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논문"(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게임 회사에서 언어 AI 연구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또 할 일을 나누죠. 어떤 팀원에게는 필요한 부분을 다시 테스트시키고, 다른 이에게는 논문을 쓰라고 하죠. 크래프톤의 AI 연구원이 되고 싶은 학생들에게 해주고 싶은 조언이 있나요? 기쁨 게임 회사에 들어오려면 게임을 좋아해야 해요. 게임에 대한 이해도가 없다면 그저 시키는 일만 하다가 ... ...
- 인쇄한 대체육 직접 먹어봤습니다! 3D 푸드 프린팅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개발되던 초창기, 초콜릿으로 과자를 출력했던 립슨 교수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논문을 발표하며 최근 이 같이 선언했습니다. 눈에 보이는 신선한 재료로 만든 음식이 지금은 가장 좋은 식품으로 여겨지지만 앞으로는 달라질 수 있다는 얘깁니다. 교수팀은 푸드 프린터가 영양분과 열량을 ... ...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네, 그래서 이과가 AI 기자와 기사를 써봤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오히려 단점이 될 수도 있단 뜻입니다. Round 2. 정보 인간 기자는 수백 페이지에 걸친 논문을 찾고, 키보드를 두드리며 시간을 보내는 반면, 챗GPT는 그냥 한 번의 질문에 답을 제공해줍니다. (틀린 말은 아니지만 기분이 나쁘네요. 흥.) 이런 장점을 활용해 기사 작성에 AI를 활용한 사례가 많습니다. ... ...
- [과학사 극장] 석주명은 나비 ‘박사'가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안에서 나타날 수 있는 변이에 포함된다는 것을 보여줬다. 석주명은 이 분석을 120여 편의 논문으로 정리해 일본과 조선의 전문 학술지에 발표했고, 기존 연구에서 새로 제안한 학명 가운데 무려 844개가 동종이명(同種異名・synonym)으로 밝혀져 학계에서 퇴출됐다. 일본 제국대학 교수 등 저명한 ... ...
- ‘접시뇌’에게 컴퓨터 게임을 시켰더니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장기 기억이 가능해진다면 OI의 혁신이 일어날 것”이라 전망했다. 하퉁 교수는 논문에서 OI가 고도로 발달한다면 ‘바이오컴퓨터가 의식을 가지면 어떡할까’와 같은 윤리적 문제가 추후 나타날 수도 있다고 예측했다. 뇌세포 바이오컴퓨터가 일상에 들어오려면 얼마나 기다려야 할까. 코티컬 ... ...
- [5년 후, 과학은] 효율 좋고 유연한, 에너지의 미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세계 논문을 수집한 네덜란드 라이덴대 데이터에 따르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관련 논문 수는 최근 급증하고 있습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가 가진 잠재력과 한계가 무엇인지, 연구 최전선의 전문가에게 직접 들어봤습니다. 과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페로브스카이트’라는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달 천문대에서 은하를 보는 날이 온다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빅데이터 사이언스로 진화했습니다. 저 역시 논문 한 편에서 은하 1만 여 개를, 또 다른 논문에서는 은하 3만여 개를 분석했습니다. Q. 은하 연구를 하면서 동시에 대중과도 활발하게 소통하고 계신데 계기가 무엇인가요? 제가 천문학자가 돼야겠다고 결심한 계기는 어렸을 때 본 만화영화 ... ...
- [피플] 독창성의 비결은 독학수학동아 l2023년 05호
- 때문인 것 같다”고 밝혔습니다. 2021년 피갈리 교수와 함께 슈테판 문제 관련 논문을 발표한 자비에 로스 오톤 스페인 바르셀로나대학교 교수는 “2014년부터 슈테판 문제를 연구하기 시작했는데 카파렐리 교수님의 연구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전했어요. 살사 교수는 1978년 공동 연구했던 ... ...
- 약 한 알 먹으면 집중력이 쑥쑥? ‘공부 잘 하는 약’의 진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갈리는데요. 미국 예일대 의대와 코네티컷대 의대 공동연구팀이 2014년 발표한 리뷰 논문에 따르면 ADHD가 없는 12~25세 사이의 학생들에게 ADHD 치료제를 투여한 연구 14건을 분석한 결과, 메틸페니데이트는 처음 보는 과제나 주의력을 기반으로 한 과제의 수행능력을 높임과 동시에 복잡한 과제를 ... ...
- [뉴스&인터뷰] 여자끼리, 남자끼리 생명을 만들 수 있다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염색체 복제 오류를 내는 리버신을 투입해 X만 남은 성염색체를 복제해 XX로 만들었다. 논문에 따르면 리버신을 아주 약한 농도로 적절히 사용하면 오직 성염색체만 두 배로 복제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든 수컷의 난모 세포는 각인 유전자를 편집할 필요 없이 여성의 감수분열을 거쳐 난자가 된다.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