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국"(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Math] 프로N잡러, 서동주의 갓생 사는 비결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최고의 대학교에서 인정을 받았으니 전공을 수학으로 바꿔도 되겠다는 확신이 생겼고, 결국 편입을 결심했습니다. “MIT 수학과로 편입한 뒤 ‘실해석학’이라는 수업을 들었어요. 이 수업에서 증명이라는 것을 처음 배웠어요. 다양한 정리나 풀이법을 종합해서 증명해야 했지요. 오랜 시간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마블 역대급 빌런 정복자 ‘캉’ 앤트맨이 이길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무료함을 느끼고 시간여행에 몰두하던 중 다른 시간대에서 온 또 다른 자신을 만나고, 결국 모든 시공간을 넘나들며 우주의 정복자로 군림하게 됩니다. 영화에서도 캉은 시공간을 자유롭게 넘나드는 존재입니다. 그는 스캇에게 이런 말을 합니다. “나는 너에게 가장 필요한 걸 줄 수 있는 사람이다. ... ...
- [과동키즈] “과학자의 현장은 생각보다 다양합니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합니다”라고 답하곤 했다. 학계에서 말하는 20년이란 자신들이 은퇴한 후를 뜻하므로, 결국 ‘언제 가능해질지 알 수 없다’는 의미였다. LTE 기술 개발 현장에서 충격을 받다 박사학위를 받은 후 친구들은 여러 곳으로 흩어졌다. 다수가 삼성에 취업했고 해외로 박사후연구원을 나가기도 했다. ... ...
- 두 번째 질문 l 허수는 꼭 필요한 수인가?수학동아 l2023년 03호
- 방정식이 쓰이는데요. 이 방정식을 못 풀면 해결할 수 없는 문제가 많아요. 방정식은 결국 세상에 있는 많은 문제를 풀기 위해 나타난 거니까요. 그런데 허수는 방정식의 해로도 나타나기 때문에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많은 것이 허수 덕분에 가능하지요. 그런 면에서 봤을 때 허수의 존재감은 ... ...
- [기획] 이메일 지우면 디지털 탄소발자국 줄어들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데이터 센터의 전력 소모가 가장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거의 모든 디지털 서비스가 결국 데이터 센터로 모이기 때문이다. 바다에 집어넣고 산에다 짓고, 친환경 데이터 한 가지 방법은 데이터 센터에 신재생 에너지를 공급해 탄소 중립을 실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은 2018년 9월 ... ...
- [5년 후, 과학은] 환자 맞춤형 진단·치료의 열쇠 탄소 양자점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생겨난 결과였죠. 고대 사람들은 그것이 나노입자 때문이라는 사실을 전혀 몰랐지만, 결국 우리는 이런 사소한 발견들을 계기로 나노입자의 존재와 그 가능성에 관심을 갖게 됐습니다. 독성 한계 극복한 탄소 양자점 빛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다시 말하면 광학적인 특성을 갖는 나노입자 중에서 ... ...
- [People] 100만 자리에서 100조 자리까지...이와오 엠마 하루카수학동아 l2023년 03호
- 구글 개발자의 이야기를 듣고 감명받아 꼭 구글에서 일해보고 싶다고 생각하지요. 결국 2015년에 4번의 고배 끝에 구글에 입성했습니다. 처음에는 구글 도쿄 지사에서 일하다가 2019년 미국 시애틀 지사로 오면서 마음에 품고 있던 원주율 계산을 본격적으로 시작합니다. Q. 원주율을 계산하게 된 ... ...
- [Mathematician] 직접 부딪쳐 답을 찾다!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증명은 다른 사람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잘 설명하는 거더라고요. 그게 배려였어요.” 결국 서 교수는 쌍곡기하학 연구로 박사학위 논문을 썼다. 이 논문의 주제를 발전시킨 논문으로 2012년에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수여하는 과학기술우수논문상, 2016년 대한수학회 우수논문상을 받았다 ... ...
- [SF소설] 나의 채티에게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따위’잖아?”나를 조금도 이해하지 못하면서 함부로 말하는 그를 용서할 수 없었다. 결국 머리끝까지 차오른 화를 이기지 못하고 쏘아붙였다.“닥쳐요.”“응?”“닥치라구요.”그때 하필이면 카메라가 켜져 있던 것이 불운이라면 불운이었을까. 나는 ‘채티를 잊지 못해 정신이 나가버린 ... ...
- [Art Math] 인물의 생각을 도형으로 표현하는 엘렌 헥 Ellen Heak수학동아 l2023년 02호
- 그의 이야기를 지금 시작합니다. "뫼비우스 띠에 손가락을 대고 표면을 따라가면 결국 시작 지점으로 다시 돌아와요. 저는 이런 뫼비우스 띠의 특성이 어떤 생각이 자꾸 머리에 맴도는 모습처럼 느껴졌어요." 2012년 엘렌 헥 작가는 멕시코 화가 프리다 칼로의 자화상을 재해석한 작업을 하고 있을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