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반"(으)로 총 2,002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공은 둥글지만 통계는 날카롭다 월드컵 예측!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알아보겠습니다. 통계로 예측한우리나라 16강 진출 가능성! 16강 진출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통계 모형으로 예측할 수 있는데요. 2006 독일 월드컵에서 각 팀의 16강 진출 여부를 약 81% 정확도로 맞힌 김용대 서울대학교 통계학과 교수팀이 만든 모형을 이용해서 분석해 봤어요. 폴리매스 어셈블인 ... ...
- 노벨상 분석 보고서 I 현대 과학의 토대를 쌓은 수상자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손원민 서강대 물리학과 교수는 “특히 양자 오류를 줄이는 알고리즘이 도입된 ‘측정 기반 양자컴퓨터’에 양자 얽힘이 필요하다”며 “앞으로 양자 컴퓨터 연구는 양자 얽힘을 이용한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방향으로도 이어져 나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이런 경향성은 노벨상 수상자들의 ... ...
- [사업가가 된 연구자] 영정사진 No, 실시간 LIVE로 세포를 보는 현미경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대학에서 기계공학을, 대학원에서는 의과학 및 의공학을 전공했다. 그리고 생물학 기반의 도구를 개발하는 사업가다. 그런데 물리학과 교수라니. ‘그 물리학과에서는 무엇을 배우냐’는 질문에 박 교수는 과거 본인의 경험을 들며 고전적인 학문 분리보다는 융합 교육의 중요성을 말했다.“병원에 ... ...
- 한화솔루션이 그리는 탄소중립 청사진과학동아 l2022년 10호
- 플라스틱과 관련한 사업도 진행 중이다. 올해 8월 한화솔루션은 재활용 폴리에 틸렌(rPE) 기반의 화장품 용기를 상용화하겠다고 밝혔다. 화장품 용기 생산 기업 연우와 2021년부터 시작한 공동 연구로 rPE 원료를 적용한 친환경 화장품 용기를 개발했다. 2030년까지 화장품 ODM(제조사 개발 생산) 기업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AR(증강현실)의 놀라운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속에선 현실을 배경으로 포켓몬이 곳곳에서 출몰합니다. 즉, AR과 VR의 차이는 현실을 기반으로 하느냐의 차이인 거죠.AR은 실생활에도 도움이 돼요. 게임할 때 캐릭터나 물건 등을 클릭하면 상태창이 나오듯, 증강현실에서는 AR 안경을 끼고 우리가 바라보는 세상 모든 것들을 클릭해 상태창이 나오게 ... ...
- [기획] 다섯 글자로 말하는 수학 내 일의 원천!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배운 뒤 역량을 키워 금융 IT전문가로 일을 시작했어요. 최근 많은 금융회사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품 서비스를 많이 출시하고 있어서 데이터를 쌓고 관리하고 분석하는 일을 중요하게 여겨요. 그래서 수학 지식이 경쟁 역량이 되지요. 실제로 금융권 채용에선 수학 전공자에게 더 관심을 가져요. ... ...
- [특집] 어디로 이사가야 안전할까요?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수밖에 없는 주거형태”라며 “반지하에 살아야만 한다면, 거주하는 데 불편하지 않도록 기반시설의 형태를 바꿔줘야 한다”고 짚었습니다.이어 “반지하 침수의 대부분이 도로에 흐르던 빗물이 유입되는 양상인 만큼, 반지하 밀집 지역 인근의 빗물받이 관리를 철저히 하고, 도로사면을 물이 잘 ... ...
- [슬기로운 세특 생활] 연세대 컴퓨터과학과에 입학한 건에 대하여과학동아 l2022년 10호
- 하지만 깊이 있게 활동하는 분야도 필요합니다. 저는 정보과학 시간에 배웠던 C언어를 기반으로 동아리를 만들어 부원들과 함께 게임을 만들었습니다. 영어 시간에도 C언어 코드를 자료 삼아 반 친구들에게 알고리즘이 무엇인지 영어로 발표했습니다. 세부능력및특기사항 확률과 통계 : 확률과 ... ...
- 과학자들의 메타버스가 열린다, 비대면 실험실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떠난다는 개념으로 주목을 받아 왔다. 하지만 OXR플랫폼융합연구단의 연구원들은 현실을 기반으로, 현실을 위한 가상 공간을 만들고 있다고 입모아 말한다. “누군가는 우리가 가상의 세계를 만들어간다고 말하겠지만, 우리의 연구는 가상이 아닌 더 나은 현실을 만들어가는 일입니다.” ... ...
- [현장취재] 필즈상 수상자는 내 멘토! 허준이 교수님의 금쪽 상담소수학동아 l2022년 10호
- 완전히 새로운 방법으로 시도했을 땐 꼭 적어둡니다. 다음에 시도할 방법을 결정하는 기반이 되거든요. Q . 백진언 : 허 교수님은 논문을 잘 쓴다는 평가를 받는데요. 저도 언어로 생각을 잘 표현하고 싶어요. A. 김재훈 : 저는 생각이 빠른 편이라 생각을 글로 정리하는 연습을 많이 하지 않았어요.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