳이다. 하지만 아쉽게도 유럽 국가 시민권이 지원조건 중 하나라서 지원하지 못했다. 기회가 된다면 꼭 한번 이곳에서 일해보고 싶다 ... ...
- [시사과학] 하늘을 뒤덮은 사막메뚜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시작한 사막메뚜기 떼가 케냐의 한 농장을 습격한 모습이에요. 케냐 북동부에서 발견된 거대 메뚜기 떼 규모는 길이 60km, 너비 40km에 달했어요. 이는 여의도 면적의 300배로, 최대 3600억 마리의 사막메뚜기가 있을 것으로 추정돼요. 전문가들은 1km2 면적에 최소 4000만 마리에서 최대 1억 5000만 마리가 ...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사진을 찍었는지 찾아보는 ‘내 생일 이미지’ 페이지가 주목받고 있어요. 위에 보이는 거대 비누방울 같은 사진은 4월 15일을 검색하면 나오는 ‘면사포성운’의 모습이지요. 날짜를 검색하면 위 사진과 함께 2015년 4월 15일에 찍힌 이 성운에 대한 설명이 나와요. 여러분의 생일엔 어떤 천체가 ... ...
- [과학동아 X 긱블] 케첩으로 주스 만드는 마법의 기계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개의 직선 부재들을 삼각형 형태로 배열한 뼈대 구조입니다. 육교나 타워크레인 등의 거대 구조물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트러스 구조가 더해지며 토 맛 나는 토마토주스 기계의 모습이 정말 유려한 건축물스러워졌습니다. 방황하는 전류 인도해주는 ‘풀업’ 저항 자고로 기계라 하면 ... ...
- 수만 대의 군집 위성에 천문학자들이 화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저궤도에 수만 대의 위성이 날아 다닌다면, 지상에서 한 번에 넓은 범위를 관측하 는 거대 망원경이 위성을 피해 밤하늘을 촬영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할 것”이라며, “누구나 마음껏 위성을 뿌릴 수 있는 우주 공간이지만, 과학을 위해선 군집 위성이 특정한 궤도를 지나지 않도록 우주공간을 ... ...
- CERN의 미래 가속기, FCC 지을까, 말까과학동아 l2020년 08호
- CERN 건설이 시작됐다. 그리고 CERN에 설치된 LHC는 드브로이의 공식에 따라 둘레 27km의 거대한 원형 가속관을 따라 양성자들이 빛에 가까운 속도로 돌다가 충돌해 우주 초기에 만들어진 입자를 만들어내고 있다. 그런데 엄밀히 말하면 LHC에서 충돌을 일으키는 입자는 양성자가 아니다. 양성자 빔의 ... ...
- [매스미디어]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더블X 6개의 예언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지구적 변화가 일어날 거라 예측되는 시기인 거야. 예측을 막고 미래를 바꾸는 힘거대 기계 오피키언도 여섯 귀신이 세상에 풀려났을 때 인간 세상에 어떤 변화가 일어날지 미리 계산했기에 1년 뒤 미래를 예언할 수 있었을 거야. 하지만 오피키언의 예언은 우리가 아무 일도 하지 않은 채 ... ...
- 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났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결과가 실리며 이를 반박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오스트리아 하수처리장에서 발견된 거대 바이러스인 클로스노이바이러스는 오랜 세월 숙주 생물의 유전물질을 뺏어 점점 커진 것으로 밝혀졌다. 숙주세포의 DNA의 정보를 RNA로 옮기고, 다시 RNA를 단백질로 번역해 단백질을 합성하는 유전적 체계를 ... ...
-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가까운 새로운 바이러스들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크기가 세균만큼 큰 거대 바이러스들이 주목받고 있다.한 예로 2017년 발견된 클로스노이 바이러스는 유전체 크기가 무려 1.57Mb(메가베이스·1Mb는 100만 염기쌍)였다. 이는 유전체 크기가 작은 일부 세균들보다 더 큰 수치다. 또 단백질을 ...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1. 외계인은 진짜 있을까?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방정식을 만들고, 그 방정식을 사용해 문명의 미래를 예측하는 수학 모형을 만들었죠. 거대한 모아이 석상으로 유명한 이스터섬은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는 고립된 섬이에요. 이 섬의 주민들은 온난다습한 기후, 풍부한 자원 덕분에 주변 문명과의 교류 없이도 잘 살 수 있었어요. 그래서 초기엔 40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