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디터 노트] 동행의 부활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있었습니다. 우리 독자들의 적극성을 이야기하자 일사천리로 ‘현장견학’이 기획됐죠.
결국
독자위원들의 제안이 ‘동행’을 부활시키는 계기가 된 셈입니다. 참, 그러고보니 양자나노과학연구단을 만난 것도 전독위 덕분이네요. 독자 발제로 시작된 1월호 특집을 준비하면서 만나게 됐으니까요. ... ...
[이그노벨상] 웃기려고 한 연구 아닙니다 3화. 성공에 더 필요한 건 운일까 재능일까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법칙 1949년 미국의 에드워드 머피가 주장한 법칙으로 “잘못될 수 있는 일은
결국
잘못되기 마련이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놀랍지 않게도 머피의 법칙에 관한 연구도 이그노벨상(1996년 물리학상)을 받았다 ... ...
[5년 후, 과학은] 환자 맞춤형 진단·치료의 열쇠 탄소 양자점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생겨난 결과였죠. 고대 사람들은 그것이 나노입자 때문이라는 사실을 전혀 몰랐지만,
결국
우리는 이런 사소한 발견들을 계기로 나노입자의 존재와 그 가능성에 관심을 갖게 됐습니다. 독성 한계 극복한 탄소 양자점 빛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다시 말하면 광학적인 특성을 갖는 나노입자 중에서 ... ...
[기획] 이메일 지우면 디지털 탄소발자국 줄어들까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데이터 센터의 전력 소모가 가장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거의 모든 디지털 서비스가
결국
데이터 센터로 모이기 때문이다. 바다에 집어넣고 산에다 짓고, 친환경 데이터 한 가지 방법은 데이터 센터에 신재생 에너지를 공급해 탄소 중립을 실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은 2018년 9월 ... ...
[SF 소설] 우리 할머니들이 깨어날 때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아프죠. 우리는 모두 어린 날을 지나야 하고, 아무리 과학이 발달해 그 시기를 늦추어도
결국
에는, 모두 쇠약해지죠. 그리고 되살아난 사람조차 한동안 돌봄이 필요합니다. 당신이 돌보는 사람과 당신은 지금 당장 그곳을 떠나올 수 있습니다. 우리와 함께해요. 당신은 누군가를 돌봐야 하지만, ... ...
[People] 100만 자리에서 100조 자리까지...이와오 엠마 하루카
수학동아
l
2023년 03호
구글 개발자의 이야기를 듣고 감명받아 꼭 구글에서 일해보고 싶다고 생각하지요.
결국
2015년에 4번의 고배 끝에 구글에 입성했습니다. 처음에는 구글 도쿄 지사에서 일하다가 2019년 미국 시애틀 지사로 오면서 마음에 품고 있던 원주율 계산을 본격적으로 시작합니다. Q. 원주율을 계산하게 된 ... ...
두 번째 질문 l 허수는 꼭 필요한 수인가?
수학동아
l
2023년 03호
방정식이 쓰이는데요. 이 방정식을 못 풀면 해결할 수 없는 문제가 많아요. 방정식은
결국
세상에 있는 많은 문제를 풀기 위해 나타난 거니까요. 그런데 허수는 방정식의 해로도 나타나기 때문에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많은 것이 허수 덕분에 가능하지요. 그런 면에서 봤을 때 허수의 존재감은 ... ...
[Art Math] 인물의 생각을 도형으로 표현하는 엘렌 헥 Ellen Heak
수학동아
l
2023년 02호
그의 이야기를 지금 시작합니다. "뫼비우스 띠에 손가락을 대고 표면을 따라가면
결국
시작 지점으로 다시 돌아와요. 저는 이런 뫼비우스 띠의 특성이 어떤 생각이 자꾸 머리에 맴도는 모습처럼 느껴졌어요." 2012년 엘렌 헥 작가는 멕시코 화가 프리다 칼로의 자화상을 재해석한 작업을 하고 있을 ... ...
[SF소설] 나의 채티에게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따위’잖아?”나를 조금도 이해하지 못하면서 함부로 말하는 그를 용서할 수 없었다.
결국
머리끝까지 차오른 화를 이기지 못하고 쏘아붙였다.“닥쳐요.”“응?”“닥치라구요.”그때 하필이면 카메라가 켜져 있던 것이 불운이라면 불운이었을까. 나는 ‘채티를 잊지 못해 정신이 나가버린 ... ...
[기획] 끈질겼던 승부의 승자는? 사람과 토끼의 줄다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2호
빠르게 늘어났어요. 토끼는 번식력이 뛰어난데다 재빠른 특성상 추격이 어려웠죠.
결국
호주 정부는 토끼를 한 번에 많이 잡아들일 목적으로 바이러스를 개발하고 사용하는데 이르렀습니다. 토끼 바이러스 연구는 현재도 진행 중이에요. 아직도 토끼가 건재하다는 증거예요. 지금은 호주 전역에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