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잎꾼개미 후투티와 함꼐 한 탐사줄다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사진을 많이 찍는다고 해서 좋은 탐사가 되는 건 아니에요.” 탐사를 마무리하며 장이권 교수는 대원들에게 탐사에 있어 가장 중요한 자세를 설명해 주었어요. 이어 “생물을 자세히 관찰하고 생물이 주변과 어떤 상호작용을 하는지,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를 질문하는 자세가 진정한 탐사”라고 ... ...
- [통합과학 교과서] 깨져버린 탕후루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새콤달콤한 탕후루, 먹어 본 적 있나요? 10월 9일 미국 미시간대학교 애슐리 기어하트 교수팀이 이끄는 공동 연구팀은 성인과 청소년 일부가 탕후루 같은 초가공식품에 중독 증상을 보인다고 발표했습니다. 초가공식품은 식재료를 가공한 뒤 향료나 인공감미료, 색소 같은 첨가물을 넣은 식품을 ... ...
- [과학 뉴스] 2000년 전 불탄 파피루스 속 글자를 읽어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4개 이상의 구절을 제일 먼저 읽는 사람은 70만 달러의 상금을 받아요. 브랜트 실스 교수는 “왕족이나 부귀영화를 떠올리게 하는 ‘보라색’이라는 단어는 파피루스를 읽어낼 첫 번째 단서”라며 “파피루스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곧 밝혀질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습니다. 용어 ... ...
- [기획] 연구실에서 쑥쑥? 랩그로운 다이아몬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다이아몬드를 캐는데 웬 실험복이냐고요?요즘은 다이아몬드를 연구실에서 캐거든요!진짜 같은 진짜, 랩그로운 다이아몬드는 어떻게 만들어지는 걸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연구실에서 쑥쑥? 랩그로운 다이아몬드Part1. 반짝반짝 다이아몬드, 환경 파괴의 범인?Part2. 실험실, ... ...
- 반짝반짝 다이아몬드, 환경 파괴의 범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수밖에 없습니다. 2021년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 환경정책학과 그베미 올룰레예 교수는 다이아몬드 1캐럿(0.2g)을 채굴하는 데 108.5kg의 탄소가 배출된다고 밝혔어요. 전 세계에선 1년에 대략 1억 5000만 캐럿의 다이아몬드가 채굴되는데, 이는 1년에 350만 대의 자동차가 내뿜는 탄소 배출량인 약 160 ... ...
- [출동! 기자단] 시상식 취재와 MIT 과학자 인터뷰를 한 번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원자 등 미시 세계를 탐구하는 학문이에요.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를 연구하는 최순원 교수에게 독자 기자단은 어떤 질문을 했을까요? 박우빈 독자 기자물리학을 전공하신 이유가 있나요? 어렸을 때 우연히 TV 다큐멘터리를 봤는데, 거기에 나오는 과학고등학교가 멋져 보여서 가고 ... ...
- [통합과학 교과서] 영감님이 잔치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흔적도 처음으로 발견했습니다. 연구를 이끈 마리아 맥나마라 교수는 “화석화 과정에서 멜라닌이 어떻게 분해되는지를 알면 멸종한 동물의 본래 색을 찾을 수 있다”며 “멜라닌 색소와 관련한 다양한 미스터리도 풀릴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에필로그 “여러 ... ...
- [노벨 물리학상] 전자까지 순간 포착! 아토 과학 시대를 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교수가 발견한 빛이 아토초 펄스라는 것을 확인합니다. 이후 크라우스 교수와 륄리에 교수는 이를 발전시켜 전자의 움직임을 포착하는 데 성공합니다. ‘아토 과학’의 시대를 연 거죠. 김 부단장은 “아토 과학을 통해 인류는 물질이 만들어지고, 다른 물질과 반응하는 과정을 더 정확히 알 수 있는 ... ...
- [4컷 만화] 달에 포장도로를 짓는 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2cm, 크기 10m의 착륙장을 115일 안에 건설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옌스 군스터 교수는 “달처럼 중력이 약한 조건에서도 타일이 잘 만들어질 수 있는지는 확인해 봐야 한다”며 “월면토로 포장도로를 만들면 달 탐사에 위협적인 달 먼지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 실험실, 채굴장으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천연 다이아몬드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요. 서울시립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송오성 교수는 “천연과 랩그로운은 추운 겨울 처마 밑에 언 고드름과 냉동실에서 얼린 얼음처럼 만들어진 방식 이외에는 완전히 동일한 물질”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